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상월면 주곡리는 동주막리, 마근동, 술골, 용적골 등의 자연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곳이다. 옛 주곡리 앞으로 큰 길이 나 있었는데, 이 길가에는 술집이 많이 모여 있어서 '주막거리' 또는 '주곡(酒谷)'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 이름을 따서 현재의 주곡리가 생겼다.

 

500년 역사의 주곡리 장승

 

주곡리에는 큰 장승들이 서있다. 마을 입구 좌측에는 '천하대장군'이 우측 건물 담벼락에 가까이에는 '지하여장군'이 있다. 주곡리 장승의 특징은 늘어서 있는 것이 아니라, 솟대와 함께 집단으로 모여 있다는 점이다. 매년 새로 장승을 깎아 솟대와 함께 새로 세우는데, 집단으로 뭉쳐있어 넓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 주곡리의 장승이 처음 세워진 것은 연산군 4년인 1498년이다. 청주 양씨 9세손인 첨정공 춘건이 낙향을 하여 이 마을에 정착을 한 후, 마을 주민들의 화합을 목적으로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웠다고 한다. 그 후 매년 정월 14일 밤에 장승제를 지내고 있으니, 500년이 지난 전통을 지닌 마을이다.

 

마을주민을 살린 장승

 

이 주곡리의 장승은 임진왜란 때 마을주민들을 살렸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 때 야습을 획책한 왜병들이 주곡리에 들어섰는데, 마을입구에 한 무리의 사람들이 서 있는 것을 보고 총을 쏘아댔다. 그러나 이 사람들은 총을 쏘아도 물러서지를 않고 꿋꿋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시간 총소리에 놀라 잠을 깬 주민들은 왜군의 침입을 알고 서둘러 피신하였다. 아무리 총을 쏘아도 물러서지도, 쓰러지지도 않는 사람들을 괴이하게 여긴 왜병들이 다가가 확인을 해보니, 사람이 아니라 장승이었다. 결국 장승을 마을의 수호신으로 삼아 지성으로 정성을 드린 마을주민들의 목숨을 장승들이 지켜낸 것이다.

 

 

 

선조 32년인 1599년 임진왜란이 끝나고 난 뒤 선조는 '마을을 지킨 장승을 수호신으로 삼으라'고 했다. 그 후 논산지역에서는 각 마을마다 입구에 장승을 세웠다고 한다. 현재 주곡리의 장승은 논산시 향토유적으로 지정이 되었다.   

 

'로표장승' 역할을 하는 주곡리 장승

 

길을 가는 행인들이 먹을 것을 해결하고 피곤한 몸을 쉬기도 했던 주막거리에서 유래된 주곡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장승은 자연스레 길을 안내하는 로표장승의 역할을 했다. 주곡리의 장승은 남장군인 천하대장군과 여장승인 지하대장군으로 구분이 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동방 신도내 20리, 서방 논산 30리, 남방 연산 20리, 북방 공주 40리라 적혀 있다.

 

 

 

 

주곡리의 남장승은 사모를 쓰고, 여장승은 족두리를 섰다. 나무의 면을 깎아 얼굴을 조성했는데 눈과 코는 돌출을 시키고 주변을 깎아냈다. 솟대도 매년 새로 깎아 장승군에 함께 묶어세우는데, 끝에는 새를 한 마리 올린다.

 

5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주곡리 마을을 지켜 온 수호신인 장승. 장승이 서 있는 마을 입구에는 장승의 내력이 적힌 안내판을 세워 후손들에게 알리고 있다. 이 장승으로 인해 마을의 공동체가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우리의 전통이 한낱 시시콜콜한 옛 풍습으로 치부 되어가고 있는 요즘, 바람직한 마을의 모습을 본 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