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북양동(주석로 80번길 139)에 소재한 비봉산 봉림사. 봉림사는 신라 진덕여왕(647~653) 때, 고구려 백제와의 잦은 침략을 부처님의 위력으로 물리치고자 창건이 되었다고 전한다. 정확한 설은 아니나 만일 전하는 바대로라면, 봉림사는 1,500년이나 지난 고찰이 되는 셈이다.

 

‘비봉사’라는 절 이름도 궁궐에서 기르던 새 한 마리가 이 숲으로 날아들었다고 해서, 산 이름을 ‘비봉산(飛鳳山)’이라 불렀으며 절 이름은 ‘봉림사(鳳林寺)’리고 불렀다는 것이다. 11월 22일 찾아간 봉림사. 일주문을 지나면 양편으로 숲길이 아름답게 펼쳐진다. 조금 오르다가 보면 새로 지은 듯한 천왕문이 나온다. 이 천왕문은 2009년 12월 16일에 현판식을 가졌다.

 

 

보물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있는 봉림사

 

아직 천왕문에는 아무런 조형물이 없다. 위로 조금 오르다가 보니 석물로 만든 금강역사가 계단에 양편으로 서 있다. 그 뒤편에는 아래층은 사천왕각이란 현판이 걸리고, 위편에는 범종각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사천왕각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서 만나는 정면의 극락전은 정면 세 칸의 맞배지붕이다.

 

극락전 안에는 보물 제980호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화성 봉림사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극락전 안에 본존불로 모셔져 있는 목불좌상으로, 1978년 불상 몸에 다시 금칠을 할 때 발견된 기록을 통해, 고려 공민왕 11년인 1362년을 하한으로 아미타불상이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이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얼굴은 단아한 편으로 엄숙한 표정을 짓고 있다. 체구 역시 단정하면서 건장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U자형으로 처리된 가슴에 젖가슴을 불룩하게 표현하고, 통견의 불의에는 띠 매듭이 사라지고 3줄의 옷 주름을 묘사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고려 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절 뒷산에 보이는 섬뜩한 표시

 

극락전을 나와 좌측을 보니 소대가 아름답다. 소대를 촬영하려고 가까이 가보니 안내판 같은 것이 보인다. 무엇인가 하여서 자세히 보니 이곳에 지뢰가 매설되어 있어, 지뢰제거를 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뒤편으로는 지뢰라는 삼각표시를 한 깃발이 달려있다. 제거는 했지만 완전히 했는지를 잘 모르겠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보니 절 뒤편 산 여러 곳에 이런 표시가 보인다. 삼성각으로 올라갔다. 봉림사 삼성각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지붕으로 1988년 용상스님이 신축하였다고 전한다. 아마도 이렇게 표시를 해 놓아 사람들은 들어가지 않겠지만, 왜 이곳에 지뢰를 매설해 놓았는지 궁금하다.(사진은 일부러 찍지 않았다)

 

이곳은 한국동란 때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인천상륙작전 때 인천으로만 상륙한 것이 아니라, 화성 서신 앞바다로 진격한 UN군들과 이곳에서 접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이런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곳에 지뢰를 매설한 것이 누구인가를 알만하다.

 

 

 

작지만 아름다운 절

 

봉림사는 아름다운 절이다. 사천왕각을 지나서면 너른 극락전 앞마당에, 극락전을 바라보고 좌측은 요사가 있고 우측에는 설법전이 자리한다. 설법전과 범종각 사이에는 1979년에 조성한 사리를 모셔놓은 삼층석탑이 서 있다. 사리는 1978년에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개금을 할 때, 복장물로 나온 것이다. 복장물에서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조 전기 사이에 각종 경전 8종이 나와 보물 제1095호로 지정이 되기도 했다.

 

이 중에는 1339년에 간행된 목판본인 금강경은 그 크기가 가로 7.3cm, 세로 4.5cm로 담배값보다 적은 크기이다. 이 목판본 금강경은 섬세한 필치로 변상도까지 갖춘 호신용 경전이다. 이 외에도 복장에서는 각종섬유와 곡물병, 사리병, 구슬 등이 함께 발견이 되었다. 작지만 아름다운 절 봉림사.

 

 

 

뒷산의 안내표시는 그렇다고 쳐도 초겨울의 봉림사 경내는 그렇게 또 다른 운치를 느낄 수 있었다. 보물을 안고 있는 천년고찰의 품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다시 한 번 뒷산에 대한 대대적인 지뢰제거를 해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그것 하나로 인해 절을 찾는 사람들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