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란 어느 인물의 행적을 적어 후대에 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비에 비문이 없다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 뛰어난 조각기법을 보이는 비의 머릿돌을 갖고 있고, 비 머리에는 제목을 적어 넣는 네모난 부분을 마련했으면서도 정작 비에는  단 한 자의 비문이 없는 비. 이러한 비를 '백비'라 부르는데, 이 비는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5 번지에 소재하고 있다.

이 비는 뛰어난 조각기법이나 그 솜씨로 보아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비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거북이의 몸으로 되어있으나, 귀두가 깨어져 나간 것인지 말머리 형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에서 고려조로 넘어오면서 비를 받치는 귀부는, 대개 몸은 거북이지만 머리는 용머리를 형상화한 것들이 많다. 그런데 연곡리의 귀부는 말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연곡리 석비를 보호하고 있는 전각과 비의 받침인 귀부

말머리에 백비, 누구의 비인가?

보물 제404호로 지정이 된 연곡리 석비는 비를 받치고 있는 귀부와 몸돌인 비, 그리고 아홉마리의 용을 조각한 머릿돌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받침돌인 귀부는 등의 무늬는 거북 등의 무늬와 같이 정교하게 조각이 되어 있어, 상당히 조각기법이 뛰어나다. 거북이의 앞발은 파손이 되었으며, 머리의 형태는 마치 말머리와 같은 모습이다. 이 귀두가 처음부터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닌 듯하다. 앞부분이 절단된 듯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귀두를 보면 머리의 옆에 지느러미와 같은 형태의 조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보이는 귀두인 용머리인 것으로 처음에 조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귀두는 앞부분이 어떻게 이런 형태로 남아있는 것일까? 그 외에 귀두부분은 용머리 형상이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런데 언제 어떻게 해서 이런 모습으로 변해버린 것인지는 알수가 없다. 받침돌의 거북은 그 문양들을 볼때 상당히 기능이 뛰어난 장인에 의해서 섬세하게 조각이 된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형태의 귀두라면, 당연히 중간에 누구가에 의해 훼손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비문이 없는 백비, 누구의 비일까?


비에는 전, 후면을 비롯해 측면에도 글자 한 자가 없다. 

찬찬히 돌아보면 여기저기 금이 가기는 했어도, 전체적인 비의 모습은 뛰어나다. 등 무늬인 귀갑문은 정교하며, 단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비몸을 받치고 있는 받침부분은 연꽃을 조각하였는데, 잎은 작고 양감이 있어 더욱 아름다운 느낌을 준다. 귀부로 꾸며진 받침돌과 옆으로 긴 네모꼴의 비머리 형채 등은 고려 초기의 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비의 위에 얹은 머릿돌에는 모두 9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그 용들은 서로 몸을 꼬아 뒤틀고 있는데, 정교한 그 조각은 가히 뛰어난 작품이다. 아홉마리의 용이 서로 여의주를 물기 위해 다투는 사실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 이렇듯 뛰어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곡리 석비. 도대체 그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단 한 자의 기록도 없는 비만을 갖고는 그 주인을 찾을 길이 없어 안타깝다.

말머리에 비문이 없는 백비. 그리고 전체적인 조각기법이 뛰어난 이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일부러 비문을 적지 않았는지, 혹은 누군가에 의헤 훼손이 되어 비문이 사라진 것인지 궁금하다. 혹 이 비에 어느 인물의 일대기를 적으려고 마련을 했다가, 갑자기 폐사가 되는 바람에 적지 못한 것은 아니었을까? 백비로 남아있는 뛰어난 연곡리의 석비는 그렇게 사람의 애간장을 태운다.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3, 보련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보탑사. 보탑사란 명칭은 이 곳에 3층 목탑으로 지어진 보탑이 있기 때문이다. 원래 이 보탑사 주변에는 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곡리에는 우리나라에서 단 3기 밖에 전하지 않는 비문을 새겨 넣지 않은, 보물 제404호인 백비가 있기 때문이다.

