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흔히 판소리라고 하면 전라도를 먼저 생각한다. 그 곳에 많은 소리꾼이 있고, 섬진강을 경계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구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기충청간의 소리인 중고제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중고제는 한수이남과 금강이북인 경기도와 충청도에 전해지던 소리를 말한다.

 

그 중 경기도 소리는 경제(京制)’라고 하여서 여주 벽절이라는 신륵사에서 명창 염계달이 의해 전해진 소리를 말한다. 예전 판소리의 명창들은 스스로의 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하였다. 흔히 <독공>이라 하는 이 소리공부는 동굴 속이나, 혹은 폭포에서 수년에서 10년이란 긴 시간을 소리에만 전념한 것이다.

 

17세에 길에서 장끼전을 주워 벽절 신륵사를 향한 염계달. 낮에는 절에서 불목하니 노릇을 하면서 밤이 되면 소리공부를 시작했다.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런 날들이었을까? 그렇게 하기를 10. 당당히 명창의 반열에 오른 염계달 명창. 염계달 명창은 조선조 정종 때부터 철종 때까지 활동한 명창이다. 판소리에 경기도 소리조인 경드름을 새롭게 창출해냈다. 판소리 명창들이 '추천목'으로 지목하는 곡도 바로 염계달 명창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리꾼들이 몰려들었던 화성행궁

 

평양 능라도에서 덜미소리 한번을 내어 10리 밖에서도 그 소리가 들렸다고 하는 평택 진위출신 모흥갑의 앞에서는 그 누구도 적벽가를 부르지 못했다고 하니 당시 모흥갑의 명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알 수 있다. 중고제(中高制)는 판소리에서, 조선 헌종 때의 명창 모흥갑(牟興甲염계달(廉季達김성옥(金成玉)의 법제(法制)를 이어받은 유파를 말한다.

 

이른 시기의 판소리 명창 중에서 모흥갑은 기록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소리꾼 중의 한 사람이다. 신위의 관극시, 송만재의 관우희, 윤달선의 광한루악부, 이유원의 임하필기, 이건창의 이관잡지, 신재효의 광대가등에 모흥갑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 그 외에도 춘향가무숙이타령등에도 모흥갑의 이름이 등장한다.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은 그만큼 모흥갑이라는 명창이 당대에 명성을 떨쳤음을 나타내는 증거이다.

 

 

모흥갑은 소리하는 모습이 그림으로 남아 있는 유일한 소리꾼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덟 폭 짜리 <평양감사부임도> 중에는 능라도에서 많은 구경꾼이 모인 가운데 소리하는 광경을 그린 것이 있는데, 여기에 소리하는 소리꾼이 모흥갑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수원은 판소리꾼들이 무대를 이어갔다. 그런 수원은 예부터 수원 화령전 옆 건물인 풍화당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발탈의 예능보유자 고 이동안 선생이 기거할 때 전국의 소리꾼과 춤꾼들이 이곳에 모여 소리를 하고 춤을 추었다고 한다. 그런 맥이 흐르고 있는 수원이기에 판소리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무대가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서울 성수아트홀 무대에 올린 남도소릿길

 

19일 이른 시간에 서울로 향했다. 그동안 문하생들과 함께 수원의 곳곳에서 남도소리를 들려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흥부가와 적벽가의 이수자인 소리꾼 강승의 선생이 이끄는 무대가 열린다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다. 서울 성동구에 소재하고 있는 성수아트홀 무대에 오후 7시부터 열린 무대에는 경기안택굿 고성주 명인의 살풀이춤까지 오른다고 하니 일부러 찾아간 것이다.

 

이날 공연은 객석을 메운 사람들로부터 많은 환호를 받았으며 판소리 중 심청가와 흥부가 등을 각색해 관객들이 보기 좋은 무대를 만들었다. 그냥 소리만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적당히 연출된 무대로 인해 소리극을 보는 것 같아 관객 누구나 좋아할 만한 무대였다. ‘ 남도소릿길 - 풍월을 싣고무대를 감상하면서 수원에서 무대에 올랐던 많은 소리꾼들이 생각난다.

 

이날 남도소릿길에는 많은 인원이 무대에 올랐다. 강승의 선생의 문하생들이 보여준 2시간의 공연. 물론 그들이 모두 소리의 멋을 안 것은 아니다. 이제 소리를 갓 시작한 문하생들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시간 가까이 무대를 지켜보면서 이제 수원도 옛 영화를 되찾아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수많은 재인들이 거쳐 간 수원. 우리 전통을 지키고 찾아가는 것은 곧 우리의 정체성을 찾는 길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