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산재한 수 많은 고택 답사를 하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참으로 많다. 어디는 사랑채가 너무 멋이있어 그곳을 떠나기가 싫을 정도였는가 하면, 집 안에 자리한 정자의 아름다움에 매료가 되어 몇 시간을 늘어지게 자고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그 많은 고택들을 둘러보면서 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다. 그것은 많은 글들이 올라오지만 정작 집을 들어서기 위해서는 꼭 거쳐야 하는, 대문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언급이 없었다는 점이다.

대문은 집안의 귄위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집의 대문을 보면 그 집안의 내력을 대개는 이해할 수가 있다. 하기에 대문은 그 집을 돌아보는데 있어, 가장 먼저 만나게 되지만 그만큼 눈여겨 보아야 할 곳이기도 하다. 어딜가나 만나게 되는 많은 고택들. 과연 그 대문은 어떤 모양을 하고 있을까? 대문을 만나보기로 하자.

중요민속자료 제196호 충남 아산 윤보선 전 대통령 생가

솟을대문은 위엄있는 사대부가의 상징


솟을대문이란 중앙에 높게 지붕을 올리고 그 양편을 낮게 만든 대문을 말한다. 이 솟을대문은 대문 양편을 얼마나 크게 조성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집안의 내력을 가늠할 수도 있다. 대개는 지방의 세도가와 양반가의 대문에 즐겨 사용을 했으며, 솟을문 옆으로는 하인들이 묵는 문간채와 헛간, 마굿간, 광채 등이 함께 자리를 잡는다. 솟을대문의 모습은 어떤 형태인지 살펴보자.





맨 위는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소재한 충남 민속자료 제7호인 이삼장군 고택 대문이다. 이삼(1677~1735) 장군이 이인좌의 난(1728)을 평정한 공으로, 영조로부터 하사 받아 지은 집이다. 이 대문은 기단을 높게 쌓고 그 위에 솟을대문을 두었다. 대문 옆으로는 하인이 사용하는 문간방을 들이고, 그 굴뚝을 대문 밖으로 빼냈다. 헛간과 마구간이 있는 비교적 단아한 형태의 대문이다.

두 번째는 충북 음성에 있는 중요민속자료 제141호인 김주태 가옥의 솟을대문이다. 이 대문은 사랑채에서 내려다 본 안쪽의 모습이다. 김주태 가옥은 약 300년 전에 이익이 세운 집이라고 전하지만, 안채는 19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이 솟을대문은 마을의 길과 같은 높이로 놓이고, 대신 사랑채가 3단의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자리하고 있다. 대문의 양편은 모두 광채로 사용을 하고 있으며, 밖에서 대문의 우측을 보면 쪽문이 있다. 즉 아랫사람들은 대문을 열지 않고 출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세 번째는 전북 정읍시 산외면에 소재한 중요민속자료 제26호인 김동수 가옥이다. 99칸의 대저택인 김동수 가옥의 솟을대문은 전국의 고택 중에서도 그 규모가 큰 대문이다. 이 대문채에는 방과 광, 마구간 등이 나열되어 있으며, 끝 부분은 꺾어서 ㄱ 자 형태로 꾸몄다. 김동수 가옥은 집 밖에 호지집이라고 하는 별채를 둘 정도로 지역에서 대부호로 꼽히는 집이기도 하다.

맨 아래는 경주의 독락당 솟을대문이다.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계곡가에 자리하고 있는 독락당은 보물 제41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독락당은 옥산서원 뒤편에 있는 사랑채를 말한다. 이 집은 회재 이언적 선생이 벼슬을 그만 두고 고향에 돌아온 뒤에 거처한 유서 깊은 건물이라고 한다. 독락당의 솟을대문은 화려하지가 않다. 그저 중앙을 높이고 양편을 낮게 해 담을 판벽으로 하였다. 선생의 심성을 그대로 닮았다는 생각이다.

솟을대문의 극치 함양 정여창 가옥



솟을대문의 극치는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의 중요민속자료 제186호인 일두 정여창 고택(정병호 가옥)에서 만날 수가 있다. 일두 정여창 선생은 조선조 5현의 한 분으로, 이 집은 선생이 타계한지 1세기 후에 후손들에 의하여 중건되었다. 3,00여평의 대지가 잘 구획된 12동(최초에는 17동이라고 전한다)의 건물이 배치된 남도 지방의 대표적 양반 고택으로, 솟을 대문에는 충. 효 정려 편액 5점이 걸려 있어 눈길을 끈다. 

초가가 정겨운 작은 대문

기와에 주로 나타나는 대문은 솟을대문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그 집의 위세를 떨치고자 하는 뜻도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분의 차이가 뚜렷한 조선조에서는 이러한 대문의 형태가 곧 그 집안의 가세와도 관계가 지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집안과 관계없이 초가에 묻혀 세상을 살아간 반가의 사람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런 집들은 대개 작은 일각문을 사용하는데, 기와집에서도 이런 형태는 보이고 있다.


충북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에는 중요민속자료 제148호인 정원태 가옥이 있다. 이 집은 초가로 지어졌으며, 초가집에서는 가장 큰 사랑을 갖고 있다. 그 사랑 옆으로 작은 초가로 이은 일각문이 있는데, 이 문이 안채로 들어가는 대문의 구실을 한다. 옛날에는 바깥 담장이 있고 그 곳에 대문이 있었는지는 정확지 않으나, 현재 이 집에서 살림을 하는 분들의 이야기로는 이 초가 일각문이 대문이라고 하다. 조선시대에 지어진 정원태 가옥은 남도지방과 중부지방의 가옥의 형태가 습합되어 있다.


별다른 문이 없는 너와집

집은 여러 형태로 지어진다.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살고 있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달라진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에 가면 중요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이 된 너와집이 있다. 굴피나무를 잘라 지붕을 인 이 너와집은 '느에집' 혹은 '능에집'이라고도 부른다. 이 집들은 따로 대문이 나 있지가 않다. 집 자체가 간단한 구조로 꾸며지기도 하지만, 대개는 화전민들의 집이기 때문에 집 안에서 모든 일을 다 보아야 한다. 그래서 집안으로 들어가는 문 자체가 대문의 역할을 한다.


가장 아름다운 대문은 사람에게서 나온다.

가장 아름다운 대문은 어던 것일까? 솟을대문도 아니고, 기와나 와가의 대문도 아니다. 대문은 그 집을 드나드는 곳이다. 그 문으로 사람도 드나들고, 수 많은 생활에 필요한 것들이 들어가고 나간다. 하기에 그 문으로는 그 집의 모든 복락이 드나드는 곳이라고도 한다. 전국의 많은 집을 찾아다니면서 만난 가옥 중, 가장 인상에 남는 집은 증평에 있는 연병호 생가이다.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 555번지에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122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연병호 생가가 자리하고 있다. 독립운동으로 집안을 제대로 돌보지 못한 연병호 선생은, 오직 나라의 앞날만을 생각하다가 일생을 마친 분이다. 제헌과 2대 국회의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선생이 자손들에게 남겨준 것은 아무 것도 없이 단지 다 쓰러져 가는 집 한채 뿐이다. 

 

석곡리 마을 길 한편에 자리 잡은 연병호 생가. 돌로 쌓은 축대 위에 담장을 두르고 계단으로 오르면, 싸리문이 손을 맞이한다. 이 싸리문이야 말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문이란 생각이다. 이 문은 평생을 나라만을 생각하다가 세상을 떠난 연병호 선생이 드나들던 문이기 때문이다. 답사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문들. 그 문에는 제각각 그 뜻이 깃들어 있음을 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