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불’이란 커다란 바위 암벽의 면에, 부조나 선각 등으로 불상을 새긴 것을 말한다. 마애불이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그러나 마애종이 있다는 것은 그리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 않은 듯하다. 마애종이란 암벽에 새긴 종을 말하는 것이다.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산32에는 바로 이 마애종이 있다.

석수동 산 32번지라고 해서 산을 연상할 필요는 없다. 석수동 마애종은 주차장이 있는 평지에 남서쪽을 향한 암벽에, 장방형의 목조 가구와 그 안의 종을 새긴 것이다. 현재 누각을 지어 이 마애종을 보호하고 있으며, 그 앞을 지나는 사람들마다 안내판을 유심히 들여다보고는 한다. 아마도 이들에게도 마애종이라는 것이 낯설기 때문인가 보다.


종의 모양을 세밀하게 표현 해

누각 안 바위 암벽 면에 새겨진 마애종의 모양은 오랜 세월 풍화로 그리 선명하지는 않다. 상단의 보 중앙에는 쇠사슬을 달아 종을 걸어 둔 모양을 새겨 표현하였다. 그런데 그 모양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동종의 모습과 다를 바가 없다. 굵은 쇠사슬로 매단 종의 상단은 용뉴와 음통이 확연하게 표현을 하였다.

종의 상단에는 장방형 유곽을 2개소에 배치하였는데, 그 안에 각각 9개의 원형 유두가 양각되어 있다. 이 또한 일반적인 종에서 볼 수 있는 모습 그대로이다. 종신의 중단에는 연화문이 새겨진 당좌를 표현하고, 하단에는 음각선으로 하대를 표시하였다. 아마도 이 마애종을 새긴 장인이 종에 대한 많은 지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종을 치고 있는 승려, 생동감 있게 표현 해

종의 오른쪽에는 종을 치고 있는 승려상을 조각하였다. 이 승려상의 모습은 지금의 승려들과 다를 바가 없다. 이 마애종을 조각하였을 당시의 모습도 지금과 같았던 것일까? 다만 그 법의의 형태가 현재의 승려복이기 보다는 흔히 부처상에서 보이는 그런 법의와 흡사하게 표현을 하였다. 긴 막대를 사용하여 종을 치는 모습은 당장이라도 종소리가 울려 퍼질 듯하다. 목조 가구의 위쪽에는 3개소에 화반을 표시하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안양시 석수동의 마애종은 현존하는 마애종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종의 세부 표현에 있어 청동제와 다를 바 없어, 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주변의 중초사지 유적과 연관성을 생각해 볼 때, 고려시대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이 곳은 이 마애종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근에는 고려시대의 절터인 중초사지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 중초사지는 그동안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문헌자료에만 남아 있던, 안양사 7층 전탑 터가 2010년에 확인되기도 했다. 그 이전 2009년에는 이 일대의 발굴조사 과정에서 안양사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기도 헸다. 이곳 일대에 고려시대에 안양사가 위치한 곳이라는 것이다.

저 마애종이 울리면 새 세상이 올까?

한참 마애종을 이리저리 다니면서 돌아보고 있는데, 누군가 뒤에서 이야기를 하는 말소리가 들린다.

“저 마애종이 울리면 세상이 바뀌려나? 제발 좀 그랬으면 좋겠네. 사람들이 좀 편하게 사는 세상이 왔으면”



뒤를 돌아다보니 등산객인 듯한 사람들이 안내판을 보면서 하는 소리이다. 속으로 그 말에 백배 공감을 한다. ‘제발 좀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아마도 이 마애종을 바위에 새긴 장인도 그런 마음으로 새긴 것은 아니었을까? 그러고 보니 저 종을 치고 있는 스님의 모습이, 지금이라도 종을 칠 듯한 자세이다.

범종은 절에서 쓰는 종을 말한다. 범종의 ‘범(梵)’이란 범어에서 ‘브라만(brahman)’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청정’이라는 뜻이다. 순수한 우리말로 ‘인경’이라고 하는 범종은 은은하게 울려 우리의 마음속에 잇는 모든 번뇌를 씻어주기에 충분하다. 범종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 속 깊이 울려 어리석음을 버리게 하고, 몸과 마음을 부처님에게로 이도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을 울리는 이유는 지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함이기도 하다.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가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이 된 마애종이 있다. 마애종이란 바위에 종을 치는 모습을 조각하여 놓은 것이다. 이 마애종은 쇠줄로 달아 매단 종을, 스님이 치는 모습을 묘사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마애종이다. 이 종을 자세히 보면 유두와 유곽 등을 표현하고 있는데, 형태로 보아 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작품으로 보인다.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안양 석수동 소재 마애종(2004, 2, 26 답사)

범종은 왜 울리는가?

