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은 11일을 새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제 경우에는 언제나 새해는 음력 정월 초하루인 설날입니다. 아마도 오랫동안 우리민속과 문화재를 답사하다 보니, 그렇게 인식이 된 것 같습니다. 하기에 11일의 새해는 별로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늘 그렇듯 제 절기는 정월 초하루(새해), 정월 대보름, 4월 초파일, 단오, 칠석, 백중, 동지 식으로 음력으로 계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29일 새벽까지, 그동안 힘들게 작업을 해온 수원의 전통시장 이야기가 편집까지 끝났습니다. 앞으로 교정을 보아야겠지만, 일단은 모든 원고를 마감했습니다. 그래도 188P나 되는 책입니다. 5명이 꼬박 세 달 이상을 고생을 해 탈고를 하고, 편집까지 마쳤으니 진이 빠질 법도 합니다. 근자에는 일주일 정도를 거의 날밤을 새우는 바람에 낮과 밤이 따로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새해맞이 대청소를 하다

 

저는 늘 음력으로 절기를 계산하기 때문에, 앞으로 3일 밖에 남지 않은 설날을 좀 더 깨끗한 마음으로 맞이하기 위해 대청소를 시작했습니다. 평소에도 어질러진 것을 보고 넘기지 못하는 성미인지라 늘 정리야 제대로 하고 살지만, 그래도 일 년의 첫날을 맞이하면서 좀 더 신선한 마음으로 해를 맞이하자는 것이죠.

 

사람들은 대청소를 한다고 하면 정리를 하고 쓸고 닦고 하겠지만, 제 새해맞이 대청소는 좀 색다릅니다. 우선 냉장고에 있는 묵은 음식들이나 시간이 좀 지난 것은 모두 버립니다. 혼자 생활을 하다 보니 집에서 밥을 먹을 때보다, 나가서 먹을 때가 더 많아 음식이 오래 묵은 것들이 생깁니다.

 

 

이것저것 치우다가 보니 버려야 될 음식물이 상당히 많은 듯합니다. 음식물 정리를 마치고 나면 냉장고에 들어있는 모든 것을 다 꺼내놓고, 반찬들도 통에 담아 가지런하게 정리까지 합니다. 주방에 물건들도 버릴 것은 버리고, 정리할 것은 차곡차곡 가지런히 놓습니다.

 

치우고 닦고, 다시 치우고

 

방 청소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라 유난히 신경을 씁니다. 방에는 CD장과 책장, 그리고 컴퓨터와 TV 밖에는 없습니다. 먼저 먼지를 털어내고 청소기로 한 번 바닥을 치웁니다. 그리도 걸레로 방을 구석구석 잘 훔쳐낸 다음 다시 한 번 청소기로 밀고 다닙니다. 걸레질을 했다고 해서 모든 것들이 다 치워지지 않습니다. 하기에 꼭 다시 한 번 청소기로 치우죠.

 

그렇게 바닥 청소가 끝나면 책장 등을 구석구석 물걸레질을 합니다. 그리고 마른 수건으로 깨끗하게 닦아낸 후, 다시 한 번 바닥청소를 합니다. 그러다가 보면 방 청소는 걸레질을 세 번이나 하게 됩니다. 그래도 안심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깨끗하게 치운다고 해도, 또 어느 구석엔가 머리카락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옷 방을 정리합니다. 옷걸이에 걸린 옷들을 다 풀어놓고 다시 정리를 합니다. 이렇게 정리를 할 때 오래도록 입지 않은 옷들은 모두 비닐봉투로 씌워 먼지가 타지 않도록 합니다. 옷 방까지 청소를 마치고나니 4시간이나 걸렸네요. 다음은 집 안에 있는 화초들을 일일이 물을 주고, 그동안 미처 정리를 하지 못한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비록 시간은 5시간이나 걸렸지만(별로 넓지도 않은 집인데도 말이죠), 그래도 새해를 기분좋게 맞이하기 위해 늘 이렇게 대청소를 합니다. 제가 이렇게 대청소를 하는 것은 일 년에 4번 정도입니다. 대개는 철이 바뀔 때지만, 설날, 단오, 추석, 그리고 겨울이 오기 전인 입동 절기쯤입니다.

 

 

올해는 청마의 해라고 합니다. 세상 돌아가는 것을 보니 올해도 마음 편하게 살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이럴 때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를 한다는 것은, 새로운 각오를 다지기 위함입니다. 모든 분들이 다 행복해질 수 있는 갑오년이면 좋겠습니다.

요즈음 들어 많은 사람들이 우리 것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이는 고택만이 아니고, 각종 문화재나 먹거리, 심지어는 우리의 정서가 그대로 남아있는 길과 동, 식물 등 다양한 방면에서 관심을 갖고 글을 쓴다. 이렇게 무궁한 소재를 갖고 있는 것 중에서, 아무래도 문화재라는 것은 약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산재해 있는 고택. 그것이 사적이던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던 간에, 그저 찾아가 보는 것보다는 이모저모를 따져보는 것이 한결 재미있다.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이냐를 먼저 생각하고 그 집의 특징을 살펴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집이 눈앞에 그려지기도 한다.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소재한 경남유형문화재 제407호 오담 고택을 돌아보면서, 우리 고택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살펴본다.



