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나갈 때는 사전에 동선부터 정해놓는다. 그것은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문화재를 답사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동선을 정해놓지 않으면 가까운 거리에 문화재를 놓고도, 멀리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전에 촬영을 할 문화재를 정해놓지만, 가끔은 지나는 길에 생각지고 않은 문화재를 만나는 수도 있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수부리 16-6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2보령수부리귀부 및 이수(保寧水芙里龜趺螭首)’가 바로 문화재 답사 자료에는 없었던 문화재이다. 보령시 웅천읍에 있는 독살을 촬영하러 가는 길에 만났으니, 이럴 때는 꼭 많은 돈을 얻어 횡재라도 한 듯 기분이 좋다.

 

독살을 만나러 가는 길

 

독살은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해안가에 소재한 충남 민속문화재 제16호이다. 보령지방은 조석간만인 밀물과 썰물의 차가 커서 예로부터 갯벌에 살을 매어 고기를 잡았는데, 돌로 성을 쌓아 만든 살을 독살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서해안에서는 갯벌에 울타리를 쳐서 고기를 잡았다. 대개의 독살은 대나무를 이용하지만, 이곳은 돌을 사용하였다.

 

 

돌을 촘촘히 쌓아 v자 형태로 만든 살을 독살이라는 하는데, 썰물 때마다 멸치, 새우, 숭어, 전어, 학꽁치 등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어 좋은 수입원이었다. 독산리라는 지명에서 보이 듯 웅천읍 독산리에는 많은 독살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부분 무너져 사라지고, 두 곳만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한 귀부와 이수

 

수부리의 귀부와 이수는 영수암(예전의 단원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근처의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하여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는 비몸을 잃어버린 채 머릿돌만이 놓여 있었다. 영수암 경내로 들어가 귀부와 이수만 남은 것을 찾았으나, 보이지 않는다. 지금은 비몸을 만들어 끼워놓았기 때문이다.

 

 

거북받침인 귀부는 머리가 용 모양이며, 귀와 뿔을 새기고 턱 밑의 수염은 목에까지 조각하였다. 이런 형태의 귀부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초의 귀부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을 새겼고, 중앙에 마련된 비몸을 꽂아두던 홈 주변에는 연꽃을 둘러 장식하였다.

 

주인 없는 귀부와 이수

 

머릿돌은 용과 구름무늬로 가득 차 있으며, 앞면 중앙에는 액자모양의 공간을 두어 다시 자 모양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글씨는 적혀 있지 않다. 이렇게 화려하고 세련된 조각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귀부와 이수가 누구의 것인지는 전혀 알 길이 없다. 대개 머릿돌인 이수의 중앙에 명문을 적어놓지만, 이 이수에는 명문조차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비신을 원 규격을 측정하여 몸돌을 만들어 놓았다. 사라진 몸돌인 비와 명문이 적혀있지 않은 머릿돌인 이수.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는 문화재. 이런 문화재를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그 옆에는 팔각원당형 부도편이 있으나, 이 부도 역시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웅천읍 독산리 독살을 만나러 가다가 만난 귀부와 이수. 결국 예정에 없던 이 문화재를 하나를 만나서인가, 정작 보고 싶던 독살은 물이 차는 바람에 볼 수가 없었다. 문화재라고 찾아가면 언제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 답사 때는 물때를 미리 점검을 해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