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힘들게 만나는 것은 역시 마애불이다. 마애불은 그 특성상 낮은 지역보다는 산 정상 부근의 암벽에 많이 조성을 하기 때문이다. 마애불은 나에게는 특별한 문화재이기도 하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마애불을 따로 한 권의 책으로 엮고 싶은 것이 내 바람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10-1번지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인 ‘삼막사마애삼존불(三幕寺磨崖三尊佛)’이 소재한다. 조선조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진 이 마애삼본불은 삼막사의 칠성각 내에 봉안되어 있다. 마애불은 암벽을 얕게 파고 조성하여, 칠성각이 전실 역할을 하고 있다.

 

 

걸으면 지쳐버릴 듯 높은 마애불

 

지금은 삼막사까지 차로 올라갈 수가 있다. 물론 절집의 관계자들이 아니고는, 쉽게 그 길을 차를 몰아 갈 수가 없다. 아래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걸으면 한 시간 30분 정도가 소요가 된다. 30도를 웃도는 더운 날 이곳을 걸어 올라가다가 보면 지칠대로 지친다. 땀이 흐르는 정도가 아니라 그저 얼굴 전체에서 샘이라도 솟는 듯하다.

 

그렇게 산 정상부근에 있는 마애삼존불이다. 삼막사 대웅전에서 이 마애불까지는 그리 멀지 않은 거리이다. 지금은 계단으로 길을 잘 만들어 놓아 오르기가 수월하다. 삼막사 남녀근석을 앞에 두고 바위에 붙여 조성을 한 칠성각. 전각의 앞에 걸린 현판에는 ‘칠보전’이라고 적고 있다. 그 안에 마애삼존불이 바위에 부조로 조각이 되어있다.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는 본존불

 

이 마애삼존불은 조선조 영조 39년인 1763년에 조성이 되었다. 삼존불을 모신 칠성각이 영조 40년인 1764년에 세워진 것으로 볼 때, 이 본존불은 칠성각의 주존인 치성광여래로 볼 수 있다. 삼존불은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거느린 삼존불로 모두 연화좌 위에 앉아 있다.

 

 

얼굴에 잔잔한 미소를 띠고 있는 본존불은 소발의 머리에 작은 육계가 있고, 전면에는 계주가 표현되었다. 그 은은한 얼굴에 미소가 후덕하게 보인다. 이런 상은 마애불 중에서도 그리 흔치가 않아, 이 마애불을 조성한 장인이 기능적으로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사각형에 가까운 상호에는 눈두덩이 부푼 눈과 보수한 삼각형의 짧은 코, 작은 입 등이 묘사되었다. 어깨에 닿는 긴 두 귀와 얼굴에 연이어 어깨가 시작되어서 목은 달리 표현되지 않았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에는 내의의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불신의 전면에는 두꺼운 옷주름이 표현되었는데, 양 손은 복부에 모아 여의주를 들고 있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일광, 월광보살

 

보존불의 좌우의 보살상 역시 머리에 쓴 삼산관과 가슴에 모은 수인을 제외하면, 본존불과 같은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 마애불은 전체적인 모습을 볼 때, 얼굴과 당당한 어깨 등 상체의 표현에 치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렇게 마애삼존불로 치성광여래가 남아있는 것은 매우 희귀한 예이다.

 

 

6월 16일, 오랜 가뭄으로 인해 대지는 더욱 뜨거웠다. 한 낮의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산길을 걸어 만난 삼막사 마애삼존불. 처음 만난 것은 아니라고 해도, 볼 때마다 새로운 것들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에 소재한 삼막사. 삼막사의 내력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5호인 ‘삼막사사적비’에 보면, 신라 문무왕 17년인 577년에 원효, 의상, 윤필 등이 창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삼성산’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물론 이 사적비는 조선조에 세워진 것이지만, 그만큼 삼막사가 유구한 역사를 가진 사찰이라는 것이다.

