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딴 곳으로 옮기는 것을 두고 이건(移建)’이라고 한다. 집을 옮긴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모든 것을 해체하여 다시 그대로 복원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체하는 과정에서 자칫 집에 손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건은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충북 청원군 문의면 문산리에 있는 문의문화재단지 안, 충북 유형문화재 제220호인 문의 노현리 민가는 바로 이렇게 이건을 한 집이다.

 

이 집은 원래 강릉 김씨 김승지의 종가였다고 한다. 그런 집을 문의면 노현리의 연안이씨 가문에서 사들인 것 같다. 괴정 이현승 참봉이 이 집을 구해 살던 집으로, 1993년 손자인 이양훈 씨에 의해 이곳 문의문화재단지 안으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이 집은 자 형의 안채와, 초가로 된 광과 사주문이 자리하고 있다.

 

 

초가로 된 광을 보면 부농이었다.

 

초가로 된 사주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대문채인 듯한 초가가 보인다. 모두 세 칸으로 된 이 초가는 한 칸의 마굿간과 한 칸의 방을 두고, 그 사이에 광을 두고 있다. 그저 어느 시골집에서나 평범하게 볼 수 있는 그런 모습이다.

 

그러나 안채 앞에 있는 광채를 보면, 이 집이 부농이었음을 알 수가 있다. 모두 다섯 칸으로 된 광채는 초가이면서도 보기 드물게 잘 지어진 집이다. 모두 앞에는 두 짝 판자문을 달았으며, 넓이는 동일하게 한 칸씩이다.

 

 

기단을 장대석으로 쌓았으며, 광문을 구성한 목재가 단단하다. 이런 초가로 된 광채의 형태로는 상당히 뛰어난 치목의 형태로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노현리 민가에 살았던 가정이 부유한 농가였음을 알 수가 있다.

 

뛰어난 안채의 구성

 

노현리 민가의 안채를 보면, 아마도 옛날에 이 집에는 사랑채가 별도로 있었을 것 같다. 안채의 구성에서 이 집의 모습이 그려진다. 안채는 자 집이다. 일곱 칸으로 꾸며진 안채는 부엌과 안방, 윗방이 있고, 꺾인 부분에 두 칸 대청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칸의 건넌방이 자리한다.

 

 

안채의 안방부터 대청까지 연결하는 툇마루는, 안채에서 주로 생활하는 여인들이 땅을 밟지 않도록 동선을 구성하였다. 툇마루에서 부엌으로 통하는 문을 내어놓았기 때문이다. 건넌방의 마루는 대청마루보다 높인 높임마루를 놓았으며, 그 밑으로 한데 아궁이를 두었다.

 

두 칸 대청에는 예전에 사용하던 쌀독이며 반다지 등이 자리하고 있다. 대청의 뒤편으로는 두 개의 판자문을 내어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건넌방과 맞닿은 벽 위로는 대청다락을 내어놓았다.

 

 

노현리 민가의 특징은 건넌방 밖으로 낸 반 칸의 마루이다. 건넌방에서 문을 열고 나오면, 누마루를 깐 정자마루가 있다. 아마도 이곳에서 부녀자들이 시원한 바람을 쏘이며 한담을 나누고는 했을 것이다. 안방의 뒤편에는 툇마루를 놓아, 집의 좌우에서 부녀자들이 밖을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금은 문의문화재단지 안에 자리하고 있지만, 아마도 예전 노현리 마을에 자리하고 있을 때는 꽤나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을 것 같다. 비록 넓고 화려하지는 않으나, 참으로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집이다. 지난 31일 찾아간 집이지만, 내내 마음속에 남아있는 노현리 민가. 그래서인가 이 집과 닮은 집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