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산99-6에 소재한 양평 용문사. 스령 1200년이 넘은 천연기념물인 용문사 은행나무로 유명한 절이다. 용문사 경내에서 동편으로 약 300m 정도를 가면 보물 제531호로 지정된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를 만날 수가 있다. 이곳을 찾은 시기가 여름철 비가 내리는 날인 듯하다.

 

이 탑과 비는 용문사에서 약 300m 떨어진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비가 오는 바람에 작은 물길을 건너야 했던 기억이 난다. 이 비는 정지국사(13241395)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이다. 정지국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로 황해도 재령 출신이며 중국 연경에서 수학하였다. 조선 태조 4년에 입적하였는데 찬연한 사리가 많이 나와 태조가 이를 듣고 정지국사라는 시호를 내렸다.

 

 

오직 수행에만 힘을 써

 

정지국사 축원은 고려 말의 고승으로 충숙왕 11년인 1324년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나, 19세에 장수산 현암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공민왕 2년인 135330세에 자초 무학대사와 함께 중국 연경에 들어가 법원사의 지공을 찾아보고, 그에게 법을 이어 받은 혜근, 나옹선사에게 사사하였다.

 

그 뒤 무학대사와 함께 중국 각지로 다니며 수도하다가 공민왕 5년인 1356년에 귀국하였다. 벼슬이 싫어 몸을 숨기고 수행에만 힘쓰다가 조선조 태조 4년에 천마산 적멸암에서 입적하였다. 입적 후 다비를 거행할 때 수많은 사리가 나와 정지국사라는 별호를 태조가 내렸다고 전한다.

 

 

단아한 자태의 정지국사 탑

 

탑과 비는 80m정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탑은 조안 등이 세운 것이며 바닥돌과 아래받침돌이 4각이고, 윗받침돌과 탑의 몸돌이 8각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모습이 8각을 이루고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기고, 북 모양의 가운데받침돌에는 장식 없이 부드러운 곡선만 보인다.

 

탑의 몸돌에는 한쪽 면에만 형식적인 문짝 모양이 조각되었다. 지붕돌은 아래에 3단 받침이 있고, 처마 밑에는 모서리마다 서까래를 새겼다. 지붕돌 윗면에는 크게 두드러진 8각의 지붕선이 있고, 끝부분에는 꽃장식이 있는데 종래의 형태와는 달리 퇴화된 것이다.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의 장식이 놓여 있다.

 

일반적으로 사리탑에서 보이는 화려함이 없이 단아한 형태로 조성이 된 정지국사 탑. 아마도 생전 정지국사의 오직 구도에만 애를 쓴 모습 그대로가 아니었을까? 빗길에 찾아 들어간 골짜기에 그저 찾는 이 하나 없이 서 있는 탑을 보면서 괜히 콧등이 시큰해진다. 요즈음처럼 호의호식하면서 수행자인체 한다는 많은 이야기를 들으면서 정지국사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작은 비도 소중한 보물

 

비는 작은 규모의 석비로 윗부분은 모서리를 양쪽 모두 접듯이 깎은 상태이고, 문자가 새겨진 주위에는 가는 선이 그어져 있다. 비문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인 권근이 지었다. 처음에는 정지국사탑에서 20m 아래 자연석 바위에 세워 놓았는데, 빠져 나와 경내에 뒹굴고 있던 것을 1970년경 지금의 위치에 세웠다고 한다.

 

탑과 비가 일괄로 보물로 지정된 정지국사 탑과 비. 비가 뿌리는 날 찾아간 양평 용문사에서 소로 길로 접어들어 탑을 찾아가던 길에 물웅덩이에도 빠지고, 수렁에도 빠져 애를 먹었다. 하지만 그것이 무슨 대수이랴. 소중한 문화재를 만났다는 기쁨은 그 몇배나 행복인 것을. 아마도 문화재 답사를 그치지 못하는 이유일 것이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문화재의 품격이 달라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대개는 격강이 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어떤 때는 격하가 된 것들을 만나기도 한다. 그럴 때는 괜히 마음이 짠하다. 아마도 문화재에 문제가 있었던지 아니면 문화재 보관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운악산에 있는 현등사의 동종은 예전에는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였다가 지난해 1227일 보물로 격상이 된 예이다. 이럴 때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보물을 만났다는 것도 그렇지만, 그 문화재가 그만큼 소중하거나, 아니면 제작 연대 등이 밝혀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봉선사에 봉안되었던 동종

 

가평 현등사에 소재한 동종은 원래 현등사의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이다. 봉선사에는 보물로 지정된 또 하나의 동종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 동종은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현등사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등사 동종은 73.5cm의 아담한 크기로 종신을 여러 개의 구획선으로 나누고, 그 안에 연잎무늬, 당초무늬, 파도무늬 등을 화려하게 새겨 넣어 장식을 강조한 범종이다.

