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삼백숙’, 산삼도 영물이라고 하는데 더위에 지치지 않으려고 백숙까지 먹었다니 참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늘 산행을 하면서 가끔 귀한 산삼을 한 뿌리씩 캐보기는 했지만, 나를 위해서 요리를 만든 적은 없었던 것만 같다. 하지만 올해 여름은 유난히 덥다고 하니, 더위를 많이 타는 나로서는 무엇인가 더위를 이길만한 방법이 필요했다.

 

7일 수원버스터미널에서 일행들과 만나서 찾아 간 곳은 여주에 있는 화가부부가 사는 집이다. 전날 전화를 했더니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친지 결혼식이 있어 부부가 철원을 다녀온다고 한다. 웬만큼 아는 사람이라면 날을 물리겠지만, 평소에 호형호제를 하는 사이인지라 주인 없는 빈 집이라고 해도 찾아갔다.

 

산수유나무 아래서 담소를 즐겨

 

우선은 더위를 식힐 생각으로 산수유나무 아래 조성한 쉼터를 찾아들었다. 화가부부의 집은 주변이 산이고 마을에 사람이 살고 있는 집도 몇 집 되지 않는다. 주변에 공사를 하지 않는다면 그저 조용한 시골마을이다. 잠시 땀을 식히고 난 뒤 일행은 근처에 있는 문화재를 소개해 주고 나는 산으로 행했다.

 

이 마을에서는 가끔 산행을 하는 사람들이 산삼을 캐오기도 한다. 산으로 오르기 시작한지 30분이나 지났을까? 작은 산삼 한 뿌리를 채취했다. 항상 그렇지만 자연이 주는 선물로 알고 늘 반가운 마음으로 채취를 한다. 운이 좋았는지 두 뿌리나 발견을 했다. 하행을 해서 돌아오나 시간은 이미 12시를 훌쩍 넘기고 있다.

 

 

아침 이른 시간에 만나 찾아간 곳이라, 일행 모두가 배가 출출할 시간이다. 아침에 부부화가의 집을 찾아가면서 슈퍼에 들려 닭 한 마리와 깐 마늘, 대추를 사들고 갔다. 항상 이곳을 찾을 때는 먹을 것을 본인들이 사갖고 간다. 집에서 다시 장을 보러 나오자면 거리도 멀지만, 부부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끓는 소리만 들어도 행복이 밀려와

 

백숙은 간단하다. 산삼을 흐르는 물에 잘 씻어 잎 채 집어넣는다. 그리고 준비해간 닭을 잘 닦고, 그곳에 마늘과 대추를 함께 끓인다. 끓고 있는 소리만 들어도 배가 부른 듯하다. 한 시간이나 지난 다음에 먼저 닭부터 꺼내 접시에 담아 내놓았다. 먹기 좋게 익은 백숙의 맛이 입안에 가득하다. 진하지는 않지만 삼 냄새가 닭에 밴듯하다. 더덕이나 삼이나 앞까지 넣으면 고기의 육질이 그렇게 부드러울 수가 없다.

 

 

일행들도 덩달아 신이 났다. 좋은 곳에서 돈으로 따질 수 없는 귀한 음식을 먹을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지도 않았단다. 산수유 가지가 만들어주는 그늘에서 시원한 바람까지 불어오니, 이보다 좋은 음식이 어디 있을까? 거기다가 시원한 맥주까지 한 잔 곁들이니 신선이 따로 없는 듯하다. 주말이면 이곳을 찾는 재미가 바로 이런 즐거움 때문이다.

 

좋은 사람들과 함께 좋은 음식을 나눌 수 있다는 것. 힘든 세상을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작은 행복이 아닐까? 그저 산삼백숙이라는 대단한 음식이 아니더라도, 이곳에 모이면 늘 즐거운 곳이다. 사람들이 좋기에 자주는 못가더라도 몸과 마음이 피곤할 때면 찾는 곳이다. 그곳에 가면 늘 새로운 힘을 받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평생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보다 더 큰 행복이 있을까? 좋은 사람들과 만나 좋은 음식을 함께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주변의 오염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 이것보다 더 큰 행복은 없을 것만 같다.

