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 자리하고 있는 옛 절터인 회암사지. 사적 제128호인 회암사지는 요즈음 한창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원래 본격적인 발굴을 하기 전에는 회암사지에 수많은 문화재들이 자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회암사지에서 보이는 것은 전각들이 서 있던 곳의 축대와 주춧돌, 그리고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2호인 부도탑 등이다.

2월 25일, 회암사지를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이나 가려고 했던 곳이다. 멀리서 보아도 발굴을 하고 있는 회암사지의 모습은 장관이다. 회암사지에는 보물 제387호 회암사지선각왕사비, 보물 제388호 회암사지부도, 보물 제389호 회암사지쌍사자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9호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0호인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1호 무학대사비, 그리고 회암사지부도탑 등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승려 지공이 창건했다고 하나 그 이전에 이미 절이 있었다고도

회암사는 고려 충숙왕 때인 1328년에 승려 지공이 창건한 사찰로 전해진다. 그러나 일설에는 보우선사의 원증국사탑비에 의해, 충숙왕 즉위년인 1313년에 이미 절이 창건되었다고도 추정한다. 회암사는 지공의 제자인 나옹이 불사를 일으켜 큰 규모의 사찰이 되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각별히 관심을 가졌으며, 왕위를 물린 후에도 이곳에서 머무르며 수도생활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원래 회암사지의 동쪽 능선 위에 지공과 나옹, 그리고 무학의 사리탑이 남과 북으로 나란히 서있고 그 남쪽 끝에 석등이 자리하고 있었다. 나옹은 고려 우왕 2년인 1376년에 삼산양수지기의 비기(秘記)에서 이곳이 인도 나란타사와 지형이 같으므로, 이곳에 절을 일으키면 불법이 크게 흥한다고 하여 절을 중창했다는 것이다.



선조 이후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

회암사지는 현재 발굴이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되고 있다. 고려 말 전국 사찰의 총본산이었던 회암사는, 발굴된 터만 보아도 대가람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세종 6년인 1424년에 행해진 ‘선교양종(禪敎兩宗)’ 폐합 때의 기록으로도, 그 규모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 후 회암사는 성종 3년인 1472년에는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의 명으로 정현조가 중창을 하였으며, 명조 때에는 보우를 신임한 문정왕후의 비호로 다시 전국제일의 수선도량이 되었다. 문정왕후가 죽은 뒤 유생들의 탄핵으로 보우는 처형되고 절도 황폐해졌다. 기옥을 보면 선조 때까지는 간간이 절의 이름이 보이지만, 1818년 재건한 무학대사비에는 폐사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날 꼭 비워야 하나

발굴을 한다는 안내판에는 2012년까지로 기록이 되어있다. 문화재들을 보관하는 창고가 있다고 하여, 안으로 들어가 사람을 찾으니 대답이 없다. 아마도 일요일이라고 쉬는 모양이다. 그런데 소중한 문화재를 발굴을 한다고 해서, 이전을 한다는 것이 영 미덥지가 않다. 혹 이전을 하면서 훼손이라도 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안내판을 보니 절터 위에 전망대가 있고, 그 곳에 가면 문화관광 해설사가 있다고 하여 위로 올라갔다. 그러나 해설사가 있다는 컨테이너는 굳게 닫혀 있다. 요즈음 주말과 일요일이 되면, 가족들이 나들이를 하면서 문화재를 둘러보고는 한다. 자녀들과 함께 온 가족인 듯한데, ‘꼭 일요일에 쉬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불평을 한다.

물론 일요일은 모두가 쉬는 날이기 때문에, 그들보고 무엇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딴 지역을 돌아보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주말과 일요일은 근무를 하고 평일에 쉬는 곳이 많다. 관광객들이 찾아들기 때문에, 쉬는 날을 변경해 사람들에게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대를 하고 찾아간 회암사지. 결국은 발굴중인 사지에 즐비하게 늘어선 석물만 보고 온 꼴이 되고 말았다. 하지만 그것 하나만 갖고도 회암사지가 과거 얼마나 대가람이었는가는 충분히 가늠할 수가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고마울 수밖에.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에 있는 원주시립박물관 뒤편 계단 아래에 보면, 다리가 없는 석조미륵보살입상 한 기가 서 있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1960년경 봉산동에 있던 옛 활터인 학봉정의 과녁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 후 보현사 앞뜰로 옮겨졌다가 춘천 소재 강원도 향토박물관에서 보관을 하다가, 2001년 원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왔다.

