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인 ‘장곡사(長谷寺)’는,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에 소재한다. 사지에 의하면 장곡사는 통일신라시대 문성왕 12년인 850년에, 보조선사가 창건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장곡사는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는 절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사찰이다.

 

7월 14일(일), 엄청나게 들이 붓는 장맛비 속에서 찾아간 장곡사. 경사진 산비탈에 여지저기 전각들이 서 있고, 산비탈에는 몇 백 년은 족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들이 서 있다. 그런 나무들만 보아도 장곡사의 역사를 가늠할 수가 있다. 장곡사는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장곡사 경내로 들어서면 운학루와 보물 제181호인 조선조에 지었다는 하대웅전을 만날 수가 있다. 하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보물 제33호로 지정이 된 고려시대에 조성한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그리고 하대웅전 뒤편으로 난 산으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보물 제162호인 상대웅전을 만난다. 상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국보 제162호인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과 석조대좌, 그리고 보물 제174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석조대좌가 나란히 봉안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왜 장곡사에는 대웅전이 두 개일까 하는 점이다. 구전이겠지만 2005년 장곡사를 찾았을 때, 그 이유를 들은 적이 있다.

 

‘장곡사의 대웅전은 원래 상대웅전이다. 그런데 상대웅전에 모셔놓은 철조약사불좌상이 하도 영험해 이곳에 와서 병이 낫기를 바라고 불공을 드리는 사람은 모두 완치가 되었다. 그 소문을 듣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와, 약사불 한 분을 아래쪽에 하대웅전을 짓고 모셔놓았다.’는 이야기를.

 

그래서인가 장곡사 하대웅전에도 석가모니불을 모시지 않고,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이번에 장곡사를 답사하면서도 그런 이야기를 확인하고 싶었지만, 워낙 많이 쏟아지는 장맛비로 인해 여정을 서두르는 바람에 미쳐 확인을 하지 못했다.

 

 

범종루에 있는 기물 두 가지

 

장곡사 경내에 들어서면 운학루 옆에 범종루가 자리하고 있다. 범종루는 종과 북, 운판과 목어 등을 보관하는 곳이다. 이 범종루에 있는 네 가지를 ‘불전사물’이라고 부른다. 이 범종각에 있는 불전사물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범종은 용뉴와 음통, 그리고 종 등으로 연결이 된다. 이 범종에서 걸 수 있도록 조성한 용뉴는 용왕의 아들인 ‘포뢰’를 상징하는 욤머리를 조각한다. 그리고 대개 몸통에 조각을 하는 보살상은 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려는 목적이다. 즉 범종은 온 우주의 모든 생명을 깨우치는 대자대비의 소리라고 볼 수 있다.

 

불전사물은 처음에 법고를 먼저 치고 나서, 그 다음에 종을 친다. 그리고 목어와 운판의 순으로 진행을 한다. 법고는 대개 범종루의 대들보 등에 매달거나, 법고좌라는 북의 받침에 올려놓기도 한다. 법고는 온 사바세계에 부처님의 말씀을 전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법고는 소가죽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축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강하다.

 

 

목어는 나무로 물고기 형상을 조각하여 그 속을 파내고, 채로 속의 안면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목어는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생명들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겨있다. 운판은 청동으로 만든 금속판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이 운판은 뭉게구름 모양으로 만들어 ‘운판(雲版)’이라고 했으며, 이는 대개 모든 것을 배불리 먹인다는 뜻을 함께 갖고 있다.

 

일설에는 중국 송나라 때 운판을 공양간에 매달아 놓고 대중들을 모이게 할 때 쳤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보면 운판은 모든 생명을 배불리 먹인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듯하다. 거기다가 공양간에 이 구름처럼 생긴 운판을 매달아 놓은 것은, 화재를 막기 위한 뜻도 있을 것이다. 구름이 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장곡사 법고와 통나무 그릇

 

범종각 왼쪽에는 찢어진 큰 북 하나가 매달려 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이 큰 북은, 오랜 옛날 장곡사에 있던 한 승려가 국난을 극복하고 중생을 계도하는 뜻에서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북은 생김새가 지금의 북과는 다른 부정형으로 북통이 조형되어 있다. 앞 뒤편의 가죽은 모두 찢어졌으나, 북통은 그대로 보존을 하고 있다.