절에서 종을 칠 때는 그저 치는 것이 아니다. 새벽예불 때는 28번, 저녁예불 때는 33번을 친다. 새벽에 28번을 치는 것은 ‘욕계(慾界)’의 6천과 ‘색계(色界)’의 18천, ‘무색계(無色界)’의 4천을 합한 것이다. 즉 온 세상에 범종 소리가 울려 중생들의 번뇌를 가시게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저녁에 33번을 울리는 것은 도솔천 내의 모든 곳에 종소리를 울린다는 뜻이다. 지옥까지도 그 소리가 들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느 절이나 범종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그 종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가는 중요하지가 않다. 그것은 그 종소리를 듣고 지옥에 있는 영혼들이, 지옥에서 나올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하기에 안성 청룡사의 종에는 ‘파옥지진언(破獄地眞言)’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지옥을 깨트릴 수 있는 범종의 소리. 그 소리만으로도 세상은 달라진다.


보물 제11-3호인 사인비구가 제작한 안성 청룡사 동종(2008, 12, 31 답사)

아름다운 범종, 그 세계에 빠져들다.

전국의 사찰을 답사를 하면서 종에 빠져 든 것은, 그 종의 문양이나 조각 때문이기도 하다. 종이야 함부로 칠 수가 없으니, 그 소리야 많이는 듣지를 못했다. 그러나 그 종에 새겨진 각종 문양 등은 가히 불교미술의 꽃이라고 표현을 할 수 있다. 쇠에다가 그려 넣은 문양 하나하나가 어찌 그렇게 살아있는 듯 생동감이 있을 수가 있을까?

누군가 상원사 종을 들여다보다가 흐르는 눈물을 닦지를 않았더니, 나에게 신이 왔느냐고 우스갯소리를 한다. 그렇게 보였는지도 모르겠다. 절마다 있는 흔한 범종을 들여다보다가 눈물을 흘렸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 종에 새겨진 각종 문양을 보고 있노라면, 그 종을 만든 장인의 예술세계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어찌 쇠붙이에 저런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가 있을까? 만든 장인이 다르고 시대가 다르다고 하지만, 그 안에 녹아있는 예술혼은 청동도 녹일 수 있는 마음이 아니던가.


보물 제11-4호인 홍천 수타사의 사인비구가 제작한 범종과 용뉴(2009, 6, 12 답사)

불교금속미술의 꽃, 숨이 막히다

조선조 현종 11년인 1670년에 사인비구가 제작한 보물 제11-3호인 수타사 동종은, 그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가 힘이 있다. 그보다 4년 뒤인 1674년에 사인비구가 만든 안성 쳥룡사 동종(보물 제11-4호)는 종 표면에 ‘파옥지진언’ 이라고 적어, 이 종으로 인해 지옥에 빠진 영혼을 구하고자 하는 염원을 그려냈다.

같은 보물 제11호인 청계사 동종에는 보살상이 표면에 그려져 있다. 그런데 그 보살상의 표정까지도 완벽하게 표현을 하였다. 어떻게 이렇게 쇠붙이에 표정까지 그려낼 수가 있었을까? 국보로 지정된 범종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인 신라 성덕왕 24년인 725년에 제작된, 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을 보면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표현이 되어있다. 그런데 그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인이 금방이라도 살아서 나올 것만 같다. 또 위에 달린 용뉴는 어떠한가?


보물 제11호 청계산 청계사의 동종(2004, 11, 6 답사)

어찌 쇠를 녹여 만드는 범종에 이렇게 세세한 표현을 할 수 있었을까? 지금처럼 공구를 갖고 하는 것도 아니다. 거푸집 하나를 갖고 만든 종들이다. 그 아름다움의 끝은 화성 용주사의 국보 제120호 범종에 새겨진 비천인이다. 복대를 하늘로 날리며 내려앉는 비천상. 이 아름다움에 숨이 막힌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범종. 지금이야 더 아름다운 범종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 종들이 이렇듯 생명이 있을까?


국보 제36호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라 때 제작된 상원사 동종(2006, 5, 18 답사)

딱딱하고 찬 쇠붙이에서 받는 느낌이 이리도 따스할 줄이야. 이 어찌 마음의 수양이 없이 만들 수가 있을 것인가? 아마 이 종 하나를 만들면서 많은 중생을 번뇌에서 구하고자 하는 수행이 없이는 불가능 했을 것이다. 종을 바라보면서 눈물이 나는 까닭은, 바로 그러한 고통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범종소리. 오늘 전국에서 일제히 울린다면, 이 답답함이 가시려나 모르겠다.

국보 제120호인 화성 용주사 동종의 비천상(2004, 5, 21 답사)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