 

 

머리부분인 용뉴는 두 마리 용이 서로 등을 맞대어 몸을 꼬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두발을 힘차게 내딛어 천판을 들어 올리는 모습에서 역동적인 표현력이 뛰어나다감. 비록 크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둥근 곡면을 이루는 천판에서부터 종의 입으로 내려오면서 조금씩 그 폭을 넓힌 종의 형태도 아름답다.

 

주종기를 종에 기록한 소중한 자료

 

현등사 동종의 배 부분에 보면 해서체로 주종기를 돋을새김 하였다. 주종기는 광해군 11년인 1619년에 천보가 짓고 글을 새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동종을 만들게 된 연유와 종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양과 무게등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 뿐이 아니라 이종의 시용 용도와 참여한 사람 등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주종기에 보면 주종장은 주종기를 작성한 천보로 보고 있는데, 그는 조선후기 승려 주종장 가운데 유일하게 임진왜란 이전부터 활동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어,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승장의 계보나 범종의 양식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

 

현재 현등사에 보관되어 있는 이 종은 1619년에 조선 전기 궁중양식 범종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범종이며, 주조상태도 양호하고 역동적이다. 종에 새긴 문양은 생동감이 있는 무늬들을 조화롭게 배열한 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조선후기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종의 양식을 따른 종

 

현등사 동종은 고려 후기 연복사종에서 비롯된 중국 종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특히 종의 중심부를 세 개의 융기선으로 구획하고, 천판에서 종의 입 사이에 다양한 무늬를 시문하여 절로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작은 마름모꼴의 연곽에 구슬 모양의 연꽃봉우리라든가, 천판의 내림연꽃이 중앙을 향해 보상화문처럼 말려든 형태와 그 위로 표현된 구슬무늬 등이 아름답다.

 

 

또한 종의 블록한 배 부분에 크게 자리 잡은 역동적인 연화당초무늬와, 하대에 표현된 물거품이 일렁이는 파도무늬 등은 장엄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1469년 작 남양주 봉선사 동종(보물 제397)이나 흥천사명 동종(보물 제1460), 그리고 1491년 작 합천 해인사 동종(보물 제1253) 등 조선전기의 왕실발원 범종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원래 이 종을 소장했던 봉선사도 왕실의 원찰이었기 때문에, 이전에 만들어진 궁중양식 범종의 여러 가지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의 현등사는 운악산(해발 935m) 산등성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신라 법흥왕 27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기 위해 건너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지어준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 되었다가 신라 효공왕 2년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였다.

 

현등사는 창건 이래 많은 중창을 하였다. 신라 말 효공왕 2년인 898년 도선국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동쪽의 지세가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운악산을 돌아보던 중 옛 절터가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두 번째 중창은 고려 회종 6년인 1210년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쳐 이곳을 찾아오니 석등과 마륵바위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현등사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태종 11년인 1411년 함허득통화상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현등사 경내에는 1619년 봉선사에서 조성한 보물 제1793호인 현등사 동종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인 삼층석탑, 183호인 목조아미타좌상, 184호 청동지장보살좌상 등 12점의 문화재가 전해지고 있다.

 

2km를 걷는 길 겨울경치도 아름다워

 

날이 차다. 입구에서 현등사까지의 거리는 2km 남짓. 하지만 주변 경관을 들러보고 가노라면 언제 다 왔는지 일주문이 보인다. 운악산 현등사라고 현판을 단 일주문을 지나면 계단을 오르는 초입에 불이문이 서 있다. 불이문 한 옆 커다란 바위위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원을 담은 작은 돌들이 빼곡히 쌓여있다.

 

 

천천히 계단을 오른다. 바쁜 일이라고는 없지 않은가? 그저 오늘은 세상 시름 이곳에 다 버리고 훌훌 털고 가야겠다는 생각이다. 조금은 안쓰럽게도 보이지만, 그래도 온갖 세월의 풍상을 다 이겨낸 지진탑이 보인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 앞에 머리를 숙인다. 그 탑이 대단해서가 아니라, 오래 전 그 탑을 조성한 장인에게 죄스런 마음 때문이다. 제대로 지켜내지 못했음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에 삼층석탑이 보인다. 이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하지만 도굴을 당한 것을 2006년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되돌려 받아, 다시 제 자리에 모셨다고 하니 탑이 더 빛을 발하는 듯하다.

