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을 걷다가 보면 서문인 화서문서부터 동문인 창룡문 사이에는 유난히 많은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이곳이 평지이다 보니 그만큼 많은 대비를 해야 했을 것이고, 그런 것들이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즐길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반화수류정과 용연은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 꼭 밤에 달빛이 교교하게 흐르는 모습이 아니라고 해도, 그 자체만으로도 언제나 각양각색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만일 방화수류정에서 용연으로 나오고 싶을 때는 어떻게 했을까? 그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동북각루인 방화수류정 바로 옆에, 숨겨진 문인 북암문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암문의 문루 위에 쌓은 아치형의 용도는?

 

암문은 대개 숨겨 놓았다. 그러나 북암문은 성벽이 양편에 돌출되었을 뿐이다. 누가 보아도 그것은 작은 성문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양편을 검은 벽돌로 쌓은 성벽 안에 움푹 들어가 있는 북암문은 방화수류정에서 동편으로 40보의 거리에 있다. 안과 밖은 모두 검은 벽돌로 쌓았는데, 문의 위에는 둥그렇게 아치형으로 아름답게 꾸몄다.

 

암문은 비상시에 군사들의 빠른 이동 등을 고려해 만든 성문이다. 더 견고하게 하려면 아무래도 저렇게 문 위에 아치형으로 벽돌을 쌓아야만 했을까? 물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그렇게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하지만 정작 그 아치형으로 쌓아올린 벽돌의 쓰임새는 더 중요한데 있다.

 

그것은 바로 전쟁이 일어났을 경우, 적이 문을 공격해 오면 아치로 된 벽돌을 무너트려 성문을 막아버리는 것이다. 아름답기만 한 아치형의 구조물이 이런 쓰임새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감히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화성을 겉도는 것이 재미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시원하게 터진 조망을 바라보는 즐거움

 

북암문을 지나면 갑자기 성이 용틀임을 하며 위로 오른다. 지형이 갑자기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곳은 성 돌을 잘 다듬지 않고 막쌓기를 한 구간이다. 그런 모습이 비탈을 오르는 나그네를 더욱 편안하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그 위에 돌출 된 치성 위에 올려 진 전각이 삐죽이 얼굴을 내밀고 있다.

 

병사들이 쉴 수 있는 ‘동북포루’ 창룡문을 향해 걷다가보면 이곳은 비탈 위에 축성을 하였고, 동북포루는 그 제일 높은 곳에 자리한다. ‘각건대’라고도 부르는 이 동북포루 위에 앉으면 앞으로 펼쳐지는 풍광이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 어떤 지형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은 것이 바로 화성이다.

 

 

 

동북포루는 아래는 돌로 쌓고 그 위는 검은 벽돌을 이용해 3단으로 쌓아올렸다. 그리고 그 안은 공간을 만들었으며, 총안 구멍 19개와 누혈 11개를 조성하였다. 치성 위에 잇는 병사들을 보호하고 쉬는 공간이지만, 이곳으로 몰려드는 적에게는 참으로 소름돗는 구조물이 아닐 수가 없다.

 

또 하나의 암문, 동암문을 지나다.

 

그 성곽을 따라 걷다가 보면, 푸른 이끼가 낀 성 돌과 하얀색의 성 돌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아마도 200년 전의 역사와 현대가, 사이좋게 몸을 부딪치며 성을 이루고 있는가 보다. 그 돌 틈 사이사이에 생명이 자라고 있다. 그저 아무렇게나 성 돌에 기대어 살고 싶은 생명들이다.

 

 

 

밑으로 경사가 진 성곽을 따라 걷다보면 또 하나의 암문이 나타난다. 바로 동암문이다. 이 동암문 역시 북암문과 같은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아치 양편에 비예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 암문의 너비는 말 한필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꾸며놓았다.

