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은 산에 산삼을 캐러 간다고 하면, 은근히 기대를 겁니다. 물론 운이 좋은 날은 조복삼일 망정 많게는 5구짜리를 합해 10뿌리 정도는 캐 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날나다 그렇게 운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어느 날은 며칠을 산을 뒤져보아도, 가방에 아무 것도 없이 빈 가방일 때도 상당히 많습니다.

 

어제(토)와 오늘(일), 이틀 동안 산행을 한 시간이 다 합해서 12시간 정도는 될 듯합니다. 날도 덮고 그동안의 산행과는 다르게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집중 호우로 계곡의 돌들이 구르고 산이 무너져 내려 조금만 잘 못 딛어도 그냥 흙과 함께 미끄러지기 일쑤이고, 무릎이고 이마고 팔이고 성한 곳이 한 곳도 없을 정도입니다.

 

이틀 간의 산행에서 만난 산삼

 

그래도 빈손은 아니잖아

 

정말 엄청 힘든 산생이었습니다. 제가 산삼을 캐러 다니는 것은, 꼭 산삼을 캐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산에 가서 힘든 비탈과 계곡, 깔딱 고개 같은 비탈을 다니다가 보면, 일반 등산로를 따라 걷는 것의 몇 배 더 체력적으로 소모가 된다고 합니다. 날인 덮고 수풀 속으로 돌아다니니 긴팔을 입고, 목까지 완전히 방비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산모기와 날파리 등살에 견딜 수가 없습니다.

 

비가 온 후라 산 속에 풀은 왜 그리 많이 우거졌는지, 조금만 길을 잘못 들어도 가시덤불 숲에서 헤어나기 위해 몸부림을 칩니다. 오늘 산생은 몇 시간을 헤맨 끝에 겨우 2구짜리 삼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캐고 보니 이 삼이 적은 것은 압니다. 굵기도 칫솔 정도인 것이 나름 꽤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오후 산행에서 캔 더덕 한 뿌리. 뇌두 부분에 있는 작은 더덕과 비교하면 굵기를 알만하다

 

오후 산행에서 초주검이 되다

 

점심을 먹고 다시 시작한 산행. 돌이 제 자리를 잃은 계곡을 따라 오른다는 것은 정말 죽을 맛입니다. 그렇게 몇 시간을 헤맨 끝에 발견한 더덕 한 뿌리. 조심스럽게 흙을 걷어내고 캐어보니, 대박입니다. 아마 20년은 족히 넘은 듯합니다. 길이도 20cm 정도입니다. 그렇게 12시간의 산행에서 얻은 것이 더덕 한 뿌리와, 2구짜리 산삼 한 뿌리입니다.

 

한 마디로 표현하면 ‘개고생을 하고 얻은 것이 없다’라고 할만 하죠. 하지만 나는 전문 심마니도 아니고, 그저 캐면 좋고 못 캐도 무관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 30도가 넘는 더위에 왜 산을 가느냐고요. 산에 가서 땀을 흘린 후 계곡 물을 마시고, 세족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모릅니다. 내가 왜 개고생을 하는 것인지.

 

산 삼의 굵기는 칫솔의 손잡이와 비슷하다

 

내 몸 안에 세속의 찌꺼기를 걷어내는 산행

 

일주일 동안 술 마시고 사람들과 아웅다웅하고, 살다보니 남에게 못된 말도 해야 하고, 이렇게 산다는 것은 참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일주일에 한 번 산에 가서 마음껏 땀을 흘려, 몸 안에 있는 세속의 찌꺼기를 내버리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운이 좋아 산삼이라도 몇 뿌리 캐면, 주변에 필요한 사람들에게 주는 기분 좋은 일도 할 수 있습니다.

 

그 뿐이 아닙니다. 그렇게 땀을 흘리고 난 뒤 보는 사람이 없는 계곡에서, 암반 위를 흐르는 깨끗한 물에 발이라도 담구고 있으면, 신선이 따로 없습니다. 이런 기분을 말로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참 안타깝습니다. 더욱 산에 가면 먹을 것이 참 많습니다. 100% 자연산이죠. 더구나 그 위에는 집도 축사도 없는 곳이라, 오렴이라고는 될 수 없는 곳이죠.

 

더덕의 길이는 밥 주걱의 길이와 흡사하다

 

그런 곳에서 산딸기라도 만나면 정말 신선한 것들을 마음껏 섭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는 것이죠. 자연인 인간이 되고 싶어, 자연의 품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언제나 캐면 좋고, 못 캐도 서운하지 않은 산행이죠. 말로는 산삼을 캔다고 하지만, 산삼이 어디 동네마다 널린 인삼과 같은 것은 아니니까요.