 

 

대북의 반대편 바닥에는 통나무 그릇 하나가 보인다. 이 통나무그릇은 오래전 장곡사 승려들이, 밥통 대신 사용하던 생활도구로 전해오고 있다는 것. 길이 7미터, 폭 1미터, 두께 10Cm인 이 통나무 그릇의 바닥 한 복판에는 물이 나갈 수 있는 배수구가 보인다. 도대체 장곡사에 얼마나 많은 승려들이 살았던 것일까?

 

장대비 속에서 만난 장곡사 범종각의 두 가지 기물. 대북과 통나무 그릇의 연대는 알 수 없었지만, 이것만 갖고도 과거 장곡사의 크기를 짐작할 수가 있다. 어찌 꼭 문화재로 지정이 된 것만 중요한 것일까? 이렇게 과거의 소중한 기물 하나가 주는 의미는 또 다른 깊은 뜻이 있는 것을.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소재한 송광사. 김제 금산사의 말사이면서도 사세는 어느 고찰 못지않다. 송광사는 많은 문화재가 있지만, 그 중 돋보이는 것은 당연히 조선시대에 축조된 보물 제1244호 종루이다. 송광사 종루는 십자각으로 지어진 종루이다.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동서남북 사방을 돌출시켜 열 십(十)자 모양으로 지어진 이층 누각을 말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진 고찰 송광사

 

완주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인 867년에 도의선사가 처음으로 창건했다고 한다. 신라 때의 승려 도의는 가지산파의 개조로 추앙을 받은 승려이다. 가지산파란 구산선문의 하나로, 헌덕왕 때 보조선사 체징이 도의를 종조로 삼고 가지산 보림사에서 일으킨 선풍을 말한다.

 

 

송광사는 그 뒤에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중건을 하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인 1622년에 응호, 승명, 운정 등이 중건을 했다고 한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절의 확장공사가 있었으며, 현재도 많은 불사를 하고 있는 절이다.

 

화려한 이층 누각으로 마련한 종루

 

송광사의 종루는 조선조 세조 때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던 것을 철종 8년인 185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조선조에 세워진 수많은 건조물 중 유일한 이층 십자형 종각으로, 그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건조물이다. 이 종각은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돌출된 부분에는 각각 북과 목어, 운판을 걸어놓았다.

 

 

 

이 네 가지의 기물은 불당 앞에 위치하고 있어 '불전사물(佛前四物)'이라고 하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 예불을 올리기 전에 울린다. 북은 땅 위에 사는 네발을 가진 짐승을 위해서, 목어는 물속에 사는 생명체를 위해서, 운판은 창공을 나는 모든 날짐승을 이해서, 그리고 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영혼들을 위한 것이다.

 

송광사 종루는 화려하면서도 소박하다. 자연석인 정평주초 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들은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이 섞여 있다. 그 중에는 자연적인 목재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 있어, 소박함이 느껴진다. 누 위에 기둥들은 모두 원형기둥을 세워 놓았다. 송광사 종루의 공포는 화려하기가 이를 데 없다. 사방 팔작집으로 마련한 종루는 지붕 중심 용마루의 장식 또한 색다르다. 이러한 종각은 우리나라에 유일한 것이기에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하겠다.

 

 

 

 

 

볼수록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요즈음은 참 일기가 가늠하기가 힘들다. 맑았다가도 비가오기도 하고, 여름 같은 날씨이기도 하다가 갑자기 가을이 온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완주군 소양면 방향으로 일을 보러나갔다가 송광사를 들렸다. 사월 초파일 준비로 한창인 경내에는 수많은 등에 여기저기 걸려 그 화려함을 자랑한다. 대웅전 앞에 자리한 이층 종루는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 전국의 고찰을 다니면서 수많은 종각을 보았지만, 송광사 중층 종각과 같은 것을 보지 못했다.

 

 

사방으로 뻗어나간 용마루 중앙에 올린 장식도 아름답지만, 귀공포의 화려함은 말로 형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누마루 밑의 자연스런 기둥들. 제각각 그 모습을 달리한 기둥의 형상들이, 마치 각양각색의 인간들을 보는 듯하다. 그 많은 중생들이 서로가 불전사물을 받치고 예라도 올리는 듯한 모습이다. 송광사 종루를 볼 때마다 마음이 경건해지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언제나 그 자리에 그 모양을 하고 서 있지만, 볼 때마다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오늘도 온 곳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수많은 생명들을 위해 사물에서는 저절로 소리가 울릴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