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천을 굽어보는 한벽당 앞 다리 쪽에서 올려다보면, 산마루 가까이 7부 능선쯤에 커다란 입석불상이 서 있는데 이곳이 동고사다. 동고사는 전주의 사방에 세워진 절 중 하나로, 남고사, 서고사, 진북사와 더불어 사방에 세운 절 중 한 곳이다.


차를 타고 올라도 힘든 길이다. 6월 7일 5시가 넘어 카메라를 들고 길을 나섰다.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날이라 숨이 턱에 닿는다. 전주의 남고산성과 더불어 마주하고 있는 동고산성을 오르기 위해서다. 동고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성으로, 조선 순조 때 건너편에 있는 산성을 '남고산성'이라 부르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라 헌강왕 때 도선스님이 창건한 동고사


현재 동고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전주의 동쪽에 자리한 절이라 하여 '동고사'라 칭했다고 한다. 동고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되었던 것을 조선조 헌종 10년인 1844년에 허주 스님이 재건을 하고, 그 후 1946년에 영담스님이 대웅전 등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른다.


동고사는 신라 경순왕의 둘째아들이 '범공'이라는 이름의 스님이 되어, 도를 닦으며 나라를 잃은 설움을 달랬던 곳이라고도 한다. 동고사를 오르니 전주 시내가 아래로 내려다보인다. 그만큼 동고산성 인근 위편에 자리한 절이다. 절에는 대웅전과 종각, 산신각, 염불원 등의 전각이 있다. 전각 아래로는 언제 쌓은 것인지 돌을 쌓아 탑을 여러 개 조성하였는데, 담장이가 타고 올라 고찰의 운치를 더하고 있다.

 

 


견훤의 왕궁 터엔 주추만 남아


동고사 인근에 견훤의 왕궁 터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찾아 나섰다. 동고사에서 내려오다가 단군성전 조금 못 미쳐 우측으로 난 길을 돌아 올라가면 동고산성의 안내판이 있다. 동고산성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44호로 전주시 완산구 교동과 대성동에 걸쳐 있다. 이곳은 예로부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의 왕궁 터라고 전해진다.


견훤은 신라 효공왕 4년인 900년에 완산주(현재의 전주)에 '전주성'을 쌓고 도읍지로 정했다. 그 후 936년까지 37년간 존속을 했다. 1990년 이곳을 발굴할 때 전면 22칸 84.4m, 측면 3칸 16.1m, 총 66칸의 건물지가 발견이 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단일 건물지로는 최대의 크기고, 이곳이 견훤왕의 궁성이었던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잡초가 우거진 궁궐터에는 커다란 돌 들이 나란히 놓여있다. 다듬지 않은 넓적한 이 돌들이 당시의 주초였는가 보다. 앞으로는 축대를 쌓았던 흔적인지 가지런히 돌들이 남아있다. 세월이 변해 이곳을 근거지로 삼아 백제부흥을 꾀했던 견훤은 37년 만에 사라지고 말았지만, 그 역사의 흔적은 고스란히 남아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가슴 뭉클하게 만든다.


발굴된 자료에서 견훤의 궁터임을 알 수 있어


이곳을 견훤의 궁터로 추정하는 것은 이곳에서 발견된 자료와 여러 가지 기록에 의해서다. '전주성황사중창기'에는 이곳을 <견훤고궁허>라 하였고, 1980년 발굴된 건물지의 기와 명문에서 '전주성'이라는 글자가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성(城)'자가 박힌 기와는 왕궁 터에서나 쓰던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 이 기와의 연꽃무늬는 신라 말 고려 초기에 것으로, 견훤이 이곳에 도읍을 정한 시기와 일치한다.

 

 


역사는 비정한 것인지. 잃어버린 나라를 다시 세우기 위해 갖은 고생을 하며 이곳 완산주에 후백제를 일으킨 견훤은, 불과 37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동고산성 안에는 여기저기 건물지가 보이는데, 아마 궁을 중앙에 두고 앞으로는 군막들이 있었고, 뒤편으로는 또 다른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다


길을 따라 내려오면서 보니 이곳이 천혜의 조건을 가진 성터로 보여진다. 하지만 37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을 보낸 후 사라진 후백제. 그러나 이곳은 영원한 백제인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아닐는지. 그 넓은 왕궁터에 남은 주춧돌만 보아도, 당시 견훤의 마음을 조금은 읽을 수 있을 듯하다.