정확히 알 수 없는 천왕사지 미륵보살입상




이 미륵보살입상은 천왕사 터에 있던 것이라고 전한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천왕사는 봉산동의 옛 활터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천왕사지가 어디인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는, 봉산동 당간지주가 천왕사에 서 있던 것이라고 하는 점으로 보아, 이 미륵보살입상도 인근에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천왕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한 절이라는 것 밖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도 당간지주가 서 있는 천왕사지에 있던 것을 누군가에 의해 훼손이 되어, 옛 활터에 버려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은 허벅지 아래의 다리가 훼손이 되어 정확한 크기는 알 수 없지만, 윗부분의 크기로 보아 성인들의 키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초기 지역의 장인에 의해 조성한 것으로 보여

이 천왕사지석조미륵입상은 두발을 높게 감아 올려 망건을 쓴 것처럼 보인다. 옆에서 보면 관의 모양새가 확실한 것이, 미륵입상이기보다는 문인석에 가까운 머리의 제관 모양이다. 또한 가운데가 솟아있고, 옆으로 둥근 모양을 한 것을 보아도 확실하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가 있어 이 석조물이 석조미륵입상임을 알 수 있다.



미륵보살입상의 얼굴은 통통한 편이며 적당히 살이 붙어 있다. 눈과 코 입도 중앙으로 모여 있어 일반적인 불상의 형태와는 다르다. 그저 편안하고 풍요로운 모습으로 조각이 되었다. 귀는 석불의 귀들이 크게 표현한 데 비해, 일반적인 사람의 얼굴에서 보이는 형태로 표현을 하였다. 전체적인 얼굴의 모습을 보면 석불의 특징적인 형태를 벗어나 있다.

수인은 가슴께로 손을 올렸는데, 오른손은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우고 있다. 남은 손가락은 법의를 묶은 끈을 잡고 있는 듯하다. 왼손은 허리께에 대고 있는데, 손목을 꺾어 손바닥을 앞으로 펴 보이고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의 특징은 양팔이 몸에서 떨어져 팔과 몸 사이에 맞닿는 부분이 뚫어져 있다는 점이다.



문인석에 가까운 조각수법이 특이해

오른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법의의 주름은 가슴과 아랫배에서 U자 모양으로 감아 올렸다. 법의의 한 자락은 오른팔에 걸고 있는데, 그 모습이 자연스럽다. 또 다른 옷 주름은 가운데 배에서 나비매듭을 엮었으며, 부챗살 모양으로 퍼진 주름은 몸 아래 하반신으로 곧게 흘러내린다. 다리 부분이 훼손이 되어서 다리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머리와 상반신의 모습으로 볼 때 발에는 목화를 신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원주지역에는 이 석보미륵보살입상 외에도 비슷한 크기의 세구의 석조보살입상이 남아있다. 이 세구의 보살입상도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이는데,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은 원주 지역을 활동 근거지로 삼은 장인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을 것이다. 다리가 훼손된 석조미륵보살입상. 전체적인 조성기법이 일반적인 석불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깊이 있게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매월당 김시습(1435(세종 17년)~1493(성종 24))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김시습의 한문 단편소설인 <만복사저포기>의 무대가 되었던 만복사는, 현 전북 남원시에 소재하는 사적 제349호이다. 한문 단편소설인 <금오신화>는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하여 「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남염부주지」「용궁부연록」 등 다섯 편의 단편소설이 실린 책이다.

