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지는 시간 팔달구 지동 창룡문로 7번 골목길. 이 길은 골목으로 사람 하나가 걸을만한 곳이다. 이 골목은 지난 해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확정이 돼, 이사를 간 집들이 많은 곳이다. 그만큼 공가(空家)들이 많아 밝은 대낮에도 이 골목에 들어서면 을씨년스럽다. 입구에 두어 채 헐어내는 공사를 하더니 이제는 그도 그친 상태.

 

골목 안으로 들어서면 사람이 이사를 간 빈집마다 벽에 누군가 붉은 스프레이로 낙서를 해놓았다, 하나같이 보상에 대한 불만을 적어 놓은 글이다. 글씨체를 보면 한 사람이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왜 당당히 말을 하지 못하고 이런 짓거리를 하는 것인지. 주인이 떠난 벽에 이렇게 낙서를 해 놓는다고 불만이 해소가 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사람은 누구나 표현의 자유가 있다. 하지만 그 표현하는 방법은 가급적이면 남들이 불쾌감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붉은 글씨로 자신의 불만을 적어 놓다니. 이렇게 밖에 마음속에 불만을 털어놓을 수 없었던 것일까?

 

 

빈 집들이 많은 골목, 얼른 정리해야

 

해가 설핏한 시간에 누군가 이 골목으로 들어선다. 그런데 손에 검은 비닐봉지가 들려있다. 골목 안은 이미 빈집들이 많은데 누구일까? 그러고 보니 얼마 전 이웃에 사는 주민이 한 말이 생각이 난다.

 

집 주인이나 세 들어 살던 사람들이 이사를 기고 난 후에, 노숙자들이 빈집에 들어와 묵는 사람들이 있어요. 밤이 되면 술 먹고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요. 가끔은 사람들이 무섭다고 해요.”

 

지금은 그런 사람들이 없다. 이골목이 순찰강화구역으로 되어있어 수시로 순찰을 돌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골목으로 무엇을 들고 들어가는 것일까? 이상한 생각이 들어 뒤를 따라가 보았다.

 

여기가 쓰레기 적치장입니까?”

 

골목을 걷던 남자가 갑자기 검은 비닐봉지를 빈 집 안으로 집어던진다. 그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걸음을 빨리한다. 무엇인가 궁금하여 여보세요하고 부르자 뒤도 돌아보지 않고 뛰어서 좁은 골목으로 사라진다. 도대체 무엇을 버리고 간 것일까? 다가가 집안을 보니 여기저기 검은 봉지가 있다.

 

봉지 하나를 집어 안을 보니, 세상에 쓰레기들이다. 재활용품도 아닌 소각해야 할 쓰레기들과 심지어 음식물도 들어있다. 정해진 쓰레기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갖다 버린 것이다. 왜 이런 짓을 하는 것일까? 골목 안을 돌면서 빈집들을 들여다보았다. 문이 열린 모든 빈집들이 쓰레기가 쌓여있다.

 

 

이 길 건너편에 사는 사람들이 쓰레기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검은 봉지에 담아 해 떨어지는 시간이 되면 그렇게 빈집에다 갖다 버리고는 해요. 그곳에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게 하느냐고 하면 참견하지 말고 네 일이나 잘하라고 하고 갑니다.”

 

골목을 돌아 나와 혹 길가에 사는 사람들 중 누군가는 이렇게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을 알고 있을까 해서 물었더니 한 두 사람이 아니라고 한다. 비싸지도 않은 쓰레기봉투를 사는 돈이 아까워서였을까? 이렇게 스스로의 양심을 팔아먹은 사람들. 정말 자신이 내다버린 쓰레기보다 못한 인간들이 아닐까? 빈집들을 하루 빨리 정리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주민들은 이야기를 한다. 해당 관청에서는 쓰레기가 더 쌓이기 전에 조치를 취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수원시 팔달구 지동은 아직도 성벽 밖으로 난 아랫동네는 답답하다. 이곳은 골목이 워낙 좁아 장비조차 투입할 수가 없어, 개선사업조차도 못하고 있다. 지동 9통 민원실이 있는 이 골목은 벽이 무너지고, 지붕은 모두 샌다. 천으로 대충 막아놓았지만, 비가 많이 오면 불가항력이라는 것이다. 이 골목 사람들은 오늘도 깊은 한숨으로 날을 보낸다.

 

이렇게 좁은 골목길은 으슥해, 밤이 되면 사람들이 다니기가 두렵다고 한다. 이 골목에서 사는 주민들은 이래저래 화가 난다는 것이다. 이 골목 주민들의 불만은 그치지를 않고 이어진다. 골목을 돌아보니 지동 중에서도 가장 낙후된 곳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올해 연세가 80이신 유병남 할머니께서는 벌써 몇 년째 마을의 환경개선을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쓰레기 적치장에 쌓아놓은 것을 분리수거를 하신다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골목 주민들의 불만

 

“벌써 언제 적부터 이곳이 모두 헐리고 개발이 된다고 해서 기다렸는데, 딴 곳은 다 개발을 했으면서도 이 골목은 그대로 놓아두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지난 번 시장 때 도시가스를 놓아준다고 하더니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다. 없는 서민들이 비싼 기름을 때야 하는데, 좁은 골목이라 기름차가 못 들어온다. 큰 길에서 기름차가 집을 통해 호스를 넘겨 기름을 넣어야 하는데, 길가 앞집에서 싫어한다. 비싼 기름 값이 아까워 추운 겨울에도 보일러도 못 때고 산다.”