 

이틀 동안 12시간의 산행 후리 많이 지쳐있습니다. 땀에 젖은 빨래 세탁하고, 시원하게 찬물에 샤워라고 한 후 잠을 청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기분 좋은 산행이었다는 것에 감사를 하면서.

 

산행으로 부은 발을 찬 계곡 물에 세족을 하면서 세상의 찌든 때를 씻어낸다

굴뚝 이야기, 알고 보면 흥미롭다. 옛 고택 답사를 하면서 옛 집에서 보는 것들이 비단 굴뚝만 흥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굴뚝도 굴뚝이지만 옛 집에는, 집집마다 나름대로의 볼거리들이 많이 때문이다. 그런 것들은 다음으로 미루고, 우선은 굴뚝 이야기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굴뚝이 그냥 연기를 빼는 용도로만 사용이 되었을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란 생각이다. 굴뚝을 보면 나름대로의 형태에서 그 지역적 특색이나, 집 주인의 성품, 심지어는 그 집안의 가세를 짐작할 수도 있다. 왜 굴뚝에서도 그런 특색이 있다고 보이는 것일까? 물론 추론일 수도 있겠지만, 그 나름대로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위는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장굴뚝이다. 아래는 속초 김근수 가옥의 담장 안에 연도를 뺀 굴뚝이다, 아마도 심한 바람을 이겨낼 수 있도록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른 굴뚝의 형태

굴뚝은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고 앞서 설명을 한 적이 있다. 그러한 굴뚝은 강원도 동해안 등 3 ~ 4월 심한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굴뚝을 별도로 조형을 하는 것이 아니고, 대개는 담장 안에 연도를 이어 굴뚝을 만든다. 굴뚝도 상당히 견고하게 쌓는 편이다. 아마도 그러한 것들은 바람으로 인해 굴뚝이 넘어가지 않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위는 경기 양평의 이항로 생가의 굴뚝이다. 가운데는 전북 고창의 인촌생가의 낮은 굴뚝이며, 아래는 익산 가람 이병기 생가의 굴뚝이다. 내룍이라 그런지 굴뚝이 낮게 조성이 되었다.


서해안 인접 지역 역시 상당히 견고한 굴뚝을 조성한다. 이곳도 바람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와는 달리 내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굴뚝들이 나타난다. 지역으로 보면 경상도 지방의 굴뚝이 화려하고 크다. 이렇게 화려하게 굴뚝을 조성하는 것은, 이 지역의 고택들이 상당히 넓고, 큰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즉 굴뚝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가 집 자체가 크기 때문이다.

경기도 지역과 충청남도 지역의 굴뚝들은 대개가 낮다. 집이 넓다고 해서 굴뚝을 높게 만들지를 않는다. 이런 것은 그 지역의 특징이다. 이렇게 낮은 굴뚝을 조성한 것은, 일기가 비교적 순탄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위는 서천의 이하복 가옥의 굴뚝이다. 아래는 부여 민칠식 가옥의 굴뚝이다. 큰 집에 비해 낮은 굴뚝을 조형했다. 


가세에 따른 굴뚝의 형태

집안의 가세를 보려면 광을 보라고 했다. 오래도록 권력을 잡았던 집인데도 불구하고, 곳간채가 작은 집이 있는가 하면, 안채나 사랑채는 그리 크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곳간채가 상당히 큰 집들이 있다. 이런 경우 그 집의 굴뚝을 보면 상당히 높게 축조가 되었다. 바로 부의 상징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만 같다.



위는 강원도 강릉 지역이 대표적인 선교장의 굴뚝이다. 가운데는 경남 거창의 정온 생가의 굴뚝이며, 아래는 함양 오담고택의 굴뚝이다. 굴뚝이 높게 조형되었다.


또 오랜 세월동안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드나 든 집들을 보아도 굴뚝이 높이 솟아있다. 그만큼 많은 불을 땠다는 것이다. 많은 양을 불을 때려면 아무래도 낮은 굴뚝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굴뚝의 형태는 단순히 불을 때고 그 연기를 뿜어대기 위한 용도만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 200여 채 이상의 고택을 답사하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해보면, 굴뚝 하나에도 그 집안의 내력이 함께 자리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위는 서산 김기현 가옥의 굴뚝이며 아래 좌측은 전주 학인당의 굴뚝이고, 우측은 충북 괴산 청천리 고가의 굴뚝이다. 굴뚝이 높고 화려하게 조성이 되었다.


집안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난방을 하기 위한 조형물인 굴뚝. 아마도 지금까지 보아온 고택의 몇 배를 더 답사를 하고나면, 나름대로 ‘굴뚝의 미학’ 정도 한 권쯤은 쓸 수 있지는 않으려는지. 그래서 고택답사의 발길은 늘 바빠진다.(연재 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