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청에 대해서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한다. 자칫 재인청이라는 곳이 어떤 특정한 전통예술을 하던 것처럼 포장이 되기도 하는 것을 보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것이 어떤 것이 되었던지 재인청에 속한 수많은 기예인들이 있었고, 한 때는 모든 전통예술분야를 총괄하던 곳이 재인청이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재인청은 무부들의 집단이었나?

 

물론 재인청은 ‘무부(巫夫=화랭이)’들이 자신들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재인청이라는 명칭을 붙인 것도 고려조부터 전해진 교방청(敎坊廳)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재인청은 무부들의 조직이면서도 그 안에 화랭이, 광대, 단골, 재인 등 수 많은 예인들이 속해 있었으며 아주 엄한 규제가 있었다.

 

 

재인청은 경기도를 비롯해 충청과 전라도에도 있었으며, 각 군마다 군 재인청이 있었다. 각 도 재인청의 수장을 대방이라고 하고, 군 재인청의 수장은 장령이라고 불렀다. 재인청에서는 선생 밑에 제자들을 두어 학습을 하게 하였으며, 전국에 산재한 많은 예인들이 이 재인청에서 학습을 하거나 재인청에 적을 두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재인청의 수장은 대방이라고 하였으며 3도(경기, 충청, 전라)의 재인청을 당시 화성재인청에서 총괄을 했던 관계로, 화성재인청의 대방을 ‘도대방’이라고 하였다. 대방과 도대방의 선출은 3명을 추천을 하고, 그 이름 밑에 권점이라는 점을 찍어 다수표를 얻은 사람이 맡아보는 직선제 선출을 하였다.

 

 

까다로운 규제 속에 생활을 한 재인청

 

재인청은 그 규제가 까다로워 스스로의 천시 받는 형태를 벗어나기 위해 당시에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스승에게 예를 갖추지 않거나 주정을 하면 태장을 칠 정도로 엄한 규제 속에서 조직을 이끌어 갔다. 1920년대 일제의 문화말살 정책에 의해서 재인청이 폐청이 될 당시, 재인청에 속한 인원이 3만 여명에 이르렀다는 것으로 보아도 당시 재인청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지금도 경기도 내의 여러 곳에 보면 광대마을, 혹은 재인마을로 불리는 곳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지난 날 군 재인청이 있던 곳으로 보인다. 재인청이라는 곳이 춤을 추거나, 단지 소리를 하거나 하는 예인의 집단이 아니다. 재인청이란 한 마디로 3도에 있던 모든 예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거대 기, 예능조직이었다.

 

 

‘경기재인청’의 부활을 기대한다.

 

경기도의 모든 전통예술을 총 망라할 수 있는 경기재인청의 부활. 이제는 경기도 내의 재인청에 대해서 새롭게 조명이 되어야 할 때이다. ‘화성재인청’을 ‘경기재인청’이라고 부르는 데는 그만한 사유가 있다. 그것은 당시 화성에 재인들을 관리하던 수장인 도대방이나 무부들이 다수의 인원이 있었고, 아마도 재인청의 소재지가 화성 내에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경기도 전체를 아우르는 그러한 대단위 재인청이 필요할 때이다.

 

그것은 재인청이 어느 특정 종목이 아닌, 전통예술 전 종목에 걸쳐 수많은 기예인들이 있었던 곳임을 깨달아야 하기 때문이다. 재인청의 부활은 이 시대에 우리가 반드시 이루어야 할 사안이다. 그 길만이 경기도 내의 8만 전통예술인들이 하나의 커다란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힘에 대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날 경기도의 전통문화를 화려하게 꽃피우던 재인청. 그 재인청을 재조명 하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고대한다. 재인청은 굿을 하던 무부들이 자신들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조직한 기구였던 것이, 120여 년 동안 전국의 많은 예인들이 몰려들면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꽃피웠던 것이다. 그 재인청의 몰락은 전통예술의 혼란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