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에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인 용운사지삼층석탑(龍雲寺址三層石塔)이 자리하고 있다. 용운사지로 명명된 이곳에는 삼층석탑과 함께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인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기가 자리한다. 이 삼층석탑 주변에서 용운사라 새긴 기와의 명문이 발견되어 절 이름을 알게 되었다.

 

용운사 터로 알려진 이 절은 고려시대의 절로 삼층석탑 역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삼층석탑은 비로자나불상과 함께 고려 전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용운사 역시 고려 전기에 창건한 절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그 역사나 절이 훼손된 이유 등은 자세히 알지 못한다.

 

고려 석탑의 특징 잘 나타나

 

용운사지 삼층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이중으로 된 기단은 각각 탱주가 하나씩 표현된 전형적인 신라말기 석탑을 계승한 고려 초기의 형태이다. 상대 갑석의 맨 윗돌 위에는, 연꽃을 두른 두툼한 괴임돌을 두었다. 이렇게 연화무늬를 조각한 괴임돌이 탑신의 1층 몸돌을 받치도록 하는 것도 고려 초기부터 유행한 독특한 조형 양식이다.

 

 

이 삼층석탑의 연화무늬는 곁에 있는 비로자나불 좌상의 대좌와 동일하다. 이로 보아 이 삼층석탑과 비로자나불 좌상은 동 시대에 조형한 것으로 보이며, 이때 용운사가 창건 혹은 중건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륜부가 남아있는 삼층석탑

 

모두 삼층으로 구성된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3층으로 구성하 탑신과 지붕돌인 옥개석은 신라 말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2, 3층 탑신의 급격한 체감과, 지붕돌의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다는 것은 고려 초기 석탑의 특징이기도 하다. 옥개석 낙수면의 경사는 느리고, 수평을 이루던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머리장식받침) 위로 복발(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륜(바퀴모양의 장식)이 차례로 올려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이렇게 상륜부가 차례로 남아있는 삼층석탑은 흔치 않은 예이다. 이곳은 깊은 골짜기로 들어와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을 타지 않은 듯하다.

 

원래 이 삼층석탑과 비로자나불이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상용곡의 용운사터에서 발견이 된 것을 현 위치로 옮겨 온 것이다. 원주시 호저면 가장 깊숙한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용운사지 삼층석탑. 천년 세월을 그렇게 비로자나불과 함께 절터를 지켜오고 있었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90-2에 소재한 봉암사. 봉암사 경내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 이 삼층석탑은 보물 제169호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봉암사 경내에서도 또 안쪽, 선원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볼 수가 없다고 한다. 지난 7월 6일에 봉암사를 찾았을 때 삼층석탑을 찾아보았다.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으로 명명이 되어 있는 이 탑은, 건물의 댓돌에 해당하는 기단부와 탑의 중심이 되는 몸돌인 탑신부, 그리고 꼭대기의 머리장식인 상륜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은 기단이 2단이나, 현재 땅 위로 드러나 있는 이 탑의 기단은 1단이다.


머리장식이 그대로 남아있는 봉암사 삼층석탑

봉암사 삼층석탑은 상륜부의 머리장식이 훼손이 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완전히 남아있는 상륜부는 한국 석탑의 기준이 된다. 더욱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으로 볼 때, 천 여 년이 지난 그 시대의 석탑을 모습을 알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유례로 본다. 이 탑의 머리장식은 인도 탑에서 유래하였으며, 인도 탑의 머리장식의 소형화가 우리나라 탑의 머리에 그대로 적용이 되었다고 한다.

탑의 머리 부분인 상륜부에는 여러 형태의 구조물들이 차례로 놓이게 되는데, 우선 삼층석탑의 맨 위 덮개돌인 옥개석 위에 노반이 놓인다. 그리고 복발과 연꽃모양의 앙화가 놓이게 되며, 그 위에 보륜과 보개, 수연을 차례로 올리게 된다. 수연의 위에는 용차, 보주, 찰주가 놓이는데, 봉암사 삼층석탑은 이 모든 것이 원래대로 보존되어 있다.



일단의 기단을 둔 봉암사 석탑

일반적으로 석탑의 경우 기단이 2단으로 되어 있으나, 봉암사 삼층석탑은 1단만 보인다. 일층 기단의 주변으로는 넓게 석재로 둘러놓았는데, 이것을 아랫기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듯하다. 기단의 형태에 비해 그 면적이 넓게 조성이 되었기 때문이다. 기단에는 중앙에 탱주를 새기고, 양 끝에는 우주를 새겼다. 갑석은 두 장의 돌로 맞물려 조성을 했으며, 갑석 위에 몸돌의 고임인 옥신고임을 돌출시켜 새겼다.

몸돌은 양 우주를 새겨 넣었으며 지붕돌인 옥개석인 추녀가 살짝 위로 치켜 올라가 당당하다. 하지만 기품이 있어 보이는 것이 화려하지는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의 단아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비례가 돋보이는 석탑

지붕돌인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5단이며, 이층과 삼층으로 올라가면서 몸돌이 적당한 비례로 줄어들었다. 어디 한 곳도 모자람이 없는 봉암사 삼층석탑. 9세기 통일신라 헌덕왕(재위 809∼826)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기단 구조가 특이하고 탑신의 각 층 비례와 균형이 적절하여 아름답다.

이 봉암사 삼층석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구중궁궐 깊은 곳에 자리한 품위 있는 여인을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군더더기 하나 없는 형태가 그런 느낌을 들게 하는가 보다. 아마도 아무 때나 접할 수 없는 탑이기에, 더 오래도록 그 앞을 서성이는 것인지. 아니면 단아한 여인의 자태를 닮은 그 모습에 빠져서인지도 모르겠다.




뒤편에 암반으로 덮인 산을 배경으로 서 있는 봉암사 삼층석탑. 아마도 이런 깊은 산중에서 많은 선방의 스님들에 방해라도 할까봐, 그 오랜 시간을 숨죽이며 서 있었을 것이다. 그저 있는 듯 없는 듯 서 있는 모습에서, 아름다운 한 여인의 자태를 떠올린다. 세월이라는 흐름 속에서도 영원히 변치 않는 아름다운 자태를 간직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