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 도로변에 서 있는 석장승 한 쌍. 중요민속문화재 제1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석장승은, 동문리 국민건강보험공단 앞에 마주하고 서 있다. 이곳은 옛 부안 읍성의 동문이 있던 곳으로, 지금도 동문 안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동문 안 장승은 성문과 성문 안에 있는 마을의 재앙을 막아주고, 재복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세워진 것이다.

 

숙종 조에 세워진 동문 안 장승

 

이 동문 안 장승은 조선 숙종 15년인 1689년에 세워진 것으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세워진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석장승을 ‘벅수’라고 부르는데, 마을의 화재도 예방하기 위함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이 마을에서는 2년마다 음력 정월 보름에 풍물과 줄다리기, 당산제로 이어지는 마을의 축제가 열린다. 원래 이곳에는 커다란 당산나무와 마을사람들의 쉼터인 모정이 있었으나 지금의 도로가 뚫리면서 없어졌고, 문지기장군이라 불리는 한 쌍의 장승도 조금씩 뒤로 옮겨졌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석장승은 벙거지를 쓰고 도로를 바라보고 있는 장승이 남장승이다. 이 남장승은 ‘상원주장군’이라고 불렀으며, <당산하나씨> 또는 <문지기장군>이라고 부른다. 길을 등지고 서 있는 장승은 여장승으로 ‘하원당장군’이라 부르고 있다. 자리를 옮겼다는 한 쌍의 장승은 도로변 작은 소공원에 자리를 하고 있다.

 

험상궂은 얼굴 안에 새겨진 미소

 

길을 등지고 서 있는 여장승은 정형화되지 않은 긴 화강암 돌에 면상을 새겨 넣었다. 이마는 밑으로 내려가면서 조금 넓어졌으며, 이마는 불거져 있다. 그 밑으로는 눈썹을 새겼는데, 중앙에는 백호를 새겨 넣었다. 눈은 동그랗게 만들고 가운데 작은 눈동자를 만들었다. 코는 삐뚤어진 주먹코에 입은 위아래 이빨이 험상궂게 새겨져 있다. 복판에는 하원당장군이라고 썼는데, 풍화에 마모가 되어 흐릿하다. 복판 위에는 손을 만들어 놓았는데, 팔은 없고 손만 흐릿하게 보인다.

 

길을 바라보고 있는 남장승은 머리 위에 끝이 둥근 벙거지를 쓰고 있다. 얼굴은 여장승보다 갸름하며 눈썹 사이에는 백호를 새겨 넣었다. 코는 뭉툭하니 주먹코에 길이가 짧다. 입은 송곳니를 표현한 듯한데, 양 볼이 튀어나왔다. 팔은 형상만 있으며 상원주장군이라 쓴 복판의 글씨는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가 힘들다. 몸은 전체적으로 오른팔 쪽으로 약간 굽어져 있다. 두 기의 장승은 서로 마주하고 있다.

 

 

두려운 존재, 그러나 그 안에 편안함이 있어

 

마을의 입구에 서서 마을로 들어오는 재액과 잡귀잡신을 막는 역할을 하는 장승. 장승의 기능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경계 장승이다. 이 경계 장승은 사찰의 입구 등에 세워, 그곳이 신성한 지역임을 알려준다. 둘째는 마을의 입구에 세우는 수호 장승이다. 수호 장승은 마을에 들어오는 액을 소멸시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셋째는 로표 장승이다. 로표 장승은 길가에 세워, 방위나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장승들은 복합적인 성격을 띠우기도 한다. 수호 장승과 로표 장승, 혹은 경계 장승과 로표 장승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부안읍 동문 안 장승은 수호 장승이다. 험상궂은 얼굴로 길을 보면서 마을로 들어오는 재액을 방비한다. 그 험상궂은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안에 무한한 해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못생기고 추한 모습이지만, 우리네가 가장 친근하게 여기는 도깨비 같은 모습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마을 입구에 험상궂은 장승을 세우고, 그 장승의 뒤에서 재액이 소멸되고 평안하기를 기원한 것이다. 밖으로는 험하고 안으로는 편안한 모습. 그 안에 해학적인 모습이 있어 사람들은 이를 신격화시키고, 스스로를 위하였는가도 모르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