노송 몇 그루가 만들어 내는 멋진 풍광. 그리고 주변으로 흐르는 물과 바람에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빼어난 주변경관과 무슨 이야기 하나 있을 듯한 분위기. 바람과 물, 송림이 함께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만들어 내는 곳. 이런 곳이 바로 누정를 짓는데 꼭 필요한 요건이다.


경북 영주 소수서원 입구를 들어서 송림 사이를 지나는 길, 하늘 높게 자란 노송들이 즐비하다. 열을 맞추어선 노송 사이를 지나면서 깊은 호흡을 한다. 솔향이 코끝을 간지럽힌다. 이런 좋은 송림에서 사람들은 노송의 자태를 닮아 푸른 마음을 가졌던 것일까? 물소리가 나는 곳으로 다가가 건너다보니, 내를 건너 노송 몇 그루와 함께 어우러진 정자가 보인다.

 

 

500년 세월 고고한 자태를 지니다


취한대, 조선조 명종 5년인 1550년, 당시 풍기군수이던 이황선생이 처음으로 지은 정자다. 이 아름다운 곳에 정자를 짓고, 소수서원의 원생들이 시를 지으면서, 청운의 꿈을 키우도록 한 것이다. 누구인들 이 아름다운 풍광에 젖지 않았을까? 아마도 이런 곳에 지은 이 취한대로 인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풍운의 끔을 안고 큰 발걸음을 옮길 수가 있지 않았을까?


취한대를 오르기 위해 내를 건너간다. 물살이 흐르는 곳에 시멘으로 넓적하니 징검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내를 건너 천천히 취한대를 향한다. 그저 바쁜 일이 없다. 이 절경에 나를 맡겨본다. 그것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길이다. 바쁜 걸음을 걷다가도 이런 곳을 만나면, 그저 시간을 붙들어 놓은 듯 여유를 부릴 수가 있다.

 


바쁠 길 없는 여정, 서낭에 돌을 놓다


가는 길에 보니 서낭이 있다. 예전 이 내 곁으로 난 길을 따라 걷던 사람들이, 여정의 평안함을 위해 돌 몇 개를 올려놓고 안전을 빌었을 것이다. 서낭 주변에는 금줄이 처져있는 것을 보니. 주변 마을에서 이곳에 제라도 지내는 모양이다. 아마도 오랜 시간 그렇게 사람들과 함께 했을 것이다. 


주변에 구르는 돌 하나를 집어 서낭에 던진다. 돌과 돌이 부딪치며 내는 "딱" 소리가 경쾌하다.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답사를 하는 나로서는 이렇게 서낭을 만날 때마다 돌 하나라도 더하고 간다. 그 숱한 여정의 무탈을 위하는 마음에서이다.

 

 


정자는 보수를 하였는지 말끔하다. 단청을 하지 않은 맨살을 드러낸 나무들이 소수서원과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주변의 소나무들이 오히려 이 맨살의 나무들을 더 아름답게 치장을 해주는 듯하다.


호연지기를 키우는 정자, 취한대


‘취한’이란 맑은 물 푸른 솔과 함께 호연지기를 키우라는 뜻이다. 이렇게 맑은 물이 흐르고 노송이 푸르른 자태를 자랑하는 곳이라면, 그 누군들 호연지기를 키우지 않으리오. 아마 젊은이들이 이 취한대를 자주 찾아드는 것도 그런 꿈이 있기 때문인가 보다.


취한대를 보고 있는데 젊은 남녀들이 앞을 질러간다. 취한대 마루에 앉아 담소를 하는 모습을 보며 미소를 짓는다. 세월은 지나고 사고는 달라져도, 아름다움을 느끼는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나보다. 젊은이들은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연신 웃음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옛 소수서원의 원생들도 이들과 같은 모습이었을까?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고 자신을 알아가고, 아마 그런 꿈을 만들었을 것이다.

 


취한대의 모습에 녹아본다. 저 대들보 위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젊음의 이야기가 쌓여있을까? 그 이야기를 훌훌 털어내어 한 아름 엮어내고 싶다. 그 이야기들을 오늘 꿈을 잃어버리고 대학이라는 문을 향해 달려가고만 있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다.

