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란 정신적인 밑바탕에 기인한 그림입니다. 제목에서 말해주 듯, 둥글다는 것은 부처님의 원만구족한 덕을 말하는 것이고, 밝은 빛이란 부처님의 밝은 마음을 뜻하는 것이죠.”

 

10월 5일 오전, 수원시 우만동 248에 소재한 대한불교 조계종 봉녕사 도서관 1층에는, 10월 3일부터 6일까지 동성스님의 선화 초대전이, ‘둥글고 밝은 빛’이란 제목으로 열리고 있었다.

 

 

 

동성스님은 1964년에 통도사로 입신득도를 한 후, 1972년 조계종 중앙교육원과 1973년 범어사 불교전문 강원에서 공부를 하셨다. 1984년에는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선학과를 마쳤으며, 1996년에는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에서 학위를 받고, 2012년에는 몽골불교대학교 명예불교 철학박사로 학위기를 받았다.

 

그동안 선화를 갖고 세계 주요도심 기획전에 초대작가로 10여회 초청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6회의 기획전에 초대되었다. 교토, 시안. 뉴욕 등에서 개인초대전을 15회 정도 가졌으며, 2006년에는 시안 따시산스 ‘세계평화기원 사문동성 달마화비’를 세우기도 했다. 내년에는 인도 델리대학교와 뭄바이대학교에 개인초대전이 예약이 되어있다.

 

 

실제를 전제로 하여 그리는 동성스님의 선화

 

미술평론가 신항섭은 ‘동성스님의 달마도와 선화세계’라는 평에서

 

‘동성스님의 선화는 일단 그림으로서의 조형적인 요건을 두루 갖추었다. 따라서 즉흥적인 흥취에 의탁하거나 무심히 붓을 놀리는 식의 기분에 취한 그림이 아니다. 어쩌면 그림 이전에 글씨로써 먼저 붓을 다루는데 익숙해 있었기에 운필에는 이미 일정한 격식이 갖추어져 있다. 한 마디로 튼튼한 뼈대가 박힌 필선을 구사하고 있다’고 하였다.

 

전시장에 그려진 그림들은 달마와 천진불, 미소동자 등이 그려져 있다.

 

“달마는 깨달음의 자유를 뜻하는 것이죠. 천진불은 그야말로 천진난만한 아이의 표현입니다. 그것이 우리 인간의 본래자리를 말하는 것이죠. 청정한 성품 그대로인 순수한 마음으로 행복한 것입니다. 미소동자는 무관심의 희열을 뜻합니다. 세상 사람들처럼 관심은 오히려 세속적이고 자기중심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것을 벗어나 무관심함으로써 깨달음을 얻는 것이죠.”

 

종교는 예술이어야 한다

 

현재 한국선미술인회에서 활동을 하고 계시는 동성스님은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 79-3 봉국사에 주석하고 계시다. 전시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줄을 이어 관람을 하러 들어온다. 들어오는 사람마다 일일이 반갑게 맞이하시는 동성스님께 선화란 무엇인가를 물었다.

 

 

“선화란 일체중생의 고른 정신문화입니다. 선화는 화두와 부처님의 진리를 가르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종교란 곧 살아가면서 우리가 경험하는 예술입니다. 수많은 불교문화가 그러하듯, 선화 역시 그 안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깨달아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고자 하는데 있습니다.”

 

봉녕사 주지 자연스님은 초대 인사말에서

 

“선화란 달을 가르치는 손가락처럼 부처님의 자비와 지혜의 가르침을 근간으로, 산란하고 분주한 마음을 다스려 고요한 마음을 이루고 참 나를 찾도록 하는 수행자의 그림이다. 동성스님의 선화는 깨달음의 자유, 청정성의 봉연, 무관심의 희열로써 사람과 생명의 빛나는 장엄을 이루고, 그 어디에도 염오되지 않는 연꽃 속에 담겨져 있는 세상을 지향한다.” 라고 했다.

 

인터뷰 내내 동성스님의 모습에서는 때로는 달마스님이, 때로는 천진불의 모습이 보이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그림을 돌아보면서 마음 한 자락 깊이 숨어있는 근심을 놓아버린다. 아마도 동성스님의 선화에서 내뿜는 선한 기운 때문은 아닌지. 그림 한 점으로도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동성스님의 선화. 그 옆에 서서 하루해를 보내고 싶다.


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에 소재한 숭림사. 고려 충목왕 원년인 1345년에 처음으로 창건된 선종 고찰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 어떻게 변천이 되어왔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숭림사의 대웅전인 보광전 중수기에 따르면 순조 19년인 1819년에 중수를 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숭림'이라는 사찰명은 중국의 달마대사가 숭산 소림사에서 9년간 앉아 도를 닦고 득도하여, 첫 선종사찰이 되었으므로 숭산의 '숭(崇)'자와 소림의 '림(林)'자를 따서 숭림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맞배지붕인 보광전은 단아한 아름다움 배어있어

 

숭림사는 보광전이 대웅전이다. 보광전 안에는 목조석가여래좌상을 안치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조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복장기문에 의해 보광전은 17세기 이전에 지은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보물 제82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보광전의 규모는, 정면 3칸·측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대웅전이 맞배지붕으로 구성된 예도 드문 경우이지만, 보광전의 건축기법과 법식이 특이해 조선조 후기 건축물 연구에 주목받는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조성된 숭림사 보광전. 주변을 돌면서 살펴보면 참으로 단아한 멋을 느낄 수가 있다.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화려하지 않은 보광전은 중간 중간 기둥들이 자연 재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다듬지 않고 사용한 나무들이 그대로 자연을 느끼게 만든다.

 

 

 

자연석인 주추의 위를 평평하게 다듬은 것 또한 그러하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물인 다포양식임에도 건물 옆면에 공포를 배치하지 않은 것 또한 특이하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 보물로 지정된 까닭을 알 만하다.

 

보광전 안 닫집의 아름다움

 

보광전의 불상 안에는 용과 구름으로 조각이 된 화려한 닫집이 장식되어 있다. 보광전 건물 안쪽은 보 끝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고, 기둥 윗부분에는 연꽃, 용의 몸, 용 앞발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건축 부재들이 화려한 모양으로 장식이 되어있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외부의 장식과는 달리, 보광전의 내부 장식은 화려하게 치장이 되어있다.

 

 

 

퇴색할 대로 퇴색이 된 닫집은 그야말로 목조각 예술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다. 연꽃과 구름 용 등이 서로가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닫집은 요즈음의 닫집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다. 퇴색한 색이 오히려 닫집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듯하다.

 

보물 제825호 숭림사 보광전. 그저 낮은 야산 자락에 자리를 하고 앉은 전각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야할 것처럼 자리를 하고 있다. 오래된 고향집을 찾은 것처럼 편안함을 주는 숭림사 보광전. 화려하지 않은 모습이 마음을 편하게 하기 때문인가 보다. 크고 화려하게 지어대는 요즈음의 건축물 때문에 오히려 크지 않고 화려하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이 더욱 값지게 느껴지는 것은 아닐까? 오래도록 그 앞을 떠나지 못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