 

요즈음은 사람들이 몸에 좋은 것을 가려서 음식을 먹는다. 방송 등에서도 MSG(화학조미료)가 들어가지 않은 음식을 최고의 음식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미 그런 맛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식은 그저 밋밋한 맛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들이 생각하는 몸에 좋은 음식이란 무엇일까?

 

우선은 음식을 먹을 때 나는 이런 것을 먼저 따져본다.

첫째는 분위기이다.

과연 음식을 먹을 때 그 먹는 장소의 분위기가 어떠한가를 먼저 따져본다. 가급적이면 자연 속에서 그대로 주변의 풍광을 살피면서 음식 맛을 본다면 절로 음식 맛이 좋을 듯하다.

둘째는 사람들이다.

음식을 함께 먹을 수 있는 사람들이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그 음식 맛 또한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음식 이전에 사람들이 좋으니 굳이 음식을 음미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좋은 사람이라면 그 이상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셋째는 음식의 소재이다.

과연 음식을 만든 그 재료를 어디서 어떻게 구했느냐를 다져본다. 비싸지 않고 호화롭지 않아도 자연에서 채취 한 것으로 만든 음식이라면, 그보다 더 바랄 것은 없다는 생각이다.

 

 

자연에서 자연을 맛보다

 

24일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있는 아우네 집을 찾았다. 수원에서 한 차로 네 명이 이른 시간에 출발을 했다. 이곳을 찾는 이유는 자연이 있기 때문이다. 갈 때 한 가득 먹거리를 준비한다. 먹거리라는 것이 닭, , 과일, 그리고 약간의 주류 등이다. 결국 이 모든 것은 다 먹고 돌아오지만.

 

차를 대놓고 산행을 시작했다. 그저 산을 오르는 것이 아니라 그 산에서 먹을 수 있는 몸에 좋은 것을 찾아보는 즐거운 산행이다. 그리고 두세 시간 저마다 산행에서 얻은 것들을 자랑하다. 그것을 갖고 음식을 준비하는 것이다. 산행에서 구한 것은 다름 아닌 산삼과 더덕이다. 그런 재료를 갖고 만드는 음식이니 그 맛이야 따질 필요도 없다.

 

100년 정도 된 산수유 나무아래 탁자를 놓고 둘러앉았다. 처음으로 나온 음식은 바로 곰취만두란다. 자연에서 채취한 곰취 안에 만두소를 넣어 만든 음식이다. 한 접시가 순식간에 없어진다. 곰취의 독특한 향과 어우러진 소가 입 안에 기분 좋은 향을 풍긴다. 그리고 이어서 나온 것은 바로 더덕백숙이다.

 

 

더덕백숙에 감탄하는 사람들

 

산행에서 채취한 자연산 더덕을 가득 넣고 백숙을 했다. 그 맛 또한 먹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일반 닭과는 달리 더덕을 넣으면 육질이 그렇게 부드러울 수가 없다. 먹는 사람마다 모두 감탄을 한다. 그 맛이 바로 자연이다. 그리고 백숙을 삶아낸 국물에 찹쌀을 넣고 끓인 더덕 찹쌀죽이 나왔다.

 

무엇을 더 이야기를 할까? 그대로 자연에서 자연을 먹은 것이다. 내 몸도 자연이 되는 듯한 느낌이다. 이보다 더 좋은 음식은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만 같다. 사는 것이 이런 재미도 없다면 얼마나 밋밋할까? 모처럼 좋은 환경에서 좋은 사람들과 함께 맛 본 좋은 음식. 이 삼박자가 고루 갖추어졌다면, 세상에 이보다 더 한 행복은 없을 것이다.

 

좋은 환경에서 좋은 사람들과 함께 맛본 자연적인 재료를 이용해 조리한 먹거리. 하루가 즐겁고 행복하면 일주일을 거뜬히 이겨낼 수 있다고 했던가? 이런 날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이 한 없이 큰 행복이다.

 

몸이 피곤할 때면 산에 오른다. 그저 산에 오르는 것이 아니고, 그 산에서 무엇인가를 채취하기 위해서이다. 남들은 건강을 위해서 산을 오른다고 하지만, 나는 건강을 위해서 오르는 것이 아니다. 다만 산을 오르다가 보니 건강이 저절로 찾아온다고 생각한다. 땀을 비오듯 흘리면서 다니기 때문에, 몸 안에 노폐물이 배출이 되기 때문이다.

