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부리성, 이름까지도 생소하다. 도대체 어떻게 생긴 성이기에 사적으로 지정이 되었을까? 정읍을 답사하면서 내심 고사부리성을 찾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성은 고부리의 한 편 산에 자리하고 있다고 한다. 성을 들어서는 입구에 안내판이 없어, 몇 번이고 길을 물어 길을 찾았다. 좁은 길목으로 올라가니 대나무 밭이 보인다.

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1-1 일원에 있는 고사부리성은 해발 132m의 성황산 정상부 두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성이다. 백제시대에 처음으로 축성이 되어 통일신라 때 개축되었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영조 41년인 1765년 읍치가 이전되기까지 계속적으로 활용되었던 성곽이라고 한다.

사적 제494호 정읍 고사부리성
 

토성으로 남아있는 고사부리성

고사부리성은 조선시대 전기까지만 해도 돌로 쌓은 석성이었다고 한다. 조선조 후기에 토성으로 개축이 된 성곽으로 둘레는 1,050m이며, 지표조사 및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문지 3개소, 집수정, 조선시대 건물지 12개소가 확인되었다. 백제시대 ‘상부상항인’이라는 인각와, 기마병의 선각와편, 통일신라시대의 <本彼官> 명문와 등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었다.

고사부리성은 잔존상태가 양호한 다양한 유구와 유물 등이 발굴이 되어, 우리나라 고대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북문 터에서 출토된 '상부상항(上部上巷)' 명의 도장이 찍힌 기와는, 공주, 부여지역의 백제유적이나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인각와 등과는 다르게, 수도를 5부로 나누고 각 부를 다시 오항으로 나눈 '오부오항‘의 표시를 한 장방형 모양의 도장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대나무 숲길을 따라 오르는 고사부리성 길

마을 입구에 차를 대고 천천히 길을 걸어 올라가기 시작했다. 대나무 숲을 지나 위로 올라가니, 해발 132m의 산이라고 해도 한 여름 더위에는 숨이 차다. 길은 비로 인해 여기저기 파여 있고, 길가에는 누군가 대를 잘라 놓았는지 대나무가 길을 막는다.

백제의 한 축이었을 고사부리성

숲이 우거져 하늘이 보이지 않는 곳을 지나니 갑자기 앞이 환하게 트인다. 앞에는 석성임을 알 수 있는 비탈진 곳이 보인다. 좌측으로는 성을 관리하는 듯한 건물 한 동이 보이고 안내판이 서 있다. 사적 제494호로 지정이 된 성이다. 그 위 성곽의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보니 이곳에 문지라도 있었던 것은 아닐까? 성곽 위로 오르니 저 아래 마을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성 위에 오르면 밑으로 마을이 보인다. 성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그리 높지 않은 것만 같았던 성이다. 그런데도 시야가 확 트여 있는 것이, 이곳이 성의 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성 여기저기에는 주추로 쓰였을 돌들이 흩어져 있다. 북문지에는 석성을 쌓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하나, 성을 돌기에는 넝쿨로 인해 불가능 하다.

백제 때 처음으로 축성을 한 후 조선조 영조 때까지 기능을 다했다는 고사부리성. 그저 어느 마을 뒤편 동산에 쌓여진 흙더미 정도로 보이는 이 성은 학술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재이다. 어디를 가나 수많은 문화재가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면, 가슴이 아프다. 말로만 하는 문화사랑과 문화민족이기 보다는, 단 하나의 정신적인 행동으로 보여줄 수는 없는 것인지. 고사부리성을 내려오면서 입구정비라도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이다.



건물의 주추였을 것으로 보이는 돌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백제의 성이었던 공주 공산성 안에 보면 성안의 딴 건물들과는 다른 누각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바로 왕들의 연희장소였던 임류각(臨流閣)이다. 임류각은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22년 조에 의하면 궁궐의 임류각을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그 높이가 5장(약 15m 정도)이나 되는 건물이었다고 한다.

임류각은 서기 500년인 동성왕 22년에 지은 건물로, 왕과 신하들의 연회 장소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산성을 정비하던 1980년에 임류각 터를 발견하고 1993년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2층 누각을 지었다. 건물의 단청 문양은 무령왕릉에서 나온 장신구 및 현실의 벽돌에 있는 무늬를 많이 활용하였다.


동성왕은 왜 이렇게 화려한 누각을 지었을까?

복원을 한 임류각은 상당히 호화롭다. 물론 단청이나 문양 등이 그 당시에 어떠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무령왕릉의 밝혀진 문양과 채색을 사용하였다면,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란 생각이다. 많은 기둥을 놓고 그 위에 마루를 올렸으며, 양편에 계단을 만들어 누각 위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임류각은 정면 6칸에 측면 2칸 정도로 지어졌다. 누각 위에 오르면 금강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백제의 왕은 이곳에서 어떤 연희를 베풀었을까? 누각 위에도 양편에 기둥이 서 있어 이 누각은 색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견고하게 지어진 누각이다. 많은 신하를 거느린 백제의 왕들은 이곳의 주인으로 당당한 세력을 과시했을 것이다.



백제의 건축미를 자랑하고 있는 임류각. 누각 위의 기둥과 누각을 받치고 있는 기둥(중) 그리고 지붕

임류각은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문제는 이 자리가 과연 예전에 임류각이 서 있었던 자리일까 하는 점이다. 백제본기에 보면 임류각은 궁궐의 동쪽에 자리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성 안에 궁궐이 있던 자리는 쌍수정을 오르는 길목 앞이다. 궁궐터에서 보면 이 임류각이 있는 자리가 동편에 해당한다. 그러나 혹자는 임류각이 중국 산동성에 있었고, 임류각을 지은 동성왕도 산동성에 또 다른 궁궐과 호화로운 임류각을 지었다고 주장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임류각은 정자에 해당하는 누각이다. 그리고 궁궐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백제본기에 기록하고 있듯 임류각은 궁궐의 동편에 자리하고 있다고 하였다. 하기에 현재의 임류각의 자리는 서기 500년 당시 동성왕이 지었던 임류각이 맞을 것이란 생각이다.



임류각의 현판과 단청(중) 그리고 무렬왕릉의 문양을 본뜬 천정의 문양

『삼국사기』에 의하면 동성왕은 동성왕 3년인 491년에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공한 고구려와 말갈의 연합군을, 신라 및 가야와 연합하여 격퇴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만 동성왕 6년인 484년에 중국 남조의 유송에게 사신을 보내는 등 외교적 수완도 뛰어났던 왕으로 가록이 되고 있다.

동성왕은 왜 이렇게 호화로운 임류각을 지은 것일까? 아마 고구려와 말갈 등의 침공 등을 막아내고, 백제의 위상을 한결 높였다. 그리고 함께 동맹을 한 신라와 가야 등에게도 백제의 강성함을 보여주고 싶었을 것이다. 또한 신하들에게 자신의 큰 뜻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싶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한 생각이 임류각을 짓게 한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누각에 올라 금강을 내려다본다. 이렇게 아름다운 누각에서 연희를 베푼 동성왕. 이 임류각을 짓고 난 다음 해인 501년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호화로운 임류각을 남겨 놓은 채. 그런 사실을 알고 나면 세상은 더욱 무상한 것이 아닌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