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인 ‘장곡사(長谷寺)’는,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에 소재한다. 사지에 의하면 장곡사는 통일신라시대 문성왕 12년인 850년에, 보조선사가 창건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장곡사는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는 절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사찰이다.

 

7월 14일(일), 엄청나게 들이 붓는 장맛비 속에서 찾아간 장곡사. 경사진 산비탈에 여지저기 전각들이 서 있고, 산비탈에는 몇 백 년은 족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들이 서 있다. 그런 나무들만 보아도 장곡사의 역사를 가늠할 수가 있다. 장곡사는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장곡사 경내로 들어서면 운학루와 보물 제181호인 조선조에 지었다는 하대웅전을 만날 수가 있다. 하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보물 제33호로 지정이 된 고려시대에 조성한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그리고 하대웅전 뒤편으로 난 산으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보물 제162호인 상대웅전을 만난다. 상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국보 제162호인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과 석조대좌, 그리고 보물 제174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석조대좌가 나란히 봉안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왜 장곡사에는 대웅전이 두 개일까 하는 점이다. 구전이겠지만 2005년 장곡사를 찾았을 때, 그 이유를 들은 적이 있다.

 

‘장곡사의 대웅전은 원래 상대웅전이다. 그런데 상대웅전에 모셔놓은 철조약사불좌상이 하도 영험해 이곳에 와서 병이 낫기를 바라고 불공을 드리는 사람은 모두 완치가 되었다. 그 소문을 듣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와, 약사불 한 분을 아래쪽에 하대웅전을 짓고 모셔놓았다.’는 이야기를.

 

그래서인가 장곡사 하대웅전에도 석가모니불을 모시지 않고,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이번에 장곡사를 답사하면서도 그런 이야기를 확인하고 싶었지만, 워낙 많이 쏟아지는 장맛비로 인해 여정을 서두르는 바람에 미쳐 확인을 하지 못했다.

 

 

범종루에 있는 기물 두 가지

 

장곡사 경내에 들어서면 운학루 옆에 범종루가 자리하고 있다. 범종루는 종과 북, 운판과 목어 등을 보관하는 곳이다. 이 범종루에 있는 네 가지를 ‘불전사물’이라고 부른다. 이 범종각에 있는 불전사물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범종은 용뉴와 음통, 그리고 종 등으로 연결이 된다. 이 범종에서 걸 수 있도록 조성한 용뉴는 용왕의 아들인 ‘포뢰’를 상징하는 욤머리를 조각한다. 그리고 대개 몸통에 조각을 하는 보살상은 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려는 목적이다. 즉 범종은 온 우주의 모든 생명을 깨우치는 대자대비의 소리라고 볼 수 있다.

 

불전사물은 처음에 법고를 먼저 치고 나서, 그 다음에 종을 친다. 그리고 목어와 운판의 순으로 진행을 한다. 법고는 대개 범종루의 대들보 등에 매달거나, 법고좌라는 북의 받침에 올려놓기도 한다. 법고는 온 사바세계에 부처님의 말씀을 전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법고는 소가죽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축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강하다.

 

 

목어는 나무로 물고기 형상을 조각하여 그 속을 파내고, 채로 속의 안면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목어는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생명들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겨있다. 운판은 청동으로 만든 금속판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이 운판은 뭉게구름 모양으로 만들어 ‘운판(雲版)’이라고 했으며, 이는 대개 모든 것을 배불리 먹인다는 뜻을 함께 갖고 있다.

 

일설에는 중국 송나라 때 운판을 공양간에 매달아 놓고 대중들을 모이게 할 때 쳤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보면 운판은 모든 생명을 배불리 먹인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듯하다. 거기다가 공양간에 이 구름처럼 생긴 운판을 매달아 놓은 것은, 화재를 막기 위한 뜻도 있을 것이다. 구름이 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장곡사 법고와 통나무 그릇

 

범종각 왼쪽에는 찢어진 큰 북 하나가 매달려 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이 큰 북은, 오랜 옛날 장곡사에 있던 한 승려가 국난을 극복하고 중생을 계도하는 뜻에서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북은 생김새가 지금의 북과는 다른 부정형으로 북통이 조형되어 있다. 앞 뒤편의 가죽은 모두 찢어졌으나, 북통은 그대로 보존을 하고 있다.

 

 

대북의 반대편 바닥에는 통나무 그릇 하나가 보인다. 이 통나무그릇은 오래전 장곡사 승려들이, 밥통 대신 사용하던 생활도구로 전해오고 있다는 것. 길이 7미터, 폭 1미터, 두께 10Cm인 이 통나무 그릇의 바닥 한 복판에는 물이 나갈 수 있는 배수구가 보인다. 도대체 장곡사에 얼마나 많은 승려들이 살았던 것일까?