 

산을 오를 때는 항상 마음을 먼저 가다듬는다. 그저 무작정 오르는 것이 아니라, 산에게 입산 신고를 마음속으로 하는 것이다. 등산로를 따라 다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늘 그만한 위험이 따른다. 요즈음 산에는 각종 벌레들과 뱀들이 눈에 자주 띤다. 모기는 산을 내려올 때까지 주변에 윙윙대고 달라붙는다.

 

산행의 즐거움은 늘 있게 마련

 

사람들은 산을 오를 때 많은 것을 만나기를 원한다. 하지만 혹여 빈손으로 돌아온다고 해도 나쁠 것이 없다. 산에서 좋은 공기를 마시고 숲이 주는 좋은 기운을 가득 받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만으로도 즐거운데 거기다가 귀한 것 두어 뿌리를 더하면 그 날은 괜히 발걸음이 가벼워 질 수 밖에 없다.

 

14일 아침부터 몸이 뻐근하다. 아우 녀석과 산을 가기로 약속을 했으니 몸이 뻐근하다고 약속을 깰 수는 없는 일. 멀리는 갈 수 없으니 강원도 쪽으로 길을 잡았다. 그리고 천천히 계곡을 타고 산으로 오른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낙엽 속에 파묻혀 있는 산삼 한 뿌리를 발견한다. 무릎을 꿇고 주변의 흙을 털어낸다. 꽤 실한 산삼 한 뿌리가 드러났다.

 

 

그 주변을 찬찬히 살펴본다. 아니나 다를까? 멀지 않은 곳이 작은 잎을 낙엽 속에 드러내고 있는 산삼 잎이 보인다.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마음속으로 생각을 해본다. 이건 누구주고, 저건 누구주고. 그렇게 줄 사람을 정하고 보니 오늘은 그만 산을 돌아다녀도 될 듯하다. 그렇다면 무엇을 더 망설일 필요가 있을까?

 

항상 그랬다. 필요한 만큼, 그것도 미리 정한 만큼만 손에 잡았으면 그만이다. 더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한다고 늘 다짐을 하고 산을 오르기 때문이다. 산을 내려오다가 물가에 낀 이끼를 따서 비닐봉지를 담는다. 삼이 마르지 않도록 이끼로 잘 싸야 하기 때문이다.

 

 

주는 마음의 정성이 더 중요해

 

집으로 돌아와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삼을 정리하는 것이다. 비닐지퍼 팩에 이끼로 잘 싼 삼을 물을 조금 뿌려 집어넣는다. 그래야 산에서 채취한 그대로 전해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산행을 하다보면 유난히 힘든 날이 있다. 땀도 많이 흐르고 벌레들도 기승을 떨며 달라붙는다. 요즈음은 뱀들도 유난히 많이 눈에 띤다.

 

숲속에서 만나는 뱀은 낙엽과 같은 색이라 구별이 잘 되지 않는다. 그만큼 주변을 잘 살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더 든다. 그것이 크던 작던 그렇게 고생을 해서 채취한 것이니, 더 정성을 들여 전해주어야 한다. 늘 생각하는 것이지만 받는 사람보다 주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제일 먼저 줄 사람을 정하고 정리를 해 구분을 해 놓는다.

 

 

다 끝내고나서 땀으로 젖은 몸을 씻는다. 시원한 물줄기에 피로가 풀리는 듯하다. 손목이 근지럽다. 얼마나 벌레에 물렸는지 우툴두툴하다. 아마도 극성스럽게 달라붙은 모기떼에게 물린 듯하다. 사람들은 흔히 하기 좋은 말로 비아냥대기도 한다.

 

그렇게 벌레에 물리면서 무엇 하러 힘들여 돌아다녀. 그 시간에 잠이나 자지

그도 그렇다. 하지만 약속을 했으니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 아무리 술자리에서 약속을 했다고 해도, 약속은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주는 사람의 정성을 담은 마음이기 때문에.

