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의 줄기가 흰색이라고 해서 이름을 붙인 백송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한 나무가 아니다. 백송이라는 명칭은 소나무의 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지는데, 그 벗겨진 껍질이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부른다.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백송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다만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수령이 600여 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그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송은 잔뿌리가 적어 옮겨심기가 힘들다. 씨앗도 번식력이 약하고, 어린 나무는 잘 자라지 않아 그만큼 키우기가 힘든 희귀종이다.

 

 

지정 해제된 백송들

 

흔치 않은 나무인 백송이 그나마 살아있는 곳도 많지가 않다. 예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던 나무들이 고사를 했거나, 지정 해제를 당했기 때문이다.

 

1990년 7월. 태풍으로 안해 쓰러진 통의동 백송.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백송이었다(인터넷 검색)

 

천연기념물 제4호였던 서울 통의동 백송은 서울 통의동의 백송은 1993년 3월 24일 바람에 쓰러져서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1990년 7월 17일 폭우를 동반한 돌풍에 쓰러져 줄기가 부러져 천연기념물로의 가치를 상실했다고 판단, 7월 19일 문화재청이 천연기념물에서 해제하려 했지만, 청와대에 가까이 있는 나무가 죽는 것은 불길한 조짐이라는 소문이 돌자 당시 대통령 노태우는 나무를 살려내라고 지시했다.

 

서울시는 '백송회생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나무를 쓰러진 상태로 보호하여 살리기로 하였으나, 1991년 봄 새싹이 나는 등 살아날 조짐을 보였지만, 목재를 탐내는 사람들이 몰래 제초제를 뿌리는 사고가 발생하여 상태가 악화되었다. 1993년 김영삼이 대통령에 취임한 뒤 천연기념물에서 해제되었고, 그해 5월 13일에 나무가 잘려 나갔다.

 

 

이 외에도 천연기념물 제5호였던 서울 내자동의 백송은 1965년 10월 15일 고사로 인해 지정 해제가 되었으며, 2003년 7월 4일 지정 해제가 된 원효로의 백송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4가 용산문화원 뒤뜰에 있었던 소나무로 천연기념물 제6호였다.

 

이 외에도 고사나 보존가치를 상실해 지정 해제가 된 천연기념물 재7호였던 서울 회현동의 백송, 천연기념물 제16호였던 경남밀양의 백송, 천연기념물 제104호였던 충북 보은의 백송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81호였던 개성리의 백송은 미수복 지역에 있어 해제되었으며, 현재는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390호이기도 하다.

 

 

조계사 대웅전 앞 백송

 

현재 서울시 종로구 견지동에 자리하고 있는 조계사 대웅전 옆에는 천연기념물 제9호인 수송동 백송이 자리하고 있다. 수령 500년 정도로 추정하는 이 백송은 높이가 14m 정도이며,밑동부분의 둘레는 1.85m 정도이다. 조계사 뜰 안 대웅전 옆 가까이 서 있고, 대웅전 쪽으로 뻗은 가지만 살아있다. 원줄기에는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한편으로 길게 위로 올라가면서 나 있다.

 

백송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수송동의 백송은 나무의 한쪽은 사람들이 오가는 통로에 바로 접해있고, 다른 한쪽은 건물에 인접해 있어서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생육상태도 좋지 않은 편이다. 거기다가 나무 옆에는 차들이 주차를 하고 있어, 매연으로 인한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가 5그루 밖에는 안된다는 백송. 수송동의 백송은 생육의 환경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기에 얼마나 더 오래 살아있을까 걱정이 앞선다. 지금 부터라도 백송 근처에 차량을 대어 놓는다거나 하는 것은 금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천연기념물이란 그 이름 하나만으로도 무한한 생물학적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 73 - 28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용궁리 백송. 백송이라는 명칭은 소나무의 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지는데, 그 벗겨진 껍질이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부른다.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백송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다만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수령이 600여 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그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송은 잔뿌리가 적어 옮겨심기가 힘들다. 씨앗도 번식력이 약하고, 어린 나무는 잘 자라지 않아 그만큼 키우기가 힘든 희귀종이다.

 

백송은 추사 일문의 상징이 되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예산의 백송은 수령이 약 2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줄기가 밑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죽어서 처리를 해놓았다.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 빈약한 모습으로 서 있지만 백송이 희귀종이라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

 

 

 

예산 백송은 나무껍질은 거칠고 흰색이 뚜렷하다. 이 나무는 추사 김정희 선생이 조선 순조 9년인 1809년 10월에 아버지 김노경을 따라서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갔다가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필통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옆에 심었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김정희 선생의 서울 본가에도 영조가 내려 준 백송이 있다. 그래서 백송은 추사 김정희 일가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예산의 백송은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과 거리가 멀지 않다. 길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 있어, 지나는 길에 들려볼 만하다.

 

수술자국이 마음이 아파

 

사람도 그렇지만 나무 또한 마찬가지가 아닐까? 오래 묵은 나무들이 여기저기 외과수술을 한 자국이 보이면 마음이 편치가 않다. 예산 백송을 찾아가니 생육이 그리 좋은 것 같지는 않다. 곁에 서 있는 커다란 소나무들에 비해 빈약하다. 수술 흔적도 보는 이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비록 생육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천연기념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추사 선생이 필통에 씨를 넣어 갖다가 심었기에 더욱 소중하다는 예산 백송. 앞으로 보존이 잘 되어, 더 많은 씨를 퍼트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