 

비문에는 신라의 원효(617-686)등이 창건하고 도선국사(827-898)가 중건하여 ‘관음사’라고 개칭을 하였다고 적고 있다. 그 후 고려 태조가 중수하여 삼막사라 하였고, 여말 선초에는 나옹, 무학 등의 고승이 오래 머물면서 선풍을 드날린 고찰이라는 것이다. 그 뒤 조선 태조 때 왕명으로 중수되었다는 등의 사실이 적혀있다.

 

 

사적비를 지나 오른 산신각

 

사적비는 삼막사 경내를 들어서면 좌측 산신각으로 오르는 계단 위쪽에 자리한다. 이 사적비를 지나면 바위를 직접 깎아서 조성한 돌계단이 있다. 삼막사 인근은 바위가 많은 곳으로, 삼막사에는 남녀근석과 마애불 등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아든다.

 

사적비를 촬영하고 있는데, 여러 사람이 곁을 지나 위로 올라간다. 그 위편에는 전각이 보이지를 않는데, 바위에 대고 수없이 절을 한다. 도대체 그곳에 무엇이 있기에 저렇게 산 쪽을 향해서 절을 하는 것일까? 궁금한 것은 참지 못하는 성미인지라, 계단을 따라 위로 올라가 보았다.

 

밑에 산신각이란 이정표는 있는데 정작 위편에 전각이 보이지를 않아 의아해했는데, 계단 위를 올라서는 순간 그 모든 의문이 풀렸다. 바로 바위를 안으로 깊이 파내고 그 곳에 산신을 새겨 놓은 것이다. 그러고 보니 보이지 않는 전각은 바로 이렇게 바위에 산신각을 조성했기 때문이다.

 

힘들었지만 기분 좋은 답사

 

삼막사 입구 주차장에서 삼막사까지 올라가는 길은 쉽지가 않다. 카메라 가방을 둘러메고 기온이 30도를 넘나드는 날 오른다고 생각을 하면, 처음부터 한숨부터 나온다. 그런 가파른 오르막길을 물도 없이 한 시간 넘게 걸어 올라가보지 않은 사람은, 그 답사 길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렇게 올라가 만난 절 삼막사. 전통사찰인 삼막사에는 몇 점의 문화재가 있기도 하지만, 그동안 여러 해 찾아보지를 않았기 때문에 길을 나섰다. 하필이면 올 들어 가장 기온이 높다는 날 올랐으니, ‘땀이 비 오듯 한다.’는 말을 실감한 답사 길이다.

 

그렇게 찾아 올라간 삼막사. 저 멀리 까마득하게 마을이 보인다. 거의 산 정상부에 절이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계곡 밑에서 치밀어 오르는 바람이 땀을 식혀주기에는 부족하지만, 그래도 조금은 살 것만 같다. 시원한 물을 한 대접 마시고 올라가 만난 사적비와 산신각이다.

 

 

 

이 산신각 명물 되겠네.

 

삼막사 바위암벽 산신각은 바위면을 안으로 네모나게 깊게 파 들어가, 그 안에 산신과 호랑이 동자상 등을 돋을새김 하였다. 양 편에는 기둥을 새겨 놓았으며, 바위를 보고 우측 위편에는 구름을 새겨 놓았다. 처음에는 산신이 타고 앉은 호랑이를 보고 한참이나 속으로 웃었다. 산신님이 들었으면 노했을 듯도 하다.

 

 

 

호랑이가 어딘지 모르게 옛 만화에 나오는 모습 같았기 때문이다. 앙편에 새겨 놓은 동자상도 조금은 어색하다. 아마도 지금은 기계를 갖고 조형을 했을 텐데, 일부러 옛 분위기를 만드느라 민화에 나오는 모습으로 조형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몇 사람인가가 또 올라와 절을 한다. 이 더위에 그늘도 없는 곳에서 절을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게 사람들이 치성을 드려서 덕이라도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 살기 팍팍한 세상에 그래도 이런 위안이라도 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도 행복이다. 시간이 좀 지나고 나면 이 산신각에도 이야기가 생겨날 것이고, 그 후에는 명물이 될 것이다. 계곡을 따라 올라 온 바람 한 점이 마음까지 시원하게 해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