함양 오담고택은 사랑채와 안채가 깉은 형태로 구성이 되어있다. 건축물을 볼 때 그 형태를 보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그리고 주변의 대지(아래)를 살펴보면 과거 그 집의 가세를 판단 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종가에서 분가한 양반저택인 오담 고택

오담 정환필(1798~1859) 선생은 일두 정여창 선생의 12대손이다. 선생은 종가에서 분가해 와 정여창 선생의 고택 멀지 않은 곳에 집을 짓고 살았다. 종두리에 기록된 상량문을 보면 사랑채는 1838년에, 안채는 1840년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와 안채는 모두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지었으며, 자연석을 3~4단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집을 지었다.

오담 고택은 종가에서 분리해 온 영남 양반집의 전형적인 주택으로, 조선 후기 주거건축의 양식과 가구기법을 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오담 고택은 최근 복원과 보수를 한 듯한데, 이런 면을 찬찬히 살펴보면 우리 고택이 좀 더 자세히 보인다.

1) 먼저 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알아보자




집의 전체적은 구조란 와가인지 초가인지를 본다. 이런 형태야 한 눈에 알 수 있는 것이지만, 와가에도 팔작지붕, 맞배지붕, 합각지붕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위 오담 고택은 맞배지붕에 부섭지붕을 벽에 달아낸 형태로 자칫 팔작지붕으로 볼 수도 있다. 초가의 경우에도 그 이엉을 얶어 용마름을 앉는 방법이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어,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는 그 집의 툇마루나 대청, 방의 꾸밈과 기단, 기둥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기단은 장대석을 사용했는지, 아니면 일반 부정형의 돌을 사용했는지를 본다. 기둥은 배흘림기둥인지, 팔각이나 사각,혹은 원형기둥인지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의 구성고 알아보아야 한다. 대개 고택에는 수 많은 집이 있다. 사랑채를 비롯해 안채, 행랑채, 대문채, 아래채, 광채, 별당채 등 그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2) 집의 뒤편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고택에는 많은 문들이 있다. 대문을 비롯해 중문, 협문, 쪽문 등 큰 집의 경우에는 집 안에 문에 10여 개가 되는 수도 있다. 하기에 그 문은 어떻게 생겼으며, 어느 용도로 사용이 되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중문의 경우에는 바깥 중문과 안 중문이 있고, 때로는 담에 쪽문을 내어 사용하기도 한다. 하기에 그 문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쓰임새를 알아보아야 한다.


오담 고택에는 문이 그리 많지는 않다. 최근에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이는 사랑에서 안채로 통하는 협문은 나무로 꾸몄다. 대문의 경우에는 소슬대문 옆에 쪽문을 달아낸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은 대개 대문을 열지 않고, 집안의 식솔들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 고택은 문 하나라도 그냥 내는 것이 아니다. 문을 낼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고, 거기에 따른 내적 사고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집 뒤편을 돌아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대개는 정면을 많이 보는데, 집 뒤편에는 굴뚝을 비롯해 벽의 형태, 배수로 등 볼 것이 많다. 또한 굴뚝은 어떤 형태로 만들어 졌는지도 꼼꼼히 따져보아야 한다.

3) 볼품 없는 작은 것 하나도 글이 된다.





고택을 둘러보면 가재도구가 있다. 실생활에 사용했을 이런 것들은 고택을 둘러보면서 가장 눈여겨 보아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툇돌은 어떻게 놓았는지, 마르 밑의 공간은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도 보아야 한다. 부엌은 창문을 어떻게 내었으며, 환기를 돕는 까치구멍은 어떤 형태인지도 살펴보자. 그리고 시렁은 어디에 놓았는지, 시렁 위에는 무엇을 올려 놓았는지도 빠트리지 말아야 한다.


그 외에도 여기저기 널려있는 많은 가구들과 문짝의 형태, 또는 난간은 어떻게 꾸며졌는지도 보아야 하다. 그런 것을 하나하나 찾아보다가 보면, 집집마다 나름대로 특징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4) 제대로 꾸민 집인지를 알아보자



오담 고택을 돌아보면서도 그렇지만 복원을 하면서 정확하게 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복원이란 말 그대로 예전에 형태를 원형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 복원이 되었다는 집을 찾아가 보면, 황당할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오담 고택의 경우에 사랑채와 안채 중간 한편에 장독대를 마련하였다. 시멘트로 바른 것은 그렇다치고 장독대에 담장을 둘러 놓았다. 보기가 좋은 수도 있지만, 문화재란 항상 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담장을 둘러 놓은 것도 보기가 껄끄러운데, 사랑채 뒷방을 보면 앞쪽 방보다 방바닥이 낮게 되어있다. 그리고 방의 층 간격이 넓어 오르내리기도 버겁게 보인다. 원래 이런 형태였는가를 알아보니, 복원을 하면서 형태가 달라졌다고 한다. 고택 답사를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렇게 원형이 변형이 되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중한 문화유산을 돌아보면서, 그 소중함을 먼저 깨우치지 않으면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 이런 문화재 답사는 단지 사진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사고를 알아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쉽지 만은 않은 문화재 답사. 앞으로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답사를 하시는 분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