 

“비가 오면 물이 넘쳐 전신주 밑으로 물이 빨려 들어간다. 불안해서 못 살겠다.”

 

지붕에는 여기저기 비가 새지 않도록 임시로 방편을 해놓았다. 길이 워낙 좁다보니 차가 들어올 수 없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고 한다. 이곳이 이렇게 골목길은 좁은 이유는 지금 집을 짓고 사는 곳이 개울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 개울 위를 막아 집을 지었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밑에서 올라오는 한기로 몇 배나 더 춥다는 것.

 

 

지동 뒷골목 중에는 비좁아 장비조차 들어갈 수가 없다. 이곳은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주민들이 많은 고초를 겪고 있다 


 

골목길에서 만난 유병남 할머니

 

한참 뒷골목을 사진을 찍고 있으려니, 할머니 한 분이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신다. 신문사에서 왔다고 말씀을 드렸더니, 하시는 말씀이

 

“나 이 동네 들어온 지 50년이나 되었어. 처음에 이곳에 들어올 때 19,000원 주고 이집을 샀지”

“그 때도 이렇게 골목이 좁았나요?”

“아냐. 이 집들이 앉은 곳이 넓은 개울이었어. 물이 많이 흐르는 곳이었지. 그 옆에 밭도 매고 그랬는데. 그런데 그 개울을 덮고 그 위에 집을 지으면서 이렇게 골목이 좁아졌지. 이나저나 여긴 언제 사람이 살만한 곳으로 바꿔준데. 아무래도 내가 너무 오래 살았나봐”

“지금 연세가 어떻게 되셨는데요?”

“나 이제 80여”

“아이고, 아직도 청춘이시네요”

 

그 말씀에 기분이 조금 좋아지셨나 보다. 이런 저런 마을 이야기를 들려주신다.

 

 

예전에 개울물이 흐르던 위에 집을 짓는 바람에 겨울이면 한기가 더 심하다고 하는 뒷골목 


 

알고 보니 이 할머니 시민봉사상 드려야겠네.

 

“내가 쓰레기를 분리수거 하는데, 제발 음식물 쓰레기하고 병이나 캔하고 같이 버리지 말라고 그래”

“할머니 재활용품 주우러 다니세요?”

“그게 아니고 분리수거를 안 하면 가져가지를 않잖아. 그래서 하루에 몇 번씩 나가서 분리수거를 해 놓는 거지. 그럼 다 가져가잖아. 그러면 깨끗한 것이 냄새도 나지 않고 얼마나 보기 좋아.”

 

사실 유병남 할머니 댁은 쓰레기를 모아두는 큰 길에서 안쪽 골목길이라, 냄새하고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도 밤이고 낮이고 하루에 몇 번씩 쓰레기를 뒤져 분리수거를 해 놓으신단다.

 

“할머니께서 워낙 부지런하세요. 남들이 버린 쓰레기를 뒤져 분리를 하신다는 것이 쉽지가 않은 일인데, 날마다 하루도 안 거르세요.”

 

주민들의 말이다. 한 때는 몇 곳을 하셨는데, 이제는 지동 목욕탕 앞에 모인 것만 하신다고. 사실은 딴 곳에서 쓰레기를 분리하시는데, 누군가 끈끈이에 붙은 살아있는 쥐를 그냥 쓰레기봉투에 넣어서 버렸다는 것이다. 그것을 모르고 손을 넣었다가 살아있는 쥐에게 물려 피를 많이 흘리기도 하셨단다.

 

 

 

좋은 일을 하시는 분은 하늘도 돕는 법

 

할머니는 현재 지동 294-25번지에 혼자 살고 계신다. 자녀들은 다 딴 곳에서 생활을 한다고, 얼마 전에 딴 곳에 사는 아들네 집에 가서 한 달 생활비 20만원을 받아갖고 오시다가, 그만 지갑을 택시에 두고 내리셨다고 한다.

 

“택시에서 내렸는데, 지갑을 두고 내린 거야 앞이 캄캄하데”

“그래서 어떻게 하셨어요?”

“어떻게 하긴 택시는 이미 가버렸는데. 그런데 집에 돌아오니 돈지갑이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더라고”

“어떻게 그런 일이?”

“택시기사분이 경찰에게 이야기를 해서 집으로 가져 왔데. 참 사람이 좋게 세상을 살면 하늘도 다 돕는가봐. 그 택시기사 참 착한 분이라 그 사람도 복 받을 거야”

 

지동 골목길에 봉사왕 유병남 할머니. 아무쪼록 오래오래 건강하시기를 바란다. 이런 분이 지동에 계셔, 지동은 그래도 점점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보다. 나도 이참에 꼭 한마디 하고 싶다.

 

“시장님, 이 유병남 할머님 꼭 상 하나주세요.”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