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자기 이름으로 된 땅을 갖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부자나무’라고 부른다. 자그마치 2천평이나 되는 땅을 갖고 있는 나무이다. 그리고 옆에는 2세까지 키워가면서 산다.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294호 석송령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땅을 지니고 살고 있는 나무 석송령은 그 자태만으로도 부자스럽다.

 

나무의 생육상태도 좋은 편이다. 그만큼 신경을 쓰고 있다는 소리이다. 가슴 높이의 줄기둘레가 자그마치 4.2m나 된다, 수령 600년에 나무의 높이는 10m정도다. 그러나 이 정도로 아무 것도 아니다. 그런 생육면에서는 이 나무가 부러울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그 나무는 자신의 앞으로 등기가 되어있는 땅이 있다는 점이다.

 

 

자신의 땅이 있어 안전하다

 

천연기념물이 자신의 땅이 아니라고 해서, 그 땅에서 나가달라고 할 사람은 없다. 천연기념물은 어디에 있던지 당연히 보호를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송령은 다르다. 자신의 앞으로 등기가 난 땅에 살고 있으니, 아무도 이유를 달수가 없다.

 

같은 천연기념물이지만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수령이 약 250살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4m, 가슴높이의 둘레 3.92m의 크기다. 인동 장씨의 묘역을 표시하기 위해 심어졌다고 전해지는 나무다. 그러나 2001년도 독극물 주입에 의해 ⅔ 가량의 가지가 죽어 외과수술을 받았다. 잘라진 가지가 보기에도 안타깝다.

 

 

 

남의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천연기념물들은 이런 피해를 입기도 한다. 그래서 석송령이 더 부러운 것이다. 자신의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니, 자연스럽게 보존이 된다. 옆으로 뻗은 가지는 쇠기둥과 돌기둥으로 받쳐놓았다. 보기만 해도 그 위용에 압도당할 만하다. 석송령이 이렇게 자신의 땅을 갖게 된 것은 이유가 있다.

 

마을의 신목인 석송령

 

석송령은 마을의 신목(神木)이다. 마을 사람들이 지극하게 위하는 나무이기 때문에 아무도 건드리지를 않는다. 우리의 습속 중에 하나인 신목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들이 전한다. ‘신목을 건드렸다가 그 해를 넘기지 못한다.’거나 ‘마을에서 위하는 나무를 잘라다가 땔감으로 썼는데, 그 집안에 우환이 그치지를 않았다’라는 이야기는 늘 들어 본 이야기다.

 

 

 

이런 설화 때문이 아니라고 해도 석송령은 끔찍이 위함을 받는 나무다. 석송령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도 이유가 있다. 약 600여 년 전 풍기지방에 큰 홍수가 났을 때 석관천을 따라 떠내려 오던 것을 지나던 과객이 건져 이곳에 심었다는 것이다.

 

그 후 1930년 경 이 마을에 사는 이수목이란 사람이 영험한 나무라고 하여 ‘석송령(石松靈)’이란 이름을 붙이고,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 6,600㎡(1,996.5평)를 석송령 앞으로 등기를 내주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석송령은 ‘부자나무’로 불리고 있단다.

 

 

 

언제 찾아보던지 푸름을 잊지 않고 당당한 위용을 자랑하고 있는 석송령. 소나무의 수령이 600년 정도가 한계라고 하지만, 석송령의 모습을 보면 그런 수령의 한계를 넘어설 것 같다. 곁에는 석송령의 2세가 자라나고 있으니, 부자나무는 무엇이 달라도 다르다는 생각이다. 볼 때마다 느끼는 위엄이 있어 기분 좋은 나무, 석송령은 그렇게 당당하게 우리를 맞이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