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위치한 각연사의 주위로는 보배산, 칠보산 등이 둘러쌓고 있다. 각연사의 일주문에는 '보배산 각연사'라고 적혀있다. 신라 법흥왕 때인 515년에 유일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각연사는, 그 역사가 1500년이나 되는 고찰이다. 그만한 절이 이 곳 산중에 있다는 것이다. 도대체 각연사는 어떤 모습일까?

괴강삼거리에서 올갱이 해장국 한 그릇으로 점심을 때우고, 각연사로 행했다. 도로에서 각연사로 향해 마을길로 접어들자 좁은 도로가 이어진다. 눈은 치웠다고 하나, 여기저기 얼음이 얼어 미끄럽다, 거기다가 앞에서 차가 나오는 바람에 100여m를 후진을 해야만 했다.


절을 찾을 때도, 뒤로 할 때도 몇 번이고 후진을 해야 하는 길. 중간 중간 차가 비켜설 수 있도록 길을 내주면 좋으련만. 이 산중에 있는 고찰을 겨울에 가족들과 함께 찾는 사람들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자칫 초보운전이라도 되는 날은 그냥 울고 싶을 것이다.

까마귀와 연못에 얽힌 전설

각연사에는 전설이 전한다, 어느 절이나 그러하지만, 천년 넘는 고찰에는 그럴듯한 전설 한 가지는 전하기 마련이다. '각연사'라는 명칭을 붙인 것은 이러한 전설과 연결이 된다.


각연사 일주문과 경내에 있는 석물.좌대인 듯하다. 각연사의 역사를 알 수 있다


「유일대사가 절을 짓고자 지금의 칠성면 쌍곡리에 있는 절골 근처에 자리를 잡고, 절을 짓기 시작했다. 그런데 절을 짓고 있는 곳으로 까마귀 떼들이 날아들었다. 이 까마귀 떼는 절을 짓는 현장에 있는 나무토막과 대패 밥 등을 들고 어디론가 날아가고는 했다는 것이다. 유일대사는 기이한 까마귀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다가, 어느 날 까마귀 떼를 쫒아갔다. 그랬더니 현재 각연사의 자리에 연못이 있는데, 그 연못물 위에 나뭇가지와 대배 밥이 떨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유일대사가 연못 안을 들여다보니 석불이 있고, 그곳에서 광채가 일었다.

유일대사는 깨달음을 얻어 연못을 메우고, 그곳에 절을 지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절의 이름을 '각연(覺淵)'이라 하였단다. 지금 각연사의 비로전이 선 자리가 바로 그 연못이 있던 저리이고, 비로전 안에 모신 보물 제433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연못 속에 있던 석불이라는 것이다.」


대웅전과 돌계단. 장대석에서 각연사가 고찰임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런데 신라 제23대 법흥왕은 재위기간이 514년~540년이다. 이 석조비로나자불 좌상이 신라말기의 작품이라면 년대 차이가 많이 난다. 하지만 전설이란 전해지면서 조금씩 변화하는 것이니 무슨 상관이랴. 이 비로전과 각연사라는 절의 명칭이 그런 연유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설화 삼아 알 수 있다면, 그 또한 귀가 솔깃한 이야기 거리가 되지 않을는지.

뛰어난 경계에 자리한 각연사

각연사를 들어가는 길은 4km나 된다. 좁은 길이 계곡을 끼고, 숲이 우거진 길을 올라간다. 말은 오른다고 하지만, 평지나 다름없다. 걸어서가도 30 ~ 40분이면 도착을 할 수 있는 거리이다. 봄철에는 주변 산을 아름답게 수놓는 봄꽃의 향에 취해 걸어볼 만한 길이다. 아니, 이 길은 걸어야 각연사를 제대로 느낄 수가 있을 듯하다.


보물 비로자나불을 모신 비로전과 비로전의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덤벙주초


일주문을 지나 10여분을 걸어 경내로 들어선다. 중앙에 낮은 구릉을 뒤로하고 대웅전이 자리한다. 대웅전은 충북유형문화재 제126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정면 세 칸, 축면 두 칸의 다포식 맞배집이다.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 혹은, 고려 초의 통일대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현재의 대웅전은 조선 후기의 짜임새 있는 건물이다.

상량문에 의하면 그동안 각연사의 대웅전은 몇 차례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융경 년간(1567~1572), 순치 년간(1644~1661), 강희 년간(1662~1722)에 보수를 하였고, 영조 44년인 1768년에 중건을 하였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는 1979년에 보수를 하였다.

보물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비로전

각연사라는 명칭을 갖게 했다는 비로전. 전설에 의하면 이 비로전이 있는 곳이 연못이었다는 것이다. 비로전은 현재 충북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으로 지어진 이 비로전은, 인조 26년인 1648년, 효종 6년인 1655년, 광무 3년인 1899년, 그리고 1926년에 중수하였다.