 

응진전 앞에서 걸음을 멈추다

 

절이라는 곳이 명소 아닌 곳이 어디 있겠는가? 곳곳의 전각마다 부처가 아니 계신 곳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나에게 가장 눈에 띤 것은 바로 커다란 소나무 밑에 한 칸으로 조성을 한 응진전이었다. 그 모습이 왜 그리 눈물겨웠을까? 아마도 그 안에 들어가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고 있는 저 보살도 나와 같은 생각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고찰들을 찾아다니다가 보니, 이제는 그 분위기만 보아도 대충은 그 절의 세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웅장하고 사람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아니면 일 년의 수입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물론 요즈음같은 물질만능시대에 그런 것으로 절의 가치를 정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절에서 고승들이 득도를 했을까? 왜 역사에 남을만한 고승들은 모두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속으로 숨어들었을까? 인간의 오욕이 보이지 않는 곳을 찾아 부처의 참 마음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현등사 경내를 돌아보면서 온갖 질문을 하고 그 해답을 얻으려고 애를 써본다.

 

하지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이미 내 마음과 몸이 속세의 찌들어있는데. 그저 바람 한 점이 불어 내 몸에 묻은 속세의 먼지를 훌훌 털고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눈은 녹았지만 찬바람은 그대로인 한 겨울의 현등사. 그곳에서 난 잠시 동안이나마 속세를 떠나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본다.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번지에 소재한 갑사에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이 된 갑사대웅전이 있다. 대웅전이란 절의 중심건물로 석가모니 부처님을 봉안한 전각이다. 이 갑사대웅전은 원래 지금의 자리가 아닌 대적전 자리에 있던 것을, 선조 37년인 1604년에 새로 지으면서 자리를 옮긴 듯하다.

 

갑사는 통일신라시대에는 오악 중 서악(西嶽), 고려시대엔 묘향산 상악(上嶽), 지리산의 하악(下嶽)과 더불어, 3악 중 중악(中嶽)으로 일컬어지는 명산 계룡산의 서편에 자리한다.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 1년인 420년에 고구려 승려인 아도화상이 지었다는 설과, 556년에 혜명이 지었다는 설 등이 전한다.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이 창건한 갑사

 

갑사는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이 신라최초 사찰인 선산 도리사를 창건하고, 고구려로 돌아가기 위해 백제 땅 계룡산을 지나가게 되었단다. 갑자기 산중에서 상서로운 빛이 하늘까지 뻗쳐오르는 것을 보고 찾아가보니 천진보탑이 있었다는 것. 이로써 탑 아래에 배대에서 참례를 하고 갑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때가 백제 구이신왕 원년인 420년이다.

 

위덕왕 3년인 556년에는 혜명대사가 천불전과 보광명전, 대광명전을 중건하였으며, 679년에는 의상이 수리해서 화엄종의 도량으로 삼으면서 신라 화엄 10찰의 하나가 되었다. 의상대사는 천여 칸의 당우를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를 창건하여, 화엄도량으로 삼아 전국의 화엄 10대 사찰의 하나가 되어 크게 번창되었다.

 

 

진흥왕 원년인 887년에는 무염대사가 중창한 것이 고려시대까지 이어졌으며, 임진왜란 와중에도 융성하였다. 그러나 선조30년인 1597년이 일어난 정유재란으로 많은 전각들이 소실되었다. 이후 선조37년인 1604년에 인호, 경순, 성안, 보윤 등이 대웅전과 진해당을 중건했고, 효종 5년인 1654년에는 사정, 신징, 경환 등이 중수하였다.

 

이 후에도 부분적인 개축과 중수를 거쳐 고종 12년인 1875년에 대웅전과 진해당이 중수되고, 1899년에는 적묵당이 신축되어 오늘에 전해지고 있다. 갑사에는 조선 후기 들어 새롭게 조성된 불상과 탱화 경판이 남아있다. 또한 갑사는 임진왜란 때 승병장 영규대사를 배출한 호국불교 도량으로도 유명한 유서 깊은 고찰이다.

 

 

맞배지붕에 다포계 양식인 대웅전

 

갑사의 대웅전은 859년과 889년에 새로 지었으나, 1597년의 정유재란으로 인해 건물이 모두 불타 버린 것을 선조 37년인 1604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인 갑사대웅전은 정면 5, 측면 4칸으로 옆면이 사람인자 모양으로 생긴 맞배지붕 건물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양식이다.

