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며칠 후면 정월 대보름이 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민족에게는 절기 이상의 의미가 있는 날이다. 정초부터 시작한 정월의 각종 놀이가 이 날로 인해 대부분 끝이 나기 때문이다.예전에는 정월달에 각 마을에서 지신밟기 등을 하다가 서로 이웃의 기를 만나게 되면 힘을 겨루는 '두레싸움'을 하고는 했다. '

 

두레'란 농촌에서 농사일을 함에 있어서, 공동으로 같은 연배의 구성원끼리 공동작업으로 노동력의 배가를 위한 공동체 조직이다. 예전에는 이 두레마다 풍물패와 두레를 상징하는 기가 있었는데, 대개는 '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쓰고 두레명칭을 적는다.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러 나갈 때는, 이 두레기를 앞장세우고 풍장을 치면서 이동을 한다.

 


 

두레에 농기는 늘 있게 마련이지만, 그렇다고 풍장이 꼭 있는 것은 아니다. 대개 두레 성원들이 자신들의 농사일을 마치고나면, 공동으로 두레 성원이 아닌 집의 농사일을 해주고, 그 삯으로 받은 돈을 이용해 풍장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레조직은 마을마다 있었으며, 그 두레조직을 상징하는 두레기는 각별한 위함을 받는다.

 

두레조직의 상징 두레기

 

막고 밀치면서 서로 먼저 장목을 뺏는 두레싸움

서로가 기를 뺏기위해 밀치다가 넘어지기도. 보는 사람들도 난리다.


두레기는 두레조직이 이동을 할 때는 반드시 앞에 세운다. 이 두레기의 권위는 절대적이다. 만일 마을에 지체가 높은 양반이 살고 있으면, 그 마을의 두레기를 만나면 가를 숙여 먼저 인사를 하기도 한다. '안성 남사당'의 농기에는 옥관자를 달고 다녔다. 이는 바우덕이 패가 경복궁을 중수 할 때 참가를 하여, 많은 노역자를 위한 즐거움을 주었다고 해서 대원군이 특별히 옥관자를 내린 것이다.

 

안성 남사당의 기를 '옥관자 기'라고 불렀으며, 모든 기는 안성 남사당 기를 만나면 먼저 기를 숙여 인사를 하고는 했다. 두레기는 농사일을 할 때는 논두렁에 꽂아 놓는다. 만일 이 기를 쓰러트리면 마을이 불상사가 생긴다고 하여, 여간 조심을 하지 않았다. 두레기를 함붕로 다루거나 눕힌다던가 하는 일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정월 곳곳에서 벌어지는 두레싸움

 

심하게 서로가 몸을 부딪기 때문에 때로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했다.


정월이 되면 각 마을마다 두레기를 앞세우고, 풍장을 치고 나간다. 지신밟기며 정월 보름을 기해서 하는 많은 민속놀이에는 풍장을 곁들이게 되고, 그 풍물패의 앞에는 두레기가 서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두레기를 앞세우고 길놀이를 하던 마을의 풍장패들이 서로 만나면, 먼저 상대방에게 길을 비키고 기수를 숙이라고 난리를 피운다.

 

길을 먼저 비켜주고 자신들의 기를 먼저 숙이며 상대방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한 치의 양보가 없다. 이렇게 승강이를 하다가 급기야는 상대방의 두레기에 달려들어,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꿩 장목을 뺏는다. 장목은 두레기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이 장목을 뺏기면, 큰 수치로 안다. 한번 꿩 장목을 뺏기면 그 해 일 년 동안은, 장목을 뺏어간 마을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한강 둔치에서 재현된 두레싸움

 

보는 이들은 생동감이 있다. 두레기의 맨 위에 달린 장목을 뺏기면 일 년동안 뺏어간 기에 먼저 인사를 해야한다.


두레싸움을 할 때는 부상자가 속출하기도 한다. 그것은 서로가 상대방의 기에 달라붙어 기를 쓰러트려야 하기 때문이다. 막는 자와 뺏으려는 자가 한바탕 난리를 치다가 보면, 부상자가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2월 27일 오후 여주 남한강 둔치에서 열린 대보름 한마당. 이곳에서는 군인들이 시범을 보인 두레싸움이 벌어졌다.

 

양편에 황룡기와 흑룡기가 서고, 그 앞에 각 마을 20명의 군인들이 서로 상대방 기에 꽂힌 장목을 뺏기 위해 두레싸움을 벌인 것이다. 젊은 군인들이라 서로 상대방의 기에 쫒아가고 막는 두레싸움은 보는 사람들조차 함성을 지르고 난리를 편다. 다칠 것을 염려해 손은 뒷짐을 지고 어깨로만 상대방을 밀고 들어가도록 했으나, 서로 부대가 달라서인가 최선을 다하는 모습들이 보는 사람들까지 열광케 한다.