 

각건대부터 동암문을 지나 연무대인 동장대 밖을 걷는 성 길을 돌아본다. 마치 뱀이 기어가 듯 구불거리는 성곽의 형태가 또 다른 아름다움이다. 그리고 그곳에는 수많은 이야기를 들려줄 듯한, 생명들이 자라고 있다. 마치 생명 없는 성 돌이 그 생명을 품어, 스스로 살아나려고 하는 것처럼.

 

 

 

저만치 성벽 위에 동장대의 지붕이 보인다. 그리고 동장대 밑으로 가면 비스듬한 비탈 위에 나무 한 그루가 서서 동장대를 훔쳐보고 있다. 화성의 성 밖 나무들은 왜 그리도 성을 탐한 것일까? 아마도 화성 겉돌기를 하는 내내, 그 해답은 얻어질 것 같지가 않다.

우리의 옛 탑 중에서 벽돌로 쌓은 탑을 ‘전탑’이라고 부른다. 이와는 달리 모전탑이란 돌을 벽돌처럼 깎아서 쌓은 탑을 말한다. 대표적인 모전석탑은 분황사지 9층 석탑이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음성군 읍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경내에 있는, 향토자료전시관 앞에는 오층 모전석탑이 서 있다. 균형 있는 형태로 서 있는 모전석탑,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무엇인가 빠진 듯한 느낌이 든다.

 

부서진 채로 발견된 모전석탑

 

음성 오층 모전석탑은 본래 음성향교 앞 옛 절터에 무너진 상태로 있었던 것을, 1956년 수봉초등학교 이철세 교장이 학교 안으로 옮겨 복원하였다. 그 후 1995년 향토 민속자료전시관 앞으로 이전하여 현재의 모습대로 조성한 것이다.

 

이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가 있는데, 현재 2층과 5층의 탑신석이 사라졌다. 그리고 상륜부는 모두 사라져 조금은 정형화되지 않은 상태로 서 있다. 탑의 지대석은 4각 2매로 되어 있으나 한편이 훼손되어 있다. 기단은 단층으로 조성이 되어 있으며, 일석의 돌에 각 면에 양우주가 돌출이 되어있다. 갑석에는 부윤이 정연하며, 상면에 각형으로 1단의 탑신 받침이 있다.

 

1층 탑신 사면에는 감실을 음각해

 

1층 답신에는 각 면의 중앙에 장방형의 감실을 음각 하였다. 1층 탑신에는 직경 9cm, 깊이 10cm 의 사리공이 있다. 탑의 옥개석은 낙수면이 층단을 이루고 있어, 전탑의 형태를 모방하고 있다. 이러한 모전석탑을 조성하면서도, 벽돌로 쌓은 전탑모양의 형태로 꾸몄다는 것이 특이하다.

 

 

1

 

층 몸돌 위에 올린 옥개석은 2매의 돌로 조성했으며, 옥개받침이 3단으로 되어 있다. 2층 이상의 옥개석은 모두 한 장의 돌로 조성을 했으며, 2층과 3층의 옥개받침은 3단이다. 2층과 3층 낙수면의 층도 3단으로 되어있다. 4층 옥개석은 옥개받침과 낙수면 층은 2단이며, 5층 옥개석은 옥개받침만 2단이다. 이렇게 위로 올라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5층 옥개석의 중심에 찰구공이 있으며 그 위에 상륜부는 멸실되어 있다. 현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모전석탑은, 우리나라의 석탑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사라진 석재가 안타까워

 

우리나라에 모전석탑은 그리 흔하지가 않다. 더욱 전탑의 형태를 석탑으로 모방한 이 음성 5층 모전석탑의 경우에는, 그 형태도 안정감이 있게 조성이 되었다. 각 층의 옥개석 끝에는 풍경을 달았던 흔적이 있어, 처음 조성을 했을 때는 그 어떤 탑보다도 아름다웠을 것이다.