 

사람은 많은 것을 가졌다고 해서 행복한 것은 아닌 듯합니다. 흔히 99를 가진 사람이 없는 사람의 1을 빼앗는 것이 세상이라고 하지만, 작은 것에도 행복은 얼마든지 느낄 수가 있습니다. 다만 사람들의 욕심이 도에 지나치다 보니, 오히려 그러한 욕심이 과해 더욱 불행을 초래하기도 하겠죠.

 

5월이 되면서 산에는 자연에서 인간들에게 베푸는 것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4월이라고 없는 것은 아니지만, 5월이 되면 그만큼 풍성한 것들을 찾아낼 수가 있는 것이죠. 산을 가는 이유는 그러한 자연이 주는 것을 받아오고자 하는 것입니다. 물론 가만히 있는데 주지는 않습니다. 그만큼의 땀을 흘려야 하는 것이죠.

 

 

힘들여 오른 산, 정한 만큼만 가져와

 

몇 년째 산을 오르면서 나름 한 가지 나만의 법칙을 세웠습니다. ‘욕심내지 말기’, 바로 그런 하나의 룰을 정한 것이죠. 내가 산을 오를 때, 딱 필요한 만큼을 미리 마음에 새겨둡니다. 그리고 산을 오르기 시작하죠. 어느 정도 시간이 흘렀는데도 필요한 것을 찾지 못하면, 아무 불평 없이 바로 하산을 합니다.

 

괜한 욕심을 내다가 낭패를 당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늘 욕심을 내지 않습니다. 마음에 정한 필요한 만큼의 양이 찬다면 이유 없이 발길을 돌립니다. ‘조그만 더라는 욕심 때문에 엄청난 참사를 불러올 수가 있기 때문이죠. 세상을 살아가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과하지 않는 것이란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근로자의 날1일 일찍 산행에 나서 서너 시간을 족히 계곡을 따라 오르내리다가, 그날 정한 만큼의 양을 채웠습니다. 기운이야 아직 몇 시간은 족히 돌아다닐 수가 있지만, 굳이 그렇게 욕심을 낼 필요는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다음에 또 시간을 내어 산으로 오르면 될 것을, 그리고 보이지 않는 것은 나와 인연이 아닌 것을 욕심을 낼 필요는 없기 때문이죠.

 

 

작은 산삼 몇 뿌리, 그것으로 행복 해

 

사람들은 산삼이라고 하면 영물(靈物)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귀하게 여기는 것이죠. 요즈음은 많은 사람들이 산삼동호회산삼카페등을 구성해 여럿이 몰려다니면서 산삼을 캔다고 합니다. 하지만 산이 좋고, 그 산을 오르면서 흘리는 땀이 바로 나에게는 산삼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건강을 지켜주기 때문이죠.

 

숲에 들어가 좋은 공기를 마음껏 마시고, 거기다가 흐르는 땀으로 인해 몸 안에 독소를 배출할 수 있으니, 그것이 산삼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그저 열심히 계곡을 돌아다니다가 작은 것이라도 산삼(물론 전문적인 심마니들이 캐는 산삼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몇 뿌리를 캐면, 그것을 줄 사람을 정해놓고 산을 내려옵니다.

 

사람들은 이상하다고 합니다. ‘그 귀한 삼을 힘들여 캐놓고 정작 본인이 먹지 않으려면 왜 그 고생을 사서 하나?’라고 묻습니다. 물론 그런 말을 듣는 것이 당연하겠죠. 경비 들여가면서 캔 산삼을 먹는 것도 아니고, 그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니까요. 하지만 그것을 먹고 사람들이 건강해질 수 있다면, 그 또한 복을 짓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마음을 비우고 오른 산에서 만나는 행복

 

산이 나에게 준 것. 저도 그것을 사람들에게 줍니다. 얼마를 보던지, 얼마를 캐던지 미리 정해놓은 만큼만 들고 옵니다. 그리고 그것을 전해주고 난 다음에는, 다음 산행에서 캔 것은 누구를 줄까를 미리 정해놓습니다. 그러니 늘 마음이 조급할 것도 없고, 많이 캐야 한다는 욕심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힘들여 산을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 아주 작은 산삼 몇 뿌리. 그것으로 족합니다. 몇 시간을 땀을 흘렸지만, 하산을 하면서도 몸은 날아갈 것 같습니다. 한 달에 몇 번 이렇게 오르는 산이 있어 좋습니다. 그리고 자연이 주는 영약이 있어 좋습니다. 그것을 받아들고 기뻐하는 사람이 있어 좋습니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이 좋은 이유입니다.