 

장대비 속에서 만난 장곡사 범종각의 두 가지 기물. 대북과 통나무 그릇의 연대는 알 수 없었지만, 이것만 갖고도 과거 장곡사의 크기를 짐작할 수가 있다. 어찌 꼭 문화재로 지정이 된 것만 중요한 것일까? 이렇게 과거의 소중한 기물 하나가 주는 의미는 또 다른 깊은 뜻이 있는 것을.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은 기분풀이로 문화재가 아닌 딴 것에 눈이 가기도 한다. 딴 것(?)이라고 하면, 괜히 속으로 홍홍~ 거릴 분들도 있을 것 같아, 미리 답을 얻고 간다. 바로 내가 만난 것은 '개밥 그릇'이다. 순수하고 조금은 촌스러운 우리 말 표현을 하면 '개밥 그릇'이요, 좀 좋게 요즈음 말로 하면 '강쥐 얌얌통'이라고 해두자.

원래 동물을 싫어하는 편은 아니지만, 평소 사람과 개를 구별하는 데는 이골이 나 있는 나이다. 아무리 딴 말은 다 이해를 해도, 아직 개와 나와의 관계를 '엄마, 아빠'란 단어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물론 개를 안아도 주고, 진심으로 귀엽다고 예뻐해 주긴 한다. 동물을 가족처럼 살피기도 한다. 그러나 내가 개 아비가 되는 일은, 내 살아 생전에는 절대로 없는 말이다.

개밥 그릇의 종결자 - 유기 일첩 반상
 
이거 머이가 있다?


일이 있어 국악을 하는 곳을 찾아갔다. 사람 섭외를 하러 갔는데, 정작 내가 가야할 곳은 엉뚱한 곳에 있다는 것이다. 항상 그렇지만 길을 가면서도 무엇인가 글 소재를 찾아 굶주린 하이애나처럼 눈을 번뜩거린다. 연식이 좀 있는 블로거는 늘 그렇다. 그것이 초보와 고참의 차이이기도 하다.

그 곳에서 주변을 두리번 거리고 있는데, 저 녀석은 누구람? 개 한 마리가 자꾸만 힐끗 거리면서 자리를 피한다. 직감적으로 느낌이 온다. 무엇인가가 여기 근처에 있다. 저 녀석 눈을 보니 불안해 하고 있다. 그렇다면 나한테 들켜서는 안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순간 내 눈은 사냥을 하는 매의 눈이 된다.


멀리가지 못하고 불안한 듯 주변을 돌고 있는 녀석
  

멀리 가지 않고 주변에서 맴도는 녀석. 무엇인가를 내가 들고 갈까봐 불안한 것이다. 녀석이 나왔던 곳으로 발길을 옮긴다.

그러면 그렇지, 거기 제 밥이 있었다. 얼라 그런데 이건 머? 개 밥 그릇이 새로 나온 것인가? 조금 색다르다. 가까이 가서보니, 사료를 담아놓은 그릇이, 농악을 할 때 사용하는 꽹가리다. 녀석 이걸 집어갈까봐, 그렇게 멀리가지 못하고 주변을 서성거리고 있었는가 보다. 하긴 이건 '일첩 유기반상'이 아닌가?

아무리 단단한 용기라도 깨지기 마련, 그런데 이런 고귀한(?) 유기반상에 밥을 먹는 저 녀석은, 분명 이 집 주인은 아닌 것 같다. 이곳으로 흘러 들어온 녀석을 위해, 누군가 사료와 물을 이곳에 놓아 준 것이다. 왜 그렇게 생각하느냐고 반문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하자면 이렇다.

우선 이 정도되는 개를 키우는 집이라면 사료를 먹이는 것으로 보아, 물과 밥을 함께 주는 커다란 사료그릇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저만한 개라면 목줄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변을 돌아보아도 개집이 없다. 이런 점으로 보아 이곳에 찾아들어 굶주리고 있는 저 녀석에게, 먹을 것을 주고 있다는 것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개밥 그릇의 종결자. 유기 1첩 반상


누군지는 몰라도 참 고마운 사람이다. 그런데 하필이면 소중한 국악기인 꽹과리에 개밥을 주고 있다니. 밥통을 들고 살펴본다. 금이 가 있다. 그러면 그렇지. 설마 국악을 하는 곳에서 멀쩡한 꽹가리에 개밥을 주었을라고. 그랬다가는 이 성질 별로 안좋은 인간이 벌써 난리를 쳤을 텐데.

속으로는 '아~ 그냥 깨지지 않은 꽹가리에 주었으면, 내 무용담을 담은 더 좋은 글을 쓸수 있었을 것을. 아쉽다' 생각을 했다. 역시 난 블로거 맞다. 그래도 이건 정말로 대단한 글 소재를 주은 것이다.

바로 '유기 1첩 반상 개밥그릇'이 아닌가? 이 정도면 어디가서 '개밥 그릇의 종결자'라고 우길 수 있지 않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