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전하는 물레방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 보인다. 당시 세검정에 구릉성 산지에서 떨어지는 낙차를 이용한 물레방아가 있었음을 적고 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물레방아하면, 20세기가 시작될 때 서울에서 태어나 25살 이라는 피지도 못한 나이에, 급성 폐렴으로 요절한 불우한 작가 나도향이 먼저 떠오른다.

 

나도향의 물레방아는 방원의 아내가 신치규와 물레방아 깐에서 정분을 통하고, 결국은 남편인 방원에게 물레방아 깐에서 살해를 당한다는 줄거리이지만, 당시의 물레방아는 부의 상징이기도 했다.

 

 

물레방아 마을이 있어

 

이러한 물레방아는 가물어 물이 모자라게 되면 방아를 찧을 수 없게 되자, 1920년대부터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대신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아가 보급이 되면서, 자연 추억속의 모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까지도 물의 힘을 이용한 물레방아가 있다고 하여 찾아 나섰다. 일반적으로 물레방아 하면 물의 힘을 이용한 디딜방아 형태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와는 달리 거대한 동력구조의 방아가 오로지 물만 갖고 돌렸다는 것이다.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 있는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36호 백운면 물레방아는 1850년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이 되는 물레방아다.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지어진 이 물레방아는 물을 막은 보가 61m에, 보에서 물레방아에 이르는 수로가 252m이다.

 

 

수로의 넓이가 2m나 되는 이 물레방아는 소나무로 제작이 되었으며, 지름이 310cm에 폭이 130cm나 되는 큰 물레방아다. 기존의 물레방아가 ‘ㅡ’자 형을 갖고 있는데 비해, 도정력을 높이기 위해 ‘ㄱ' 자 형으로 특수 제작된 47개의 날개를 갖고 있다. 더욱 이 운교리 물레방아 인근에는 11개 정도의 물레방아가 있었다고 하니, 아마 물레방아 집단지였던 것 같다.

 

민속문화재로 지정

 

큰길가에 안내판 하나가 없어, 몇 번이나 길을 물어 찾아간 백운면 물레방아, 최근까지도 사용을 했다고 하는데 지금은 주변에 말라버린 잡초만 무성하다. 물레방아의 문이 열려있어 안으로 들어가 보니, 방아의 형태가 지금껏 보아오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 크기도 그렇거니와 물레방아 깐의 구조가 상당하다. 세 칸으로 나뉘어져 있는 물레방아는 풍구와 도정기, 그리고 기계를 돌리기 위한 바퀴들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고, 낡은 피댓줄들이 이 물레방아를 사람들이 많이 사용했음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풍구 옆 기둥에는 1995년 3월 27일 진안군수가 발행한 양곡가공업 등록증이 붙어있고, 그 밑에는 정미소 주인이 적어 붙인 도정효율표가 있다. 효율표에는 백미 80kg 한 가마에 4kg을 현물로 받으며, 운반료는 별도로 받는다고 적어 놓았다. 이 물레방아는 얼마 전까지도 사용을 했다고 한다.

 

 

물레방아 한편에는 곡식을 쌓아두었던 곳인 듯 너른 공간이 있다. 그곳을 보면서 갑자기 나도향의 물레방아가 떠 오른다. 저런 곳에서 신치규와 방원의 처가 밀담을 나눈 것은 아니었을까 하고 말이다. 물레방아의 밑은 물이 빠져 나가는 물길인데, 아직도 물의 고여 있다. 한때는 부의 상징이었던 물레방아. 이제는 먼지만 쌓여가고, 물이 마른 물길은 옛 영화가 그리운 듯 마른 잡초만 가득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