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은 왜 그토록 산을 올라 지어야할까? 높은 산에 있는 절을 찾아 산으로 오르면서, 늘 의문을 갖는다. 딱히 그 해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아마 세속에 물들지 않고 수도에 전념하고자 하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천안시 안서동에 자리한 성불사. 고려 초기에 도선국사에 의해서 세워진 절이라고 한다.

성불사는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왕위에 올라 도선국사에게 명하여 전국에 사찰을 세우도록 했는데, 그 때 지어진 절이라고 한다. 이 때 도선국사가 이 자리에 와보니 백학 세 마리가 어디선가 날아와, 바위를 쪼아 불상을 제작하고 있다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미처 불상을 완성하지 못한 채 날아가 버렸다고 하여 ‘성불사(成不寺)’라 했다가, 후에 몇 번 중수를 거치면서 ‘성불사(成佛寺)’가 되었다는 것이다.

전설 속의 성불사 마애불상군. 세 마리의 백학이 만들다가 날아가 버려 미완성으로 남아 있다.

작은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상군

산비탈에 절을 조성한 성불사. 차로 오르면 그리 어려운 길은 아니다. 주차장에 차를 대놓고 대웅전을 찾아 오르다가 보면, 돌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것이 마치 계단처럼 보인다. 높게 돌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전각을 마련하였다. 산비탈을 이용해 터를 잡은 성불사는 여느 절집들처럼 웅장하지가 않다. 그저 작은 전각들이 여기저기 자리하고 있을 뿐이다.

대웅전을 바라보니 삼존불을 모셨는데, 중간에 부처님이 보이지를 않는다. 법당 안에서는 신도들이 무슨 큰 잔치라도 있는지, 기물을 닦느라 부산하다. 들어가 볼 수도 없어 밖에서 보니, 대웅전 뒷면이 유리벽으로 되어있다. 뒤로 돌아가 본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인 대웅전 뒤에는 편편한 바위가 있다.



산 비탈에 축대를 쌓고 전각을 마련한 성불사(위) 대웅전(가운데) 가운데 석가모니불의 자리가 비어있다(아래)

그런데 그 바위에는 무엇인가가 가득 새겨져 있다. 완성되지 못한 채 있는 마애불상군. 아마 도선국사가 이곳을 찾았을 때, 세 마리의 백학이 바위를 쪼아 만들던 그 마애불상인가 보다. 바위 양편을 갈라 대웅전 뒤편에는 불입상을 도드라지게 새겼고, 그 옆으로는 삼존불과 16나한상을 새겨 넣었다.

전설로 전해지는 내용 그대로인 마애불상군

세 마리의 백학이 절벽을 쪼아 불상을 제작했다는 성불사. 대웅전 뒤편으로 돌아가 보니 정밀로 놀랍다. 그냥 전해지던 전설이 아니었을까? 대웅전 뒤편 바위면에는 겨우 형체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불입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그러나 그 형태가 불입상인 것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아마 부리로 쪼아 이 불상을 만들다가 그냥 놓아둔 채 날아가 버린 듯하다.



대웅전 뒤편에 있는 바위에 조각이 되어있는 마애불상군 

그 옆의 우측 절단면에는 삼존불을 비롯한 16 나한상이 새겨져 있다. 삼존불을 중심으로 16나한상이 이렇게 새겨진 것은 매우 드문 예이다. 현재 충남유형문화재 제16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마애불상군은 전설 그대로이다. 채 완성을 하지 못한 마애불상군. 그리고 돌출이 되어있는 불입상의 형태 등이 그렇다.

삼존불은 연화대에 좌정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와 좌우에 협시보살 입상이 새겨 넣었다. 남아있는 흔적을 보면 연화대와 좌정을 한 석가모니불은 그 윤곽이 뚜렷하다. 그리고 좌우에 협시보살과 16나한상은 아직은 완성을 하지 못한 채로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바위 면을 가까이 다가설 수가 없어 자세한 모습을 볼 수는 없지만, 16나한상은 각각 그 자세가 다르게 표현을 하려고 했던 것 같다.



미완성인 불입상(위)과 그 옆 바위면에 마련한 삼존불과 16나한상(가운데, 아래)

수도를 하는 모습, 서로 마주보고 있는 듯한 모습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을 한 16나한상은 바위 면을 파내고 부조를 하였는데, 마치 감실에 있는 듯한 형태로 꾸며놓았다. 자연스럽게 조성한 삼존불과 16나한상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마애불상군의 형태이다. 이 마애불상군은 14세기 불화에서 보여주는 도상이 남아있고, 도식화가 덜 된 점 등을 보아 14~15세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옛 전설 속에 전하는 그대로 남아있는 성불사 마애불상군. 그래서 산을 오르면서도 힘이 들지 않는 것은, 바로 이런 소중한 문화재를 만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성불사 대웅전 앞에서 내려다보이는 천안시가지. 비가 오는데도 찾아올라간 성불사에서, 옛 스님들이 산 위에 절을 지은 까닭을 조금은 알 듯도 하다.

비를 맞으면 찾아 올라간 성불사에서 내려다 본 천안시가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