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 입구에 가면 당간지주란 석주를 볼 수 있다. 당간지주란 절 입구에 세워놓는 것으로, 절에서 행사를 할 때나 각종 의식을 펼칠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것이다. 이 당을 달기 위한 기둥이 바로 당간지주이다. 당간지주는 ‘철당간’이나 ‘돌당간’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철당간은 그리 많지가 않다.


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기 위해서는, 양편에서 깃발을 달아 놓을 수 있는 버팀목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당간지주이다.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는 연못 위편에 두 개의 당간지주가 동 서로 나란히 서 있다. 두 개의 당간지주는 그 형태가 같은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에 제작이 된 것으로 보인다.



미륵사지 남쪽에 자리한 당간지주

 

서로 약 90m의 거리를 두고 서 있는 당간지주. 그 형태나 크기 등을 보아 함께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이 당간지주는 마치 쌍둥이 같은 모습이다. 하층 기단부는 부서진 채 땅속에 있다고 하며, 그 위로는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당간지주는 원래 서 있던 자리에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앞에 절을 출입할 수 있는 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한다.


당간은 두 개의 석주가 마주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에는 당간을 단 대를 고정시킬 때 사용한 구멍이 나 있다. 구멍은 아래위로 뚫는게 보편적인 형태이며, 지주 전체를 관통하는 경우와 얇게 뚫는 경우가 있다. 미륵사지의 당간지주는 세 개의 구멍을 뚫었으며, 관통을 하지 않고 지주의 중간쯤까지만 뚫려있다.




맨위는 당간지주 상단에 뚫은 구멍. 아래편에 당간석을고정시키기 위한 구멍과(가운데) 당간석을 받치는 받침돌(아래)
 

맨 위에 있는 구멍은 당간의 상단에 보이는데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아래편의 두 개의 구멍은 둥글게 뚫어놓았다. 이 구멍에 막대 같은 것으로 끼워 깃대를 세우고 묶어 놓는 것이다.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당간은 단아하다. 많은 장식을 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이 당간의 멋이기도 하다.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제작된 당간

 

이 두 개의 당간은 조성 시기나 형태가 같기 때문에, 하나의 당간을 설명한다 해도 다를 바가 없다. 당간의 기단부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지주의 양편 바깥쪽에는 둘레를 따라 외연선을 둘러놓았다. 외부의 중앙에도 역시 한 줄의 선을 주변을 깎아서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지주의 맨 위는 둥근 타원형으로 조성해 부드러움을 더했다.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모서리부분을 돌출시켰다. 맨 아래는 받침돌

이 두 지주는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현재 이 당간지주와 거의 같은 모양의 예로는 경북 영주시의  소수서원 경내 입구에 자리한 숙수사지 당간지주와, 보물 제255호인 부석사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그 양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사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내놓지 않은 아름다움

높이 약 4m의 당간지주. 지대석 위로 양편에 당간을 새운 중앙에는 당간대를 세울 수 있도록 받침석을 마련하였다. 받침석은 높이가 30cm 정도 되는 네모난 돌로, 그 옆에 붙여 당간지주를 세우는 것이다. 중앙에는 홈을 만들어 덩을 다는 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할 수 있다.


당간을 다는 당간석을 꽂게 만든 받침돌(위)과 당을 다는 당간석(아래)

대의 받침돌은 양편에 네 줄을 내렸으며, 맨 위는 조금 밖으로 돌출이 되게 하였다. 이런 돌 하나에도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인다. 미륵사지 당간은 화려하지가 않다. 그러나 형태 등에서 뛰어난 석조물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가 있다. 연못에서 바라다보는 우측 당간지주의 옆에는 둥글게 깎은 돌이 서 있다. 당간석이라는 돌이다. 이 당간석을 당간지주의 중앙에 있는 홈에 끼워 새우는 것인데, 잘라져 아랫부분 일부만 남아있다.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 두 개의 당간이 동서로 서 있는 모습에서, 과거 미륵사의 위용을 엿본다. 그리고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아름다움이 있어 더욱 좋다. 2011년 1월 25일 오후, 천년 세월 그렇게 서 있는 당간지주의 멋에 취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