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시작한 ‘화성 겉돌기’가 끄트머리에 왔다. 팔달산을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 남포루에서 서남암문을 지나 용도의 중간에서 만나게 되는 용도동치와, 팔달사의 능선 끝에 자리한 서남각루인 화양루의 구간이다. 약 600m정도의 이 구간은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이다. 10월 26일 오후, 팔달산에는 가을이 짙게 물들어 있었다.

 

남치를 벗어나 천천히 산을 오르기 시작한다. 아침저녁으로는 쌀쌀한 기온이지만, 한낮의 기온은 땀을 나게 만든다. 그저 성벽을 하나하나 손끝으로 느끼면서 오르다가 보니, 성에 아치형의 문이 나있다. 이 길을 따라서면 팔달산 중턱에 있는 화성을 지켜준다는 신을 모신 성신사가 나온다.

 

 

가을을 느끼며 걷다

 

조금 안으로 걸어본다. 팔달산이 나무들이 붉은 색으로 옷을 입었다. 사람들은 화성을 돌아보는 화성열차에 몸을 싣고 그 가을을 느껴보는가 보다. 다시 걸음을 옮겨 성벽 밖으로 돌아 길을 오른다. 남포루가 성벽 밖으로 돌출이 되어 서 있다. 남포루는 팔달산의 오르막에 자리를 하면서, 팔달문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물인 듯하다.

 

남포루의 또 하나의 기능은 팔달산으로 오르는 적들에게 공격을 하여 서남각루인 화양루를 보호하기 위한 곳이기도 하다. 3층으로 된 포루에서 쏘아대는 포와 총 등을 피하기가 어려웠을 듯하다. 눈을 감고 상상을 해본다. 저렇게 비탈을 올라야 하는 것도 쉽지가 않았을 텐데, 거기다가 포까지 쏘아대는 포루로 인해 용도를 공격하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화성의 5곳의 포루 중 하나인 남포루는 1796년 7월 9일에 완성되었으며, 만드는데 3,203냥의 비용이 들었다. 포루를 지나 팔달산의 능선을 향해 오른다. 갑자기 길이 가파르게 변한다. 그리고 그 위에 서남암문이 자리하고 있다. 서남암문은 용도로 군량을 옮기는 병력을 이동시키기 위한 곳으로, 암문 중에서는 유일하게 밖으로 나갈 수가 없는 곳이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다

 

용도의 시작점인 서남암문을 올려다보면서 천천히 걸음을 옮긴다. 이곳에는 성 밖으로 노송들이 즐비하게 서 있어, 갈을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 용도에는 중간에 동서로 치가 한 곳씩 있다. 그 동편의 치를 끼고 돌아 서남각루로 향한다. 지난 9월, 비가 몹시 심하게 뿌리던 날, 이곳에서 화성 밖으로 걷기를 시작했다.

 

 

 

그 마지막 구간인 11번째의 구간. 그저 계속 걸으면 두 시간, 사진 촬영을 꼼꼼히 하면서 걸어도 4시간이면 충분할 거리를 2달 만에 끝을 내다니. 물론 게으르기 때문은 아니다. 그저 가는 계절에 따라 조금씩 변화된 모습으로 보고 싶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성은 역시 밖으로 돌아야 제대로 볼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언젠가는 완전한 성을 돌아보고 싶다.

 

옛날 제도에 따르면 ‘용도(甬道)’란 것은 군량을 운반하기 위하여 보이지 않게 서남암문서부터 화양루까지 능선을 따라 낸 길이다. 팔달산의 남쪽 기슭 한 가닥은 성 밖으로 나와서 별안간 높이 솟아 사방의 들을 내려다보게 되어 있다. 만약에 이곳을 막아 지키지 않아서, 적군이 먼저 올라가게 한다면 성의 허실을 모두 엿볼 수가 있다. 하기에 이곳은 화성에서도 가장 중요한 곳 중 한 곳이다.

 

 

그렇게 화상을 밖으로 돌아보기가 끝났다. 화성 겉돌기를 하면서 성안에서는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화성의 진면목을 보았다. 화성은 자연을 벗어나지 않는 아름다운 성이라는 것을, 밖으로 돌아보지 않으면 절대로 느낄 수가 없다. 그래서 화성의 겉돌기는 화성에 대해 더 많은 것들을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언젠가는 완전히 이어진 화성 겉돌기를 다시 한 번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