보탑사를 짓기 전에 실시한 지표조사에서는 와당 등이 출토되었으며, 보련산이나 연곡리 등 불교와 밀접한 관계가 지어지는 명칭이 보이는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진천읍에서 서북쪽으로 12km 정도 떨어져 있는 보탑사를 가는 길에는 김유신장군의 생가터가 있는데, 이곳에 있던 옛 절이 김유신의 사적지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장엄함이 느껴지는 보탑사의 3층 목조보탑

현대에 들어 가장 아름다운 목조 3층보탑

보련사를 들어가는 길은 차 한 대가 겨우 드나들만한 길이다. 보탑사를 향하던 중 몇 번이나 차를 물려야 하는 일이 벌어졌다. 마침 휴일에다가 버섯채취가 한창인 시기인지라, 여느 때보다 몇 배가 더 복잡하다고 한다. 겨우 보탑사 입구에 들어설 수가 있다. 주차장을 들어서면 우측으로는 보탑사의 일주문이 보이고, 좌측으로는 이 마을의 역사를 말해주 듯 수령 300년이 지난 느티나무 한 그루가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다.



보탑사 입구에서 그늘을 만들어 주는 수령 300년의 느티나무(위)와 보탑사 일주문(가운데) 보탑으로 오르는 계단

보탑사 일주문을 지나 돌계단 위로는 3층 목탑의 상륜부가 삐죽이 얼굴을 보인다. 계단 위 좌우에는 범종각과 법고각이 서 있다. 밑에서 보기에는 팔각으로 보였으나, 막상 오르고 보니 법고각은 9각으로 지었고 범종각은 7각으로 지어졌다. 앞으로 보이는 거대한 3층 목조보탑. 그 웅장함에 압도를 당한다.


사방불을 모신 장엄한 3층보탑

보련산 보탑사의 3층 보탑. 3층 보탑의 높이는 42.71m나 된다고 한다. 탑신인 1층부터 3층까지의 높이가 108자인 32.72m 이고, 상륜부가 33자인 9.99m이다. 이 보탑은 사방에 문을 내고 그 안에 주불을 모셨는데, 3층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보탑이다. 그저 놀라울 수밖에 없다. 머리를 숙여 예를 갖춘 후, 한편에 서서 고개를 딴 곳으로 돌리지를 못한다,


보탑의 상륜부와(위) 심주를 중심으로 사방불을 모신 보탑의 1층(아래)

예전 신라가 새로운 국가를 열기 위해 황룡사 9층탑을 세우듯, 고구려와 백제가 더 강한 국가를 염원한 많은 목탑을 세우 듯, 그런 마음으로 남북통일은 물론, 옛 고구려의 위용을 다시 한 번 떨쳐내기 위한 염원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 모습만으로도 아름다운데, 그 안에 담긴 뜻이 깊어 더욱 장엄을 더하고 있다. 또한 황룡사 9층 탑 이후 최초로 3층까지 오를 수 있게 축조된 탑이기도 하다.

보탑을 한 바퀴 돌아본다. 행여 발자국 소리라도 들릴까보아 조심스럽다. 1층은 금당이다. 사방불을 모신 금당은 이 보탑의 심주를 중심으로 사방불을 모셔 놓았다. 동방에는 약사보전, 서방에는 극락보전, 남방에는 대웅보전, 북방에는 적광보전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그 현판의 명호대로 그 안에 모셔진 주불과 협시불이 각각 다르다.



범종각과 법고각(가운데) 그리고 와불을 모신 적조전(아래)

2층은 법보전으로 팔만대장경을 모신 윤장대가 있으며, 3층은 미륵전으로 미륵 삼존불을 모셔 놓았다. 보탑주변을 한 바퀴 도는데, 적조전 앞 바위에 모셔진 석불이 빙그레 웃는 듯하다. 마치 ‘무엇을 깨달았는가?’를 묻는 것만 같다. 이 3층 보탑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는 와불을 모신 적조전, 부처님의 제자와 나한을 모신 영산전, 지장전과 법고각, 범종각 등이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



산신각으로 오른다. 통나무 귀틀집으로 지어진 산신각은 너와지붕을 얹어 특이하다. 산신각 앞에 앉아 바라다보는 3층보탑. 그 상륜부 위로 저만큼 가을의 푸른 하늘이 보인다. 뜬구름 같은 인생을 어디서 머물 것이냐고 누군가 묻는다면, 난 이렇게 말할 것이다. ‘보련산 보탑사에서 영원한 발길을 머물고 싶다’고.

통나무 귀틀집으로 지어진 산신각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