 

가운데 3칸은 기둥 간격을 양 끝 칸보다 넓게 잡아 가운데는 공포를 2개씩 놓았고, 끝 칸에는 1개씩을 배치하였다. 내부는 우물천장으로 되어있으며 불단에는 충남유형문화재 제165호인 석가여래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의 삼세불을 모시고 있다. 삼세불의 뒤편에 걸린 탱화는 보물 제1651호로 지정된 영산회상도와 약사회상도, 아미타회상도가 걸려있다. 또한 국보 제298호인 삼신불괘불탱이 불단 뒤편에 보관되어 있다.

 

 

갑사를 답사한 지가 꽤나 시간이 흘렀다. 107일 가을 단풍이 계룡산 아랫자락을 물들이기 시작했을 때니 벌써 두 달이 더 지난 셈이다. 하지만 문화재 답사를 하고 바로 정리를 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한 번 답사에 많게는 20여 가지가 넘는 문화재를 보고오기 때문이다. 갑사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우선 몇 가지만 소개를 하고 미루고 있던 것이, 이렇게 시간이 훌쩍 지나버렸다.

 

앞으로 며칠간은 그동안 소개하지 못했던 갑사의 문화재를 소개하려고 한다, 문화재는 어느 것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의 모습은 바뀐다고 해도, 문화재가 바뀌지는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소재한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창건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 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고찰들은 저마다 계절별 아름다움이 있다. 절이라는 곳이 사시사철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은 다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무량사는 겨울에 특히 정취를 맛볼 수 있는 고찰이다. 무량사는 사실 우리소리문화의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내력이 전해지지 않아 안타까운 곳이다.

 

 

2층으로 지은 불전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의 중심건물은 보물 제356호로 지정이 된 무량사 극락전이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은 2층 불전으로,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 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정면 5, 측면 4칸으로 기둥 사이를 나누어 놓았는데 기둥은 매우 높은 것을 사용하였다. 위층은 정면이 3, 옆면이 2칸으로 되어 있다.

 

위층은 아래층에 세운 높은기둥이 그대로 연장되어 4면의 벽면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원래는 그 얼마 되지 않는 낮은 벽면에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창문을 설치했었는데 지금은 나무판 벽으로 막아놓았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을 모시고 있는 이 무량사 극락전은 조선 중기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불교 건축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배흘림기둥과 활주가 고풍스러워

 

무량사 극락전은 이 사찰의 경내가 극락세계임을 뜻한다. 무량사는 임진왜란 때 크게 불탄 뒤 인조 11년인 1633년에 중창하였으며, 이 극락전도 그때에 지은 것이다. 무량사 극락전은 우리나라의 전각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2층 불전으로 지었으며, 조선 중기 건축의 장중한 맛을 잘 드러내 주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겉에서 보면 2층집이지만, 내부는 통으로 되어있는 이러한 불전은 오층 목탑 형식인 법주사 팔상전과, 3층 전각인 금산사 미륵전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화엄사 각황전이나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도 이러한 형태로 지어졌다. 이 불전들은 모두가 안으로 들어서면 천장까지 뚫린 통층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극락전의 기단은 장대석 세벌대로 쌓고, 자연석 초석을 놓았다. 배흘린 원형기둥을 세워놓고, 1, 2층 모서리에는 처마 끝에 활주를 받쳐놓았다. 아래층 문살은 가운데가 네 짝이고 점차 두 짝, 한 짝씩으로 줄었다. 정면은 모두 창살문을 달아냈으며, 2층 정면도 원래는 살문을 달아있다고 한다. 이는 집안에 빛이 잘 들어오도록 마련한 것이다. 다른 벽들은 모두 흙벽이 아니고 나무판자를 대서 만든 판벽이다. 이런 점은 평지가 아닌 산간에서나 볼 수 있는 독특한 보기이다.

 

동양 최대의 소조삼존불을 모셔

 

극락전 안에는 보물 제1565호인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모시고 있다. 이 심존불은 흙으로 빚어 조형한 것으로 동양 최대의 삼존불이다. 중앙에 좌정한 아미타불은 높이 5.4m이며, 양쪽에는 높이 4.8m의 관세음보살과 역시 4.8m의 대세지보살을 협시보살로 두고 있다.

 

 

17세기 대규모 사찰에서 널리 조성되었던 대형의 소조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는 이 삼존상은, 발견된 복장발원문을 통해 현진이라는 조각승과 1633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이다. 특히 조선후기 조각사 연구는 물론, 조각 유파 연구에도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