 

기를 지키려고 막다가 내동댕이쳐지는 병사. 얼른 쫒아가 장목을 뺏어 승리를 하겠다고 달려가다가 제풀에 미끄러지는 병사. 거기다가 제 자리를 지키고 있어야 할 두레기마저 도망을 가는 바람에 온통 웃음바다가 되었다. 젊은 병사들이 보여 준 우리 전통 민속 한마당으로 인해, 대보름 한마당은 흥이 최고조에 달했다.

 

정월이 되면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두레싸움. 이제는 그러한 아름다운 놀이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전통은 구시대의 산물이 아니라, 새롭게 변화하면서 발전을 하는 것이다. 우리의 많은 공동체의 모체가 되었던 놀이들. 이제는 새롭게 조명이 되어야 할 때이다.

여주군 가남면 본두2리는 '해촌 조기울'이라고 부른다. 조기울이란 본두리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로, 조선조에는 조개울면 또는 소개국면이었다가,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 때 본두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현재는 본두 1리는 묘촌 조기울, 본두 2리는 해촌 조기울이라고 부른다. 해촌 조기울은 일제 때에 농촌의 식량증진을 위해 마을마다 농촌진흥회를 만들었는데, 이 마을에는 중앙에 괴목인 해나무가 있어서, 해촌진흥회라 한데서 비롯하였다고 한다.

 

마을의 안녕을 위한 오래된 대보름 의식

 

28일 오후에 길을 나서 본두2리를 찾아 나섰다. 매년 이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낙화(落火)놀이'라는 의식을 보기 위해서다. 길을 잘못 들어 몇 번을 주변을 돌아서야 겨우 도착을 한 조기울 마을. 낙화놀이를 하는 논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다. 논을 가로질러 줄을 매어 놓고 그 곳에는 등이 달려 있다. 등을 달아 맨 줄에는 길게 순대처럼 생긴 것들이 달려 있는데, 그것들이 연신 불꽃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낙화놀이는 마을의 제의식이다. 딴 곳에서는 산신제나 목신제, 장승제, 서낭제 등을 지내는 것처럼, 이 본두리 마을에서는 낙화놀이라는 특별한 놀이를 통하여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빌었던 것이다. 정월 대보름에 마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을 제관으로 선출해, 불꽃이 떨어지는 곳에 제물을 차려놓고 가정의 안녕과 만복이 깃들기를 빈다. 이 낙화놀이는 영동고속도로가 마을을 가르고 지나면서 조기울 마을이 갈라진 후에는, 홀수 해에는 본두 1리에서 지내고, 짝수 해에는 본두 2리에서 의식을 거행한다.

 

 

 

마을에서 전해진 전통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낙화 

  

낙화와 등을 매단 줄을 흔들고 계신 본두리 마을 신동유(남, 77세) 노인회장은 이 대보름 의식이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진 것이라고 설명을 한다.

 

"우리 평산 신씨가 이 마을에서 살아 온 것이 벌써 14대인데, 마을에 정착하면서 이 낙화의식이 전해졌다고 하니까 500년은 족히 넘은 전통이지."

"낙화놀이는 왜 시작을 했을까요?"

"예전에는 마을에 병원도 없고 하니까 병이 들면 큰일이지. 그래서 정월 대보름에 이렇게 낙화놀이를 해서 병이 걸리지 않고, 자식들이 잘 크게 해달라고 정성을 드리는 것인데, 지금은 예전 같지가 않아. 예전에는 대단했지."

"낙화는 어떻게 만드세요?"

"낙화는 집집마다 정성을 드리려고 만드는 것인데, 소나무 껍질을 말려 숯가루와 함께 곱게 빻은 다음, 메밀짚 잿물에 담갔다가 말린 창호지에 잘 싸서 만들지"

 

연신 줄을 당기시면서 말씀을 하시는 신동유옹. 이렇게 전해지는 마을의 전통 대보름 의식이 점차 줄어드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고 한다.

 

 

 

집집마다 만드는 등과 낙화

 

논을 가로질러 걸린 줄에 매달린 등은 30여 개가 조금 넘었다. 그런데 등의 모습이 제각각이다. 마침 등을 매단 곳에 계신 주민들이 있어 내용을 들어보았다.

 

"등은 집집마다 만드시나요?"

"그럼요, 정성인데요. 집집마다 만들어서 등에다가 이름과 소원을 적어 걸어요. 그래서 등이 못 생겼잖아요."

"파는 등을 사다가 하셔도 될 텐데."

"정성이잖아요. 매년 이렇게 정성을 다해 만들어야 일 년 동안 집안이 편안해지죠."

"마을 주민 전체가 다 등을 만들어 거나요?"

"전에는 집집마다 걸었는데 요즈음은 빠지는 집이 많아요."

 


낙화는 불이 폭포처럼 떨어지기 때문에 붙인 명칭이다. 숯가루가 불에 타면서 아름답게 불꽃을 일으키며 아래로 떨어진다. 바람이라도 불면 그 불꽃이 날려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한다고 한다. 그러나 올해는 바람이 없어 아래로만 떨어져 내린다. 마을을 못 찾아 헤매는 동안 많은 불꽃은 다 떨어졌다고 한다. 그래도 아름답기만 하다.

