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점동면에서 삼합리 쪽으로 가는 길을 들어가면 강원도, 충청도, 경기도에서 흐르는 물이 만나는 곳이 있다. 이 마을이 바로 삼합리이다. 이 삼합리에서 충주 앙성면으로 가는 지방도로를 따라가다가 보면, 이정표가 하나 나타난다.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144호인 <오갑사지 석불좌상>이 있다는 표시다. 그런데 이 표지가 있는 곳에서 얼마나 들어가는지, 거리가 적혀있지가 않다.

 

두 번이나 찾아 헤맨 끝에 만난 석불좌상

 

얼마 전에도 이곳을 찾으려고 헤매다가, 결국엔 찾지를 못하고 뒤돌아선 적이 있다. 내비게이션의 도움을 받았지만 소용이 없다. 두 번째 답사 길이다. 이번에는 앙성면 사무소를 찾아들어가 오갑사지 석불입상이 어디 있는지 물었다. 약도까지 펼쳐 보이며 안내를 한다. 면사무소 직원이 적어주는 주소를 갖고, 번지를 찍어 보았다. 여주 방향으로 가다가 우측으로 한참을 가니 '동막마을'이라는 석비가 나온다. 그리고 그 곳으로 부터는 '대물낚시터'라는 저수지가 있다.

 

그런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내비게이션이 지난번에 들어왔던 곳을 도착하자, 찾는 곳의 근처에 왔다는 안내를 끝으로 멎어버렸다. 이런 낭패가 또 있을까? 요즈음은 날씨가 추워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오지를 않는다. 더구나 몇 집 되지도 않는 마을이라, 사람들을 찾기도 힘들다. 그 주변을 몇 바퀴를 돌았다. 마침 차가 한 대 나오기에 길을 막고 물었더니, 이곳에서 한참 들어가야 한단다.

 

 

 

고개를 넘어 도로 같지도 않은 좁은 길을 들어섰지만, 마을회관이 보이지를 않는다. 차가 지나가면 서로 비켜주어야만 다닐 수 있는 좁은 길이다. 재차 묻는다. 한참 가야 한단다. 이러니 내비게이션이 알려줄 수가 없었나보다. 길도 표시되지 않은 곳을 10여분을 가서야 겨우 마을회관을 찾았다.

 

파손이 심한 오갑사지 석불좌상

 

마을회관 집 뒤라고 알려준 대로, 뒤로 돌아가 보았다. 그런데 밖에서 보니 아무 곳에도 석불좌상이 보이지를 않는다. 묶어 놓은 개 두 마리가 무슨 낮도둑이라도 되는 양 짖어댄다. 요즈음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개들하고 한창이나 실랑이를 해야 할 때가 많다. 마침 사람이 나오기에 재차 물었다. 집 뒤편으로 돌아가라고 한다.

 

 

 

결국 두 번째 답사 길에서, 그것도 몇 바퀴를 돌면서 헤맨 끝에 만난 오갑사지 석불좌상. 한 마디로 너무 많은 훼손이 되어 있다. 충북 유형문화재 제14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석불좌상 하나를 만나기 위해, 그렇게 고생을 한 것이다. 그러나 파손이 되었다고 해서, 소중한 문화재가 아닐 수는 없다. 그런 어려움을 겪으면서 찾아온 여행자가 반갑기라도 한 듯, 석불좌상은 엷은 미소를 띠고 있다.

 

연꽃 문양을 한 대좌와 석불좌상

 

오갑사지 석불좌상은 그리 큰 편은 아니다. 작고 아담한 이 석불좌상은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의 사실주의적 기법과는 많은 차이가 난다. 연화대좌는 밑에 원형으로 받침을 만들고, 8각형의 지주를 세웠다. 그리고 그 위에는 연꽃잎을 조각하였다. 3단으로 조성이 된 대좌는 화려하지는 않으나, 소박한 면이 있다. 고려 석불에서 나타나는 대좌의 형식이다.

 

 

 

석불좌상은 얼굴과 머리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고, 손은 양팔이 모두 사라졌다. 이런 형태로 남아있어 정확한 수인의 형태를 알아 볼 수가 없다. 법의는 깊게 처리가 되어 있어, 조금은 둔해 보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은 얼굴 표정은 미소를 띠우고 있다. 발은 결가부좌를 해 발가락이 법의 밖으로 삐져나왔으며, 무릎도 파손이 된 것을 떼어놓았다. 전체적으로는 약간 불균형적인 듯하지만, 조각 기법 등은 매우 우수하다.

 

오갑사의 주불상이었을 석불좌상

 

이 석불좌상이 있는 곳에서는 '명창3년임자(明昌三年壬子)'라고 명문이 새겨진 기와와, '오갑사'라고 쓴 명문의 기와가 다수 출토되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명창 3년인 1192년에 대대적인 중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보존상태는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석불좌상의 뒷면까지 법의를 표현하였고, 다리를 결가부좌한 다리 사이에도 조각을 하는 등, 나름대로 소중한 문화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나의 문화재를 답사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난관에 봉착을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소중한 문화재를 지나칠 수는 없는 일이 아닐까? 비록 높은 산을 오르고, 또 내려오다가 미끄러져 다치는 수도 왕왕 있지만, 소중한 우리문화재를 찾아나서는 길에 게으름을 떨 수는 없지 않은가? 오갑사지 석불이 아무리 심한 훼손이 되었다고 해도, 그 역시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