세월호 대참사. 정말 있어서는 안 될 그런 참사였습니다. 벌써 일주일. 구조자는 단 한 명도 늘어나지 않는데, 사망자 숫자만 자꾸 늘어납니다. 그리고 하루 종일 방송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점점 울화만 치밉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나야 하는지. 그리고 그 많은 생명들은 도대체 어찌할 것인지.

 

요즈음 사람들의 얼굴에서 웃음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괜히 잘못 건들면 시비를 걸기 일쑤입니다. 그저 싸움을 하지 못해 안달이 난 사람들처럼, 그렇게 얼굴이 경직되어 있습니다. 너무나 큰 충격을 받은 것입니다. 그 통에도 거들먹이는 인간도 있고, 가슴이 미어지고 있는 유족들을 상대로 사기를 치는 인간들도 있다고 합니다.

 

 

21일 무작정 길을 떠났습니다. 단 몇 시간이라도 TV라는 것을 보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이 들어서죠. 여주에 있는 아우네 집에 들렀습니다. 점심을 함께 먹으면서도, 매번 자랑을 하던 산수유나무 밑에서 커피를 마셔도 그저 말들이 없습니다. 그렇게 만나면 반가웠던 사람들이지만 무거운 침묵만 흐릅니다.

 

산삼과 더덕을 캤어도 즐겁지가 않아

 

괜히 산을 오릅니다. 땀이라도 흘리고 산에 올라가서 욕이라도 실컷 하고 싶어서요. 딴 때보다 더 빨리 달음박질을 치듯 산을 올랐습니다. 등줄기로 땀이 비 오듯 흐릅니다. 모자를 썼는데도 땀이 흘러 눈으로 들어옵니다. 그런데도 땀을 씻기도 싫어집니다. 요즘 사람들이 잘 사용하는 멘붕상태가 되어버린 것이죠.

 

 

저만치 더덕이 보입니다. 잎을 보니 제법 실한 듯합니다. 산에 올랐으니 자연이 주는 것을 두고 갈 수는 없습니다. 정성을 들여 캡니다. 제법 큰 더덕입니다. 족히 십년은 지났을 것 같은데, 이런 더덕을 캐고도 하나도 즐겁지가 않습니다. 작은 산삼 몇 뿌리가 눈에 띱니다. 아우가 부탁한 것이 있어 서너 뿌리를 캤습니다. 그런데도 즐겁지가 않습니다.

 

예전 같으면 벌써 페이스북이며 어디며 곧장 소개를 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러고 싶지도 않습니다. 그저 들고양이처럼 산만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쌓인 낙엽에 미끄러지고 넘어져도 무신경합니다.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아픔을 참기 위해서라면 그저 멍청이가 되었으면 하는 생각도 듭니다.

 

 

연화장이라도 가 보아야 할 텐데

 

엊그제 취재를 나갔다가 들은 소리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저승에라도 가서 선생노릇을 하겠다는 교감선생님을 잘 아는 사람이, 술도 잘 못하는데 술을 먹고 사람들 앞에서 목을 놓아 울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아직도 바다 속에 있습니다. 혹 기적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할까요?

 

그 아이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지금 어떤 심정일까요? 아마도 모두 실종 학생들의 부모님들처럼 함께 지쳐 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최첨단 구조를 할 수 있는 배가 있다고 뉴스에서 이야기를 합니다. 1590억이나 들여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용을 할 수가 없었다는 이야기도 합니다. 이유가 있겠지만, 그 이유가 수백 명의 목숨보다 중요한 것일까요?

 

 

하루 빨리 끝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파도 너무 아픕니다. 자식을 키우는 부모님들의 입장은 다 같을 것입니다. 그 미어지는 아픔을 누가 알겠습니까? 생떼 같은 자식들이 찬 물속에 그리 며칠을 있는데 말입니다. 연화장이라도 찾아가야 할까봅니다. 그곳에 가서 남들과 같이 울음이라도 울면 나아지려나요? 즐거움이 사라진 요즈음, 어떻게 시간을 보낼까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