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에 소재한 수원박물관에는 야외전시장이 있다. 이 전시장에는 많은 비와 수원시에서 발굴이 된 무덤 등이 그대로 옮겨져 있다. 수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는 기관과 문중으로부터 기증받은 유물과 수원 관내 곳곳에 흩어져 있던 유물을 옮겨와 전시하고 있다.

 

야외 전시장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수원에서 관리를 지낸 인물들의 업적을 나타내는 선정비, 의장석물, 묘제석물, 생활 유물 등이 야외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야외전시 유물 중에는 수원시 향토유적 제 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목동 석곽묘(石槨墓)’가 있어, 수원박물관을 찾아오는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통일신라시대의 매장 문화를 알 수 있어

 

석곽묘는 일명 돌덧널무덤이라고도 부른다. 돌덧널무덤은 지하에 네모난 구덩이를 파고 자연 할석이나 자갈돌을 쌓아 직사각형의 공간을 마련한 무덤을 말한다. 여기에 시신을 직접 묻거나 목관에 넣어 매장한 후 판돌이나 나무를 이용해 뚜껑을 덮었다. 이 야외 전시장에서 만나 볼 수 있는 돌덧널무덤은 이목동에서 발굴한 것을 옮겨온 것으로 수원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의 석곽묘이다.

 

발굴상태 그대로 옮겨와 복원을 한 석곽묘는 머리 받침석이 있고, 장정 한 사람이 누워있을 정도로 땅을 판 후 사방을 돌을 쌓은 형태이다. 이 석곽묘의 발굴 당시 회청색의 연질 완과 연황색의 연질 대부완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이런 통일신라시대의 석곽묘 중 가장 유명한 곳이 바로 경주 대릉원에 있는 천마총이다.

 

 

23기의 고분이 모여있는 경주 대릉원

 

대릉원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에 미추왕을 대릉에 장사를 지냈다라는 기록 때문이다. 이 대릉원에는 미추왕릉을 비롯하여 경주시 황남동에 소재한 12만 평이 넘는 거대한 고분군이다.대릉원에는 23기의 고분이 모여 있는 곳으로, 경주의 무덤들은 릉, , 총 등으로 구분 짓고 있다.

 

이 중에서 릉은 임금을 매장한 고분이고 묘는 왕이 아닌 사람들의 무덤, 그리고 총은 왕릉으로 보이지만 매장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치가 않을 때 붙이는 명칭이다. 하기에 경구 전역에 산재한 많은 묘 중에는 미추왕릉과 같이 릉이라는 명칭이 붙은 묘와, 김유신 묘와 같이 왕이 아닌 사람들의 묘, 그리고 황남대총이나 천마총처럼 총이라는 명칭이 붙은 묘명이 있다.

 

 

전설과 함께 문화재이야기를 들려주자

 

미추왕은 신라 제13대 임금이다. 경주 김씨 최초의 왕인 미추왕은 삼국사기에 미추왕은 백성에 대한 정성이 높았다. 5명의 신하들을 각처에 파견해 백성의 애환을 듣게 하였다. 재위 23년 만에 세상을 떠나니 대릉에 장사지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미추왕의 릉을 죽릉혹은 죽장릉이라고 부르는데 그 연유가 전한다.

 

신라 제14대 왕인 유례왕 때 이서국의 침입이 있었는데, 이때 어디선가 귀에 대나무잎을 꽂은 수많은 병사들이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난 뒤 사라져 버렸다. 삼국사기 제2권 신라본기 제14대 유례 이사금조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유례 이사금 14년인 297년에 보면 봄 정월에 지랑을 이찬으로 삼고 장흔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순선을 사찬으로 삼았다. 이서고국이 금성을 공격해 왔으므로 우리 편에서 크게 군사를 일으켜 막았으니 물리칠 수가 없었다. 그런데 홀연히 이상한 군사가 왔는데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았으며, 모두 귀에 대나무 잎을 달고 있었다. 우리 군사와 함께 적을 물리친 후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누군가 대나무 잎 수만 장이 죽장릉(미추왕릉) 앞에 쌓여있는 것을 보았다. 이로 말미암아 나라 사람들이 말하기를 앞 임금이 음병으로 싸움을 도왔다고 했다

 

물론 이 전설은 수원지역이 아닌 경주지역에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하지만 우리가 아이들과 함께 수원박물관 야외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돌덧널무덤인 석곽묘를 보면서 설명을 한다면, 쉽게 석곽묘와 릉의 비교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이제는 아이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고민할 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