 

길이 30 ~ 40cm, 굵기가 5cm 정도인 낙화에서 아름답게 떨어지는 불. 정월에는 불을 놓아 액을 방지한다. 달집태우기나 횃불놀이 등도 다 불로써 일 년의 액을 태운다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런 불로써 액을 막는 정월 대보름의 놀이를, '낙화놀이'라는 본두리 마을 특유의 의식으로 바꾼 것이다. 단지 액을 막는 것만이 아니라, 아름다움을 함께 창출해 낸 조기울 낙화놀이는 또 다른 대보름의 아름다움이다.

 

"기자양반 우리 마을 소개 좀 잘해서, 많은 사람들이 낙화놀이를 보러 올 수 있도록 해줘. 이렇게 아름다운 놀이가 자꾸 사라지는 것이 아쉽잖아."

 

본두리 마을을 떠나는 기자에게 당부를 하시는 노인회장의 말씀이다. 밤새 그렇게 불꽃이 떨어진다는 조기울 낙화놀이. 정월 대보름 액막이의 특별한 모습이다.


음력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고 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의 풍속에서는 설날과 추석 다음으로 치는 큰 명절이다. 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까닭은, 정월의 모든 놀이문화가 이 대보름을 기해 마무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월 대보름은 입춘이 지나서 맞이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일 년의 시작을 준비하는 때이기도 하다.

정월 대보름 하루 전날은 다리밟기, 달집태우기 등 각종 놀이가 행해진다. 이 중에서 달집태우기는 정월 15일이 아닌, 하루 전인 14일에 행해진다. 달집태우기는 전국을 통해 연희가 되었던 놀이이다. 그만큼 우리들에게는 정월 대보름 전에 하는 달집태우기가 상당한 의례에 준하는 놀이였다.


달집태우기는 겨울을 녹인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에서는 ‘해동화(解冬火)놀이’라고 달집태우기를 부른다. 이 말은 ‘겨울을 녹이는 불’이란 뜻을 갖고 있다. 혹은 ‘해동홰놀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 역시 ‘겨울을 녹이는 홰’라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홰’란 막대나 짚을 이용해 만든 불을 말하는 것이다. 즉 짚을 길게 묶어 불을 붙이는데, 그것을 홰라고 부른다.

광지원리의 해동화놀이는 일제강점기에도 계속되어졌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하루를 즐기는 놀이로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달집태우기는 그 외에도 ‘액을 태운다’는 속설을 갖고 있다. 정월 열나흘 날이 되면 사람들은 소나무와 대나무 등을 갖고 달집을 만든다. 이 달집에 생대나무를 이용하는 것도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생대가 타는 소리에 놀란 잡귀가 달아나

우리 풍습에는 섣달 그믐날 생대를 태우는 습속이 있다. 이것은 일 년 동안 집안에 묻어 든 잡귀를 쫒아내기 위함이다. 즉 대나무가 불에 탈 때 ‘탁탁’소리를 내는데, 그 소리에 놀란 잡귀들이 도망을 간다는 것이다. 정월 대보름에 달집을 만들 때도 소나무와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바로 그런 속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종이에 자신이 필요한 기원을 적는다. 그리고 달집에 묶어놓은 새끼줄에 그 길지를 달아 놓는다. 달집이 타면 그 기원지가 함께 타면서 서원을 이룬다는 것이다. 달집태우기는 달맞이에 이어서 하게 된다. 손에 작은 홰를 들고 달맞이를 하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달을 본 사람이 ‘망월(望月)이요’를 외치면서 달집으로 달려가, 손에 든 홰를 이용해 불을 붙이는 것이다.


서로가 연결되는 정월의 민속

정월의 민속의 특징은 하나하나가 따로 떨어져 있지만, 그 내용은 모두가 연관이 지어진다.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그 달을 바라다보면서 가장 먼저 소리를 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처녀가 먼저 보면 그 해에 시집을 가고, 총각이 먼저 보면 그 해에 장가를 가게 된다는 것이다.

임신부가 먼저 보고 소리를 치면 아들을 낳을 수가 있으며, 몸이 아픈 사람이 먼저보고 소리를 치면 병이 낫는다는 속설이 있다. 하기에 저마다 홰를 손에 들고, 먼저 달맞이를 하려고 애를 쓴다. 이렇게 다양한 정월의 큰 대동놀이는 사실 달집태우기로 막을 내리게 된다.


요즈음은 대보름의 놀이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달집태우기 등 많은 대보름 놀이가, 올해는 구제역으로 인해 취소가 되었다. 하지만 달집이라는 것이 그리 어렵게 만드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조그맣게 만들어 놓고 개인놀이라도 해보는 것이 어떨지. 겨울을 녹이고 일 년 간의 액을 막는다는 사고는, 꼭 집채만 한 달집이라야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