초석은 신라 때 사용하던 자연석 위에 원형으로 깎아 도드라진 위로 배흘림기둥을 세웠다. 이 비로전 안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는데, 그 뛰어난 조각 솜씨에 압도당한다. 앞에가 서면 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듯하다.

각연사의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두 가지 문화재인 보물 제1370호 각연사 통일대사 부도와, 보물 제1295호인 통일대사탑비를 보려고 했으나, 아직은 길이 녹지를 않아 다음으로 미루었다. 경내를 돌아보면 기단을 쌓은 장대석이나 주추 등이 옛 정취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적당히 자리를 잡은 전각들이 화려하지는 않으나, 마음을 편하게 만든다. 꽃이 피는 봄에 다시 한 번 각연사를 찾아보리라 마음을 먹고, 보개산을 뒤로 한다


하늘이 갑자기 새까맣다. 그렇다고 무슨 소리가 들리는 것도 아니다. 까만 점처럼 생긴 물체 수천마리가 날아들면, 금방 인근의 마른 논이 새까맣게 변해버린다. 주변 전선도 까맣게 변해버린다. 그리고는 눈이 쌓인 온 논바닥을 헤집으며 돌아다니다가, 어느새 무리는 딴 것으로 날아가 버린다.

영화 히치콕 감독의 영화 속에서 본 공포를 보는 듯도 하다. 저러다가 더 많은 무리가 집단으로 사람들을 공격하는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수천마리는 됨직 한 까마귀 떼들이 날아다니면서, 먹을 것을 찾아다닌다. 2011년 1월 25일(화), 오전 11시경에 26번 도로를 따라 김제시 백구면 반월리 인근에서 까마귀 떼를 만났다.


수천마리가 집단으로 이동

요즈음 먹을 것을 찾아다니는 까마귀 떼는 수천마리가 집단으로 이동을 한다. 처음에는 무슨 철새가 날아오는 것으로만 알았다. 김제시 벡구면 인대에는 가끔 많은 철새들이 만경천을 따라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철새와는 날갯짓이 다르다. 까맣게 몰려든 무리들은 겨울철 마른 논바닥을 금방 까맣게 만들어버린다.

까마귀 떼들이 날아오는 것을 보고 차에 찬 한 사람이 “애고 저 까마귀 떼들, 정말 골칫거리네“라고 한다. 무엇이 그리 골칫거리일까? 수천마리가 함께 집단으로 이동을 하는 모습이 그리 보기 좋은 것은 아니다. 더구나 까마귀는 우리 속설에는 불길한 날짐승으로 표현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또 다른 걱정거리를 안겨주는 까마귀 떼

까마귀는 우리들의 속설에는 ‘불길한 존재, 혹은 머리가 나쁜 새’ 도로 알려졌다. 까마귀는 건망증과 문맹의 상징으로 여겨져 온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까마귀들은 호도를 길바닥에 놓고, 차가 호도를 깨고 지나치기를 기다릴 줄 아는 영리한 새이다. 그런 까마귀들이 잡단으로 몰려다니면서 농촌의 새로운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말도 마세요. 저 까마귀들이 비닐하우스에 앉으면, 괜히 비닐하우스를 쪼아대서 구멍을 다 내 놓아요”
“겨울철 농작물은 먹지도 않으면서 다 파헤치고 다녀요”

집단으로 이동을 하면서 까마귀들이 농촌에 피해를 입힌다는 것이다. 겨울철 먹을 것이 마당하지 않은 까마귀 떼들이, 언제부터인가 수천마리씩 집단으로 이곳저곳으로 날아다닌다는 것이다. 전깃줄에 새까맣게 앉은 까마귀 떼를 보면, 정말로 무서운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만일 저 많은 까마귀들이 집단으로 사람이라도 공격을 한다면 어찌 될 것인가 하면서.




언제부터 이렇게 집단으로 까마귀 떼들이 몰려다닌 것일까? 김제시 백구면 삼정리에 사신다는 한 어르신은

“한 4~5년 전부터 저렇게 수천마리가 몰려다니고 있어. 그 이전에는 그런 광경을 본 알이 없는 것 같은데. 요즈음에는 저 까마귀들 때문에 걱정도 되지. 까마귀들은 불길한 새라고 하는데, 저 새 떼들이 조류독감이나 옮기는 것은 아닌가 하고”

라고 하신다. 까마귀 떼의 집단적인 움직임이, 또 다른 걱정거리를 만드는 것만 같다. 수천마리가 모여 하늘을 새까맣게 덮고 있는 것을 보면, 그런 불안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래저래 구제역이다, AI 조류인플루엔자로 뒤숭숭한 판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