이 중에서 「만복사저포기」는 남원에 사는 가난한 노총각인 양생이 왜구의 침입 때 정절을 지키다가 죽은 처녀의 환신(幻身-환상 속에서만 가능한 사람)과 만나 사랑을 나누었다. 그러다가 처녀가 떠난 뒤에도 양생은 그 사랑을 잊지 못해 장가를 가지 않고, 산속에서 약초를 캐며 살았다는 조금은 슬픈 사랑의 이야기다


흔적만 남긴 만복사지. 도선국사가 창건한 남원 최대의 가람

남원 만복사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고려 문종 때에 창건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오층과 이층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법당이 있었으며, 그 안에 길이 35(10m)척의 동으로 조성한 불상이 있다"라고 했다. 기린산을 북쪽에 두고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둔 야산에 위치한 만복사 당시에는 대웅전, 약사전, 장륙전, 영산전, 보응전, 천불전, 나한전 등 많은 전각이 있었고 수백 명의 승려가 생활하는 큰 절이었던 것으로 기록에 보인다.

만복사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함께 불타 버렸다고 한다. 만복사지 발굴조사 때 많은 건물의 흔적을 찾아내었다. 또한 청자와 백자, 많은 와편 등이 출토되어 고려시대 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사지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만복사지에는 5층석탑(보물 제30호)·불상좌대(보물 제31호)·당간지주(보물 제32호)·석불입상(보물 제43호) 등이 절터내에 남아 있다. 만복사지는 고구려식의 절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절중에 하나로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만복사지에서 만난 문화재들

김시습은 왜 이 만복사를 단편소설의 무대로 삼았을까? 만복사지를 찾아간 것은 그 해답이 있지 않을까해서이다. 낮은 경계로 주변을 둘러 친 만복사지. 입구를 들어서면 우측 길 밑으로 보물 제32호 당간지주가 서 있다. 투박한 모습으로 조성이 된 이 당간지주는 고려 초기에 조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당간지주를 지나면 너른 사지 복판에 보물 제31호 석좌가 보인다. 이 석좌는 불상을 올려놓았던 받침돌로, 만복사를 지으면서 함께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석좌의 아랫부분은 각 측면에 꽃장식을 담은 코끼리 눈 모양을 새겼으며, 그 위에 연꽃을 조각하였다. 높이 1.4m 정도인 돌에 여러가지 문양을 조각했는데 육각형으로 만들어졌다.

석좌를 지나 전각 쪽에는 5층석탑 1기가 서 있다. 보물 제30호인 이 오층석탑은 고려 초에 세운 것으로, 높은 기단부 위에 5층의 몸체와 지붕을 얹었다. 현재 남아 있는 탑의 높이는 5.75m이다. 1968년 탑을 수리하던 중 1층 몸체에서 사리 보관함을 발견하였다. 전형적인 고려시대 석탑으로 단순한 구조이지만, 2층부터 지붕과 몸체 사이에 넓은 돌판을 끼워 넣은 점은 특이하다. 전각 안에는 보물 제43호인 석불입상이 있다.

이 석불입상 역시 만복사를 처음 창건할 당시 함께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의 석불입상은 민머리에, 정수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솟아 있다. 살이 오른 타원형의 얼굴은 눈, 코, 입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함께 풍만한 인상이다.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의 광배로 구분이 되어 있다. 이 석불입상의 뒤에는 선각을 한 부처상이 조각이 되어 있어 특이하다.

만복사지에 가면 사랑을 이룰 수 있을까?

수백 명의 승려가 살고 있었다는 만복사. 지금은 그저 옛 영화를 알아볼 수 있는 몇 기의 보물들이 서 있을 뿐이다. 김시습은 도대체 만복사란 절을 왜 무대로 했을까? 김시습은 어려서는 신동이라 불렸다고 한다. 그는 불교 철학의 사유를 공유하려 했던 사람이다. 이런 점으로 보아 만복사를 무대로 애틋한 사랑이야기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려 한 것은 아니었을까?


