수원시에서 주관하는 수원의 전통시장 이야기라는 책을 집필하기 위해, 수원의 22개 전통시장을 필진들이 찾아 나섰다. 넘어오는 원고를 보면서 수원의 전통시장들이 안녕한가에 대해 묻고 싶은 생각이다. 한 마디로 수원의 일부 전통시장들은 초비상이 걸린 상태라고 해야 할까? 전혀 안녕하지 못한 전통시장들이다.

 

그 안녕치 못한 이유는 바로 수원역 뒤편에 7만여 평이나 되는 대형매장이 들어선다는 것이다. L그룹에서 쇼핑몰이 들어온다고 하는데 올 추석을 전후해 개장을 할 것이라는 소식이다. 몇 년 전인가 수원역에 A백화점이 문을 열었을 때도, 수원의 전통시장들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했다.

 

 

일부 전통시장은 초비상사태

 

아무래도 대형 쇼핑몰이 들어서면, 그곳과 경쟁을 해야 하는 전통시장들로서는 안녕할 수가 없다. 넓은 주차장에 좋은 환경을 갖고 있고, 거기다가 개점 특별할인 행사 등을 하면서 손님들을 끌어갈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수차례 쇼핑몰 측과 수원시 상인연합회 측이 회동을 가졌지만, 아직 이렇다 할 답은 없는 상태인 듯하다.

 

한 대학에 연구조사를 의뢰했다고 하지만, 그것으로 전통시장이 닥칠 위기가 살아지지는 않는다. 어차피 대기업에 맞서서 싸움을 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일부 전통시장은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한다. 쇼핑몰과는 취급하는 물품이 다르다는 이유란다. 또는 거리가 멀어 직접적인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어느 시장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우선은 쇼핑몰이라는 곳이 어차피 모든 상품들을 골고루 판매를 할 것이다. 농축산품은 물론, 의류, 전자기기, 문구, 화장품 등에서부터 사람들이 생활에 필요로 하는 것은 모두 취급을 할 것이다. 그래야 쇼핑몰로서의 경쟁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거리가 조금 떨어졌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다. 요즈음은 장을 보러갈 때도 한꺼번에 많은 양을 구입하기도 한다. 그럴 때는 차를 이용하는데, 전통시장들은 주차장을 확보하지 못한 곳이 대부분이다. 자연 주차시설이 좋은 곳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상생의 해결방법 찾아야

 

전통시장의 상인회를 이끌고 있는 상인회장들은 잠이 오지 않는다고 이야기를 한다. 한 상인회는 A백화점이 개관을 한 후 200여개에 가까운 점포 중에 40개 정도가 문을 닫았다고 한다. 백화점 입점업체와 동일한 메이커를 파는 점포들이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백화점 입점 업체들이 메이커 본사 측에 주문을 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었다는 것이다.

 

대기업들이 동네 구멍가게를 노리고 빵집이며 심지어는 순대까지 손을 댔다가 여론의 질타에 슬그머니 뒤로 물러난 적이 있다. 그런 양상으로 볼 때 상도덕은 이미 물 건너 간 것이 아닐까도 생각이 든다. 하지만 지금은 수원의 22개 전통시장은 어려운 가운데도 살아남기 위해 무진 애를 쓰고 있다. 전통시장은 민초들의 삶의 근원이다. 이러한 전통시장이 또 다시 피해를 본다면, 그러한 아픔은 그대로 민초들에게 전해지게 된다.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서로가 타협점을 찾고 있다고 하지만, 그것도 녹녹치가 않은 모양이다. 풍문에는 자신들의 상가가 더 많은 피해를 입기 때문에 보상을 더 받아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는 곳도 있었다고 한다. 이런 상태로 과연 온전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기는 한 것일까? 이제는 머리를 맞대고 상생의 방법을 찾아야 할 때이다.

 

정조대왕의 정신 잊지 말아야

 

수원은 딴 지역과는 다르다. 수원의 상권은 화성을 축성한 후 정조대왕이 직접 내탕금을 주어 마련한 장시이다. 하기에 이 전통시장들은 정조대왕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장시이다. 일찍 정조는 팔달산 아래로 읍치를 이전하였고, 이에 따라 수원장도 함께 이전되어 왔다. 정조는 화성을 축성하고 많은 사람들이 모인 새로운 개혁도시 수원을 꿈꾸었다.

 

 

정조는 서울 도성의 육의전을 본떠 화성 안에 시전을 열도록 하였다. 수원의 경우 포목전과 미곡전, 어물전 등 시전을 화성행궁 십자대로 주변에 개설되었다. 그리고 성 밖에 또 다른 장시를 개설했는데, 북문 밖 영화동과 남문 밖 구천동이었다. 북문 밖 장시는 오래지 않아 소멸하여 남문 밖 구천동의 성밖 장이 수원을 대표하는 장시가 되었다. 바로 지금의 팔달문 밖 전통시장들이다.

 

한 마디로 이 전통시장들은 정조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장시이다. 장사는 상도덕이 있어야 한다. 상도덕이란 상부상조해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다. 이런 상도덕을 무시한다면 정조의 뜻을 저버리는 것이 된다. 수원의 전통시장. “오늘은 안녕하십니까?”라는 물음에 라는 대답을 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