남원 시청에서 요천에 난 다리를 건너 좌측 길로 가다가 보면, 도로 좌측에 ‘용담사’라는 이정표가 나타난다.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소재한 이 절 안으로 200m 정도를 들어가면, 절 문을 들어서면서 커다란 탑 하나를 만나게 된다. 탑이라고 하지만, 이 탑의 생김새가 일반 석탑과는 아주 다르다. 흡사 석재를 높이 쌓기를 한 것처럼 느껴진다.

용담사는 정확하게 어느 시기에 세워진 사찰인지를 알 수가 없다. 다만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다고도 하고, 통일신라 말기에 선각국사 도선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절에 전하는 전설이나 여러 가지 유물로 보아서, 통일신라 말기에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려 때에 세워진 칠층석탑, 이상한 탑일세.

한 마디로 이런 형태의 탑은 보기가 어렵다. 흡사 높이 쌓기 내기라도 한 듯한 모양이다. 높이가 워낙 높다보니 안정감이라고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탑은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데, 현재 상륜부는 사라진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이가 상당히 높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얹었는데, 너무 길쭉하고 홀쭉한데다가 지붕돌이 몸돌보다 유난히 크고 두터워서 불안정한 모습이다. 기단은 하나의 돌로 간단하게 되어 있다. 탑신의 몸돌은 2층에서부터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3층은 6단, 4층은 5단, 5층은 4단, 6∼7층은 3단으로, 위로 오를수록 받침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네 귀퉁이도 희미하게 들려 있다.




이 칠층석탑은 탑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불안정하다. 전체적으로 투박한 형태의 칠층석탑은 탑신의 5층 몸돌은 편편한 돌 2개를 양쪽으로 세워 위를 받치고 있는데, 이렇듯 불안정한 부분 때문에 탑이 기울어져 있는 듯해,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높이가 9.95m에 이르고 있는 용담사 칠층석탑. 이 탑은 용담사 창건당시의 유물 22점 가운데 하나로 보이는데,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용담사의 최초 창건연대가 고려 초기가 아닌가도 생각하게 만든다.



왜 이런 탑을 조성했을까?

11월 4일 찾아간 용담사. 시간이 늦어 제대로 사진을 찍을까도 걱정이다. 용담사는 이번이 초행은 아니다. 벌써 세 번째 찾아왔다. 첫 번 째와 두 번 째는 이상하게 비가 오는 바람에 탑을 제대로 찍을 수가 없었다. 위부분이 까맣게 나왔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날이 흐린데다 시간까지 늦어 걱정이 앞선다.

여름철과는 달리 11월부터는 답사도 힘이 든다. 날이 금방 어두워지기 때문이다. 같은 답사를 해도 겨울철에는 짧아진 해 때문에, 여름철의 절반 정도 밖에는 답사를 할 수가 없다. 마음이 바쁜 김에 먼저 사진부터 찍어놓고 탑 주위를 살핀다.



높이 10m의 칠층석탑. 그 형태로 보나 조각을 한 것으로 보나.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이런 모양의 탑을 세운 것일까? 그러고 보면 남원은 배의 형상이라고 했다. 그리고 물에 떠내려 갈 것을 염려해 선원사에는 배를 묶는 석주가 남아있다. 물론 상징적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높게 조성한 탑은 혹 배의 깃대는 아니었을까? 좌우로 바람에 따라 중심을 잡기 위한.

이상하게 불안정한 칠층석탑을 올려다보면서, 많은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 해답은 결국 얻지 못하고 돌아선다. 그러면서도 속으로 되뇐다. ‘저 탑 정말 배의 깃대가 맞을 것 같다’고.

사람마다 좋아하는 계절이 다르다. 누구는 만믈이 소생하는 봄이 좋다고 하기도 하고, 누구는 녹음이 우거지는 여름이 좋다고도 한다. 그런가 하면 모든 것이 결실을 맺는 가을이 좋다는 사람도 있고, 순백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겨울이 아름답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지는 계절. 그 중에도가을은 결실의 계절이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기도 한다. 난 나름대로 좋아하는 계절이 가을이다. 이유는 우선은 답사를 하기에 적당한 날씨이기 때문이다. 가을은 사람들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인지. 또 어떤 모습에서 가을을 느낄 수 있는지. 나름대로 난 가을을 이런 것들에게서 느낀다.


가을은 낙엽에서 온다. 단풍이 들고 그것이 떨어져 있을 때 정말 가을이라는 것을 느낀다.



널어 놓은 호박꼬지며 처마 밑에 달려 있는 옥수수. 이런 것들에서도 가을은 느낄 수가 있다.