 

이 석탑이 언제 훼파가 되었는지, 또 어떤 이유로 이 모전석탑이 존재하던 절이 사라졌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다만 이 모전석탑이 음성향교 앞 절터에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그 일대에 고려시대까지 꽤 웅장한 사찰이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아마 아 모전석탑의 일부 부재가 사라진 것도, 그렇게 무너져 내려져 있었을 당시 사람들에 의해 훼손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우리나라의 많은 석조물에 사용했던 부재들이, 어느 시기에 문화재의 소중함을 모르는 사람들에 의해, 마구잡이로 채취가 되고 심지어는 집안의 주추나 축대, 디딤돌 등으로도 사용이 되었기 때문이다.

 

 

국보 제205호인 중원고구려비의 경우에도 그 소중함을 모르는 사람들이 마을입구에서 발견 당시 이 비를 빨래터의 빨래판으로 사용을 하여, 사면에 새겨진 비면이 마모가 심해졌다고 한다. 이 음성 모전석탑도 이와 같이 주변 사람들에 의해 석물의 일부가 훼손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켜낸다는 것은, 어느 특정인의 몫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깊이 느끼기를 바란다

5월 6일 일요일에 ‘삼사순례’에 나섰다. 아침 6시에 집을 나서 7시에 오대산 상원사, 월정사를 거쳐 여주 신륵사까지 돌아보는 일정이다. 하루 만에 세 곳을 돌아온다는 것이 결코 만만한 여정이 아니다. 그래도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절집 들이라는 것에 가슴이 벅차다.

 

마지막으로 들린 여주 신륵사. 남한강가에 자리한 신륵사를 예전에는 ‘벽절’이라고 불렀다. 봉미산 신륵사를 벽절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신륵사 동편 바위 위에, 벽돌로 만든 다층전탑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다층전탑은 보물 제22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석탑보다 높이 쌓은 전탑

 

벽돌로 만든 탑의 경우 그 높이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석탑의 경우보다 전탑은 그 높이를 높이 세우는데, 이것은 벽돌을 쌓아 층을 올리기 높이를 높이는데 있어 수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높이가 9.4m나 되는 이 전탑은 돌로 만든 기단위에 여러 층의 벽돌을 쌓아올려 만들었다. 탑의 높이도 높지만 남한강 가 암벽 위에 자리하고 있어, 그 높이가 더 높은 듯 장중해 보인다.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7단의 기단 위에 여러 단의 벽돌을 쌓아 탑신부를 만들었다.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려시대 전탑이기 때문에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이 전탑은 얼핏 보기에도 신라시대 전탑보다는 섬세하지 못한 듯 보인다. 신라시대에 조성된 전탑들은 틈새가 거의 나타나지 읺는다. 그리고 벽돌을 촘촘히 박아 벽돌로만 쌓았는데 비해서, 이 전탑은 벽돌과 벽돌 사이를 띄워 그 사이를 점토로 채워놓는 방법을 택했다.

 

신륵사 다층전탑의 건립 시기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그 전탑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 것으로 보이며, 탑 북쪽에 있는 수리비 내용에 의해 이 탑을 조선조 영조 2년인 1726년에 고쳐지었음을 알 수 있다.

 

 

 

올 봄에 문화재를 만나보자

 

봄은 여행의 계절이다. 그것은 날이 덥지도 춥지도 않고, 그저 걸음을 걷기에 가장 적합한 날씨 때문이다. 어디를 가나 새로운 것들을 만날 수가 있다. 들판에 연두빛으로 물을 들인 아름다운 나무들이 사람의 눈길을 잡고 놓아주지를 않는다. 그런 새로움을 느끼면서 답사를 하다가보면, 어느새 하루가 지난다. 그만큼 봄은 여행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피곤을 덜 느끼게 만든다.

 

수많은 문화재들을 만나는 즐거움. 그리고 풍요롭고 아름다운 경관. 그런 것들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가을은 역시 여행에는 제철이다. 이러한 계절에 그저 편한 복장으로 훌적 차에 올라 길을 나서면, 어디를 가나 기다리고 있는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 그래서 가을은 이야기들이 더 풍요로운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