금오신화에 보이는 「남염부주지」는 미신과 불교를 배척하는 경주 박생(朴生)이 꿈속에 염라국으로 간다. 그곳에서 염라대왕과에 토론을 하고 돌아온 후 염라국 왕이 되어 세상을 떠난다는 내용이다. 이렇듯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이생과 저승을 넘나들며 사랑을 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도교와 유교, 불교에 통달한 것으로 알려진 김시습. 어쩌면 이 만복사를 무대로 모든 사람들에게 그만의 고차원적인 사랑을 일깨우고자 했음은 아니었는지 모르겠다. 혹자는 그런 세상 사람들과 동떨어진 이야기 때문에 광인이라고 했으니 말이다. 만복사지를 떠나면서 돌아본 옛 절터. 어디선가 양생과 처녀의 애절한 노래소리가 들려오는 것만 같다


당간은 절 입구에 세워놓는 깃대의 일종이다. 이 당간은 절에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것으로 장간, 찰간, 기간, 번간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당간은 목재나 철, 동, 석재 등으로 간대를 만들며, 지주는 대개 석재로 만들었다.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당간지주가 남아있으나, 당간의 간대가 남아있는 경우는 흔치가 않다.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솟을삼문 입구 하천변에 세워져 있는 당간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403호이다. 통도사 경내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지만, 통도사를 들어서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바로 이 당간이다. 당간은 어느 절이나 절 입구에 세워놓기 때문에, 절이 폐사가 되었어도 당간의 위치를 보면 그 절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탑처럼 꾸민 높이 7.5m의 석당간

석당간은 우리나라에는 몇 기만이 남아있다. 고려 말에서 조선조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통도사 석당간은, 기단부 전체가 후대에 와서 중수된 것이다. 기단부는 전반적으로 후대에 중수를 하면서 개보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도사 당간이 특별한 것은 마치 탑의 기단부와 같이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장대석으로 사방 하대의 윤곽을 잡고, 다시 짧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석 남북 양편으로는 지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유구를 두었다. 지주의 상하에는 타원형으로 두 개의 간공을 내고, 동서방향으로 장대석을 보완하였다.




성호를 새긴 당간의 간대석

중앙에 간대는 옛 간대 그대로라고 하는데, 중앙에는 성호인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통도사 석당간은 후대에 이르러 보수를 하면서 약간 그 형태가 달라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석당간이 남아있는 것만으로도 그 가치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7월 11일 이른 새벽부터 날이 우중충하다. 금방이라도 비가 퍼 부을 것만 같은 날씨에 양산 통도사로 향했다. 영축총림이라는 통도사는 벌써 10여 차례나 둘러본 곳이다. 하지만 갈 때마다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통도사처럼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절을 찾아간다는 것은 늘 마음이 설렌다. 아마도 한 곳에서 다양한 문화재를 접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불편한 몸으로 답사를 한 통도사

3시간 넘게 차를 달려 도착한 통도사. 떠날 때와는 달리 날이 뜨겁다. 몸이 편치가 않은데도 주차장에 도착을 해 바로 당간이 있는 곳을 찾았다. 냇가 옆에 서 있는 당간을 돌아본다. 통도사 석당간은 지금까지 보아오던 당간과는 그 형태가 판이하다. 사방에 네 개의 장대석으로 두른 후 그 안에 3층으로 기단을 놓았다. 기단 양편으로는 당간을 고정시키는 지주를 양편에 놓고, 상하로 당간을 고정시키는 구멍을 뚫어 석재로 만든 비녀를 꽂았다. 당간은 원형의 돌로 세웠는데, 몇 개의 석재를 이은 듯하다.



당간을 둘러 본 후 솟을삼문을 지나 안으로 향한다. 무더운 날씨에 땀이 비 오듯 한다. 천천히 걷는다고 하지만, 그래도 숨이 턱에 찬다. 찬물이라도 마시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들어 마음이 더욱 바빠지는 것은, 갈 곳은 많고 시간은 자꾸만 촉박하다는 느낌이 들어서인가 보다. 그래도 이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천근이나 되는 몸을 버티며 걷는다. 마치 내가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절 입구에 가면 당간지주란 석주를 볼 수 있다. 당간지주란 절 입구에 세워놓는 것으로, 절에서 행사를 할 때나 각종 의식을 펼칠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 것이다. 이 당을 달기 위한 기둥이 바로 당간지주이다. 당간지주는 ‘철당간’이나 ‘돌당간’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철당간은 그리 많지가 않다.


