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찾아가기도 쉽지가 않다. 도로 이정표에 적혀있는 사찰명 하나만을 갖고 찾아 나선 절이다. 백련사,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가실리 신43번지. 주소를 알았다고 하면 내비게이션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절이었지만, 그저 이정표의 화살표 방향만 보고 따라갔기 때문에 애를 먹었다.

 

용인 에버랜드를 지나 도로로 마장IC 방향으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한참이나 산길로 들어가다가 또 다시 오래된 포장도로를 따라 들어갔다. 아마도 거의 산길을 3km 정도를 돌아 돌아 찾은 것만 같다. 일반차량은 들어갈 수 없다는 안내판에서도 한참이나 들어가야 만날 수 있는 절. 백련사는 그렇게 심산유곡에 자리하고 있었다.

 

 

신라 애장왕 2년에 창건한 백련사

 

백련사는 용인시 전통사찰 제54호이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 1791년 석담대사가 쓴 약사에 보면 신라 애장왕 2년인 801년에 선응선사에 의해서 창건된 고찰이다. 고려 경종 원년인 1399년에 천공스님이 중수하였으며, 조선 태종 4년인 1404년에 무학대사가 중건하면서 18 나한상을 조성 봉안하였다고 전한다.

 

현종 12년인 1671년과 정조 11년인 1787년에 수경스님과 석담 스님에 의해 각각 중건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종 18년인 1891년에 편찬된 용인현 읍지 사찰조에 백련사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까지도 사찰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 거의 폐사가 되었던 백련사는 청신녀 청정월의 화주로 요사와 법당을 중수하였고, 성월스님의 중창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경내에는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석불상 1구와 조선후기 나한상 13, 수경스님의 부도 등이 남아있다. 당우로는 대웅전, 산신각, 나한전, 요사, 종각 등이 있다.

 

가파른 계단 위에 자리해

 

주차장에서 백련사의 경내로 들어가기 위해 계단을 오른다. 계단 중앙서부터 위까지 3층으로 된 전각은 방들이 주욱 늘어서 있다. 아마도 이곳에서 수행을 하기 위한 방으로 보인다. 그 전각의 중앙으로 경내의 삼층석탑의 상륜부가 보인다.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우측에 종각이 있고, 앞으로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의 우측 조금 위로는 삼성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대웅전의 좌측으로는 지장전이 있다. 그리고 지장전 좌측으로 소대와 조금 떨어져서 나한전이 자리한다. 나한전은 원형으로 만들었으며 기와와 황토를 이용해 특이하게 조성을 하였다. 나한전 앞에서 절 경내를 내려다본다. 대웅전 앞에 서 있는 삼층석탑은 석가모니불의 진신 사리탑이라고 한다.

 

절을 들어가 대웅전을 한 바퀴 돌아본다. 심산유곡에 자리한 사찰치고는 대웅전이 큰 편이다. 창호는 꽃창살로 조성을 해 아름답다. 나한전 앞은 유리로 막아놓아 안이 들여다보인다. 수미단의 위에는 작은 나한들이 여러 형태로 좌정을 하고 있다. 아마도 저 나한상들이 조선후기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경내를 한 바퀴 돌아 내려오니 커다란 사자를 닮은 개 한 마리가 마당에 앉아있다. 그런데 이 녀석은 사람이 가까이 가도 영 아는 체를 하지 않는다. 그저 세상일에는 관심이 없는 듯한 자세이다. 절에서 오래 살다가 보니 해탈의 경지라도 이른 것일까? 축대 밑에 있는 샘에 가서 물 한 잔을 떠 마신다. 내장까지 다 시원해진다.

 

이렇게 깊은 산 속에 자리하고 있는 절의 물이니 얼마나 그 맛이 좋을까? 주변에는 아무 것도 없으니 이 물이야말로 정말 깨끗할 것이란 생각이다. 고즈넉한 고찰에서 마시는 물 한 대접. 이 물로 인해 세상에서 묻힌 허물을 조금이라도 가실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그저 이런 절에서 며칠만 살 수만 있다고 해도 세상 시름을 다 놓을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