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풍습에 매향(埋香)’이란 의식이 있었다. 이 의식은 하늘과 땅의 신을 모시기 위한 의식으로, 향나무를 땅에 묻거나 피우는 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 때 이러한 의식을 행하는 과정과 시기, 그리고 관련된 집단이나 사람들을 기록한 돌을 <매향비>라고 한다. 매향비는 다듬은 돌에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다. 커다란 바위에 그대로 기록을 해 놓는 형태도 있다.

 

매향의식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을 땅에 묻는데, 매향 의식은 고려 때도 성행하였으나, 그 후 불교에 대한 억제가 강화되던 조선조 초기에 극락정토로 갈 것을 기원하면서 비를 세우던 비밀 종교행위의 하나이기도 하다. 매향은 주로 민초들이 즐겨했으며, 순수한 민간신앙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미륵의 세계를 그린 민초들의 염원

 

지금까지 발견된 매향비로는 13098월에 세운 고성삼일포 매향비를 비롯하여, 13353월에 세운 정주 매향비, 1387년에 세운 사천 매향비, 1405년에 세운 암태도 매향비, 1427년에 세운 해미 매향비 등이 있다.

 

충남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 당진안국사지매향암각은 자연석의 거대한 통바위로서 규모는 높이 2.93m, 길이 13.35m, 2.5m이다. 이 매향비를 마을에서는 여러 가지로 부르고 있다. 마치 그 형태가 배 모양 같다 하여 '배바위' 또는 고래모양이라 하여 '고래바위' 또는 베틀에 딸린 북모양이라 하여 '북바위'등으로 불리우며 동쪽으로 머리를 두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되어 있는 배바위의 암각 명문은, 매향과 관계된 고려말, 조선초의 기록으로서 전국에서 발견된 매향관련 명문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의 자료라 할 수 있다. 또한 조성시기를 달리하는 2건의 매향자료가 기록되어 있어, 안국사지 및 주변지역의 역사와 매향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사라진 안국사, 어떤 절이었을까?

 

백제 때에 창건해 고려 때에 번창한 큰절이었다던 안국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해미현조에 보면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절 뒤편에 산을 은봉산 혹은 안국산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한 안국산 안국사는 현재 절터가 남아있는 이곳을 가르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발굴조사 시 발견된 유물 등에서 나타난 명문 등을 보면, 고려 현종10년인 1030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안국사지는 거란의 세 차례 침입 후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건립됐음이 석불입상을 보호하던 금당의 명문기와에 의해 밝혀진 천년고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중창을 하였으나, 다시 폐사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많은 절들이 이렇게 중건과 소실, 혹은 폐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긴 시간을 전해진다. 그러나 다행한 것은 석불과 석탑 등이 남아 그 역사의 흔적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 역사의 흔적이 그 자리에 남아 있을 때야 추정이 가능하지만, 지금처럼 이리저리 그 소중한 문화재들을 옮겨 다니면 그도 힘들어질까 걱정이 된다.

 

 

당진군은 보물 제100호인 석불의 주변을 정비한 것에 이어, 보물 제101호인 삼층석탑과 매향암각의 주변을 정비하고, 금당을 복원한다는 계획을 세운바 있다. 이렇게 모든 것의 복원을 마치게 되면, 과거 안국사의 형태를 제대로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 보호란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행하는 것이란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