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기 위해서는, 양편에서 깃발을 달아 놓을 수 있는 버팀목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당간지주이다.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에는 연못 위편에 두 개의 당간지주가 동 서로 나란히 서 있다. 두 개의 당간지주는 그 형태가 같은 것으로 보아, 같은 시기에 제작이 된 것으로 보인다.



미륵사지 남쪽에 자리한 당간지주

 

서로 약 90m의 거리를 두고 서 있는 당간지주. 그 형태나 크기 등을 보아 함께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이 당간지주는 마치 쌍둥이 같은 모습이다. 하층 기단부는 부서진 채 땅속에 있다고 하며, 그 위로는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당간지주는 원래 서 있던 자리에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앞에 절을 출입할 수 있는 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한다.


당간은 두 개의 석주가 마주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에는 당간을 단 대를 고정시킬 때 사용한 구멍이 나 있다. 구멍은 아래위로 뚫는게 보편적인 형태이며, 지주 전체를 관통하는 경우와 얇게 뚫는 경우가 있다. 미륵사지의 당간지주는 세 개의 구멍을 뚫었으며, 관통을 하지 않고 지주의 중간쯤까지만 뚫려있다.




맨위는 당간지주 상단에 뚫은 구멍. 아래편에 당간석을고정시키기 위한 구멍과(가운데) 당간석을 받치는 받침돌(아래)
 

맨 위에 있는 구멍은 당간의 상단에 보이는데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아래편의 두 개의 구멍은 둥글게 뚫어놓았다. 이 구멍에 막대 같은 것으로 끼워 깃대를 세우고 묶어 놓는 것이다.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당간은 단아하다. 많은 장식을 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이 당간의 멋이기도 하다.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제작된 당간

 

이 두 개의 당간은 조성 시기나 형태가 같기 때문에, 하나의 당간을 설명한다 해도 다를 바가 없다. 당간의 기단부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지주의 양편 바깥쪽에는 둘레를 따라 외연선을 둘러놓았다. 외부의 중앙에도 역시 한 줄의 선을 주변을 깎아서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지주의 맨 위는 둥근 타원형으로 조성해 부드러움을 더했다.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모서리부분을 돌출시켰다. 맨 아래는 받침돌

이 두 지주는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현재 이 당간지주와 거의 같은 모양의 예로는 경북 영주시의  소수서원 경내 입구에 자리한 숙수사지 당간지주와, 보물 제255호인 부석사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그 양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사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내놓지 않은 아름다움

높이 약 4m의 당간지주. 지대석 위로 양편에 당간을 새운 중앙에는 당간대를 세울 수 있도록 받침석을 마련하였다. 받침석은 높이가 30cm 정도 되는 네모난 돌로, 그 옆에 붙여 당간지주를 세우는 것이다. 중앙에는 홈을 만들어 덩을 다는 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할 수 있다.


당간을 다는 당간석을 꽂게 만든 받침돌(위)과 당을 다는 당간석(아래)

대의 받침돌은 양편에 네 줄을 내렸으며, 맨 위는 조금 밖으로 돌출이 되게 하였다. 이런 돌 하나에도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인다. 미륵사지 당간은 화려하지가 않다. 그러나 형태 등에서 뛰어난 석조물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가 있다. 연못에서 바라다보는 우측 당간지주의 옆에는 둥글게 깎은 돌이 서 있다. 당간석이라는 돌이다. 이 당간석을 당간지주의 중앙에 있는 홈에 끼워 새우는 것인데, 잘라져 아랫부분 일부만 남아있다.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 두 개의 당간이 동서로 서 있는 모습에서, 과거 미륵사의 위용을 엿본다. 그리고 겉으로 드러내지 않은 아름다움이 있어 더욱 좋다. 2011년 1월 25일 오후, 천년 세월 그렇게 서 있는 당간지주의 멋에 취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