장독대에 널어 놓은 빨간 고추와 초가 지붕 위에 달린 덩치가 큰 호박. 결실의 상징이기도 하다.



노랗게 물들어 가는 은행잎, 그리고 절반은 떨어져 나무 아래를 노랗게 칠을 하고 있는 낙엽. 이런 것들에서도 가을이 깊어짐을 알 수 있다.



장독대 위에 놓인 감이 연시로 익어가고, 멍석에 놓인 감이 점점 연하게 변하고 있는 모습에서 정말 가을이네 라는 것을 느낀다.

단종임금이 숙부에게 쫒겨나 멀리 강원도 땅으로 가다가 목이 말라 마셨다는 샘 '어수정' 그 맑은 물에 떨어진 낙엽들이 가을임을 이야기 한다.

올레길, 둘레길... 요즈음 각 지자체마다 주변의 산책로에 나름대로 이름을 붙여 걷기를 종용하고 있다. 주민들의 건강이나 관광객들의 즐길거리를 하나 더해준다는 기분 좋은 자연적 자원활용이다. 가끔은 이런 길에 있었나 싶을 정도의 아름다운 길을 만나기도 한다. 워낙 사진을 찍는 재주하고는 메주인 나로서는 그 아름다움을 제대로 전해 줄 수 없음이 늘 안타깝다.

지난 8일 찾아간 북지장사 가는 길. 대구 팔공산 올레 제1길이다. 소나무 숲길이 1.5km가 이어지는 길을 타박거리며 걷고 있노라니, 세상에 찌든 세상살이의 역겨움이 다 씻어지는 듯하다. 물과 돌, 그리고 소나무들이 정겨운 소나무 숲길. 그 길을 따라가 본다.


아름다운 소나무 길. 언제 걸어도 좋을 듯



길을 걸어 조금 가다보니 올레길이란 안내판이 보인다. 그리고 가을 수확을 하느라 바쁜 일손이 거기 있었다.


소나무가 양편으로 갈라서 사람을 기다린다. 하늘을 찌를 듯 솟은 나무 틈 사이로 쏟아지는 햇볕이 눈부시다. 그리고 여기저기 널린 돌들. 산돌들은 그렇게 오랜 시간 그 자리에 앉아 오가는 길손에게 말을 건다.


북지장사. 아마도 대웅전보다 지장전이 더 유명한 절이었는지. 북족에 있는 지장사란 이름을 붙인 것을 보면. 절에 무슨 행사가 있었을까? 오고 가는 사람들의 발길이 잦다. 커다란 산돌들이 나무 숲 그늘에 쉬고 있다.



산을 감돌아 흐르는 계곡가에 소나무가 돌을 피해 자라고 있다. 자연은 그렇게 딴 사물에 피해를 주지 않고 스스로 피해 자란다. 인간들은 왜 저런 진리를 모르는 것일까? 그런 조악한 마음을 가진 자들이 보고 배웠으면 좋겟다는 생각을 한다. 길가 계곡물이 흐르는 옆에 쌓아놓은 돌탑. 예전에 이곳에 서낭당이라도 있었음 즉하다.



안양교란 작은 다리가 놓여있다. 아마 이곳서 부터는 속세의 연을 내려놓으라는 것인지. 물이 흐르는 곳을 바라다본다. 참 깨끗하다. 저 물에 더렵혀진 몸과 마음을 흘려보내란 것인지. 그 위로 아이를 데리고 부부가 한가롭게 걷고 있다. 거리를 보아도 아이를 데리고 걷기 딱 좋은 길이다.


길 우측 소나무 숲속에 누군가 쌍탑을 쌓았다. 그 옆으로 실하게 자란 배추밭이 보인다. 올해는 배추금이 어떠려나.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이제 하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세상 인심을 보아야 한다니...



길가 허름한 집 담벼락에 누군가 친절하게 거리를 서 놓았다. 이곳에서 사람들은 조금은 여유로움을 느낄 수가 있다. 좌측으로 소나무 들이 조금 더 커진 듯한 길이다. 그 길 끝에 북지장사가 나그네를 기다리고 있다. 

그저 터벅거리고 걸어도 20여분. 왕복 3km의 소남 숲길이다. 물과 돌이 함께 하는. 아이들과 걷기에도 적당한 거리인 이 소나무 숲길은, 그렇게 오랜 세월 객들을 기다리며 굽어보고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