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민속은 정월에 중점적으로 연희가 된다. 이렇게 모든 기원성 민속이 정월에 몰리는 것은, 일 년을 시작함에 있어서 풍농과 가내의 안과태평 등을 얻기 위한 뜻이다. 정월 초하루가 되면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난 뒤, 초이틀은 ‘귀신 날’이라고 하여서 문밖출입을 삼가고 집안에서 근신을 한다.  

초사흘서 부터는 하늘에서 ‘평신’이 내려오는 날이라고 하여서, 마을의 풍장패가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그렇게 지신밟기를 하는 풍장패들이 길에서 만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기싸움’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정월 열나흘날 밤에는 횃불싸움, 석전, 줄다리기 등이 이웃마을과 벌어진다. 또한 달이 뜨기를 기다려 달집태우기를 한다. 이렇듯 정월 초사흘부터 시작하는 놀이는 정월 열나흘에 정점에 오른다.

풍농을 유도하는 의식인 볏가리 대 세우기

논 가운에 세우는 볏가리 대

정월 열나흘날 낮이 되면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밟기를 마친 마을의 풍장패가, 먼저 대동우물에 찾아가 우물고사를 드린다. 그 사이 마을 사람들은 널따란 논 한 복판에 높이 짚으로 감싼 대를 세운다. 그 대의 끝에서 논바닥까지 짚으로 엮은 줄을, 세 갈래나 다섯 갈래를 늘인다. 그리고 그 갈래가 진 줄에는 벼, 기장, 수수, 콩 등 오곡을 봉지에 넣어서 매달아 놓는다.

마을마다 이 볏가리 대를 만드는 방법은 약간씩 다르다. 그렇게 줄을 늘여놓은 다음, 볏가리 대 밑에는 쌀가마를 갖다가 놓는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제상을 준비하고, 마을에서 선정된 제관이 제를 지낸다. 정월 열나흘날의 볏가리 대를 세우는 의식은 이렇게 끝이 난다. 그리고 음력 2월 초하루가 되기를 기다린다.

영등 날에 내려 풍농을 기원하다

음력 14일에 세운 볏가리 대는 음력 2월 초하루에 내린다. 2월 초하루는 영등할미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오는 날이라고 한다. 이날 바람이 많이 불면 그 해는 가뭄이 든다고도 한다. 이날 마을 주민들은 모두 볏가리 대 주변으로 모여, 볏가리 대 주위를 돌면서 풍장에 맞추어 흥겹게 춤을 춘다.

그런 다음에는 제상을 차리고 제를 올린다음, 볏가리 대를 내린다. 주머니 안에 있는 곡식을 꺼내 싹이 얼마나 자랐는가를 보고, 그 해의 풍농을 점치기도 한다. 내린 볏가리 대에서 떼어낸 주머니는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외치면서 가마니 안에 집어넣는다. 이런 행위는 모두 천석만석의 소출을 내게 해달라는 기원이다.  

2005, 2, 9 한국민속촌

태안군 이원면 관리에서는 마을에 있는 무속인이, 볏가리 대를 세우는 날 우물에 가서 축원을 한다. 그리고 대나무에 한지를 오려 붙인 신장대를 마을주민이 잡으면 경을 읽는다. 신장대는 마을 돌아다니면서 마을에 있는 사악한 귀신들을 쫒아낸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정월의 민속은 기원성을 띠고 있다

‘가리’란 단으로 묶은 장작이나 볏섬 등을 차곡차곡 쌓은 것을 말한다. 또한 곡식이나 장작 따위를 세는 단위이기도 하다. 한 가리는 스무 단을 말하는데, 볏가리 대란 이렇게 곡식을 쌓아놓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정월에 연희가 되는 민속은 대개가 기원적 성격을 띤다. 줄다리기, 장치기, 볏가리 대 세우기 등 이 모든 것은 다 풍농을 얻기 위한 방법이다.

한국인의 생활에서는 풍농이나 풍어, 혹은 마을과 가내의 평안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풍년이 들어서 모든 식솔이 배부르게 먹을 수 있어야만 했다. 그런 사고가 이렇게 다양한 정월의 놀이문화를 창출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도 농촌에서는 그러한 마음속의 바람이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