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 간성읍에서 건봉사를 항해 가다가 보면, 해상 2리 마을이 있다. 이곳에서 개울 건너에 보면 커다란 노송 두 그루가 서 있는 곳에 작은 전각 한 동이 보인다. 개울 건너편에는 간성향교 기적비란 돌 표지석 한 기가 서 있다. 간성항교 기적비란 말에 개울에 놓인 징검다리를 건넜다.

 

다리를 건너면 맞배지붕으로 지은 비각을 만난다. 비각은 정면과 측면 각 한 칸으로 지어졌으며, 높이 70cm 정도의 장초석 위에 기둥을 올렸다. 내부에는 홍살을 두른 안에 비 한 기가 서 있다. 이 비가 바로 간성형교 기적비이다. 이 비를 세우게 된 내력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임진왜란에 성인의 위패를 모신 곳

 

조선조 선조 25년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병들이 간성항교로 들이닥쳤다. 왜병들은 간성향교를 점령하고 갖은 만행을 저질렀다. 이 때 향교의 재임이었던 김자발과 박응열 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성인의 위패를 거두어 정결한 곳에 봉안을 했다는 것이다. 간성항교는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왜병들은 위패를 두 사람이 거두어 간 뒤 간성항교에 불을 질렀다. 전소한 향교는 위패를 피신시켰던 김자발과 박응열의 발의로, 임진왜란 때인 1592년에 10월에 중건을 시작하여 이듬 해 2월에 공사를 마쳤다고 한다. 이 기적비는 순조 5년인 1805년에 향교 유림인 김, 박 등 공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나를 부끄럽게 만든 비각

 

소나무 두 그루가 전각을 내려다보듯 서 있다. 그 아래 맞배집 한 칸으로 서 있는 비각. 그저 시골 길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그런 비각이다. 내 앞에 서 있는 향교 기적비란 표지석이 아니라면 누구의 열부각이나 효자각 쯤으로 여겼을 것이다. 몇 년 전에 이곳을 몇 번이나 지나면서도 그리 생각이 들어 들리지 않았던 곳이다.

 

새삼스레 세워 놓은 표지석 하나 때문에 이 비각의 남다름을 알아낼 수 있었다니. 더구나 지정문화재가 아니기 때문에 그저 홀대를 하고 지나쳤던 것이 조금은 부끄럽기도 하다. 매번 떠들어대는 것이 문화재의 가치는 지정, 비지정, 혹은 그 품격을 갖고 논하지 말라던 나였기 때문이다.

 

 

형조판서 서영보의 글씨

 

비각은 단출하다. 정면과 측면 한 칸이지만, 정면이 측면보다 약간 넓게 조성하였다. 홍살을 띤 안에는 비가 한 기 서 있다. 비의 대좌와 머리에 놓은 개석은 화강암으로 하였으며, 개석의 앞뒤로는 당초문과 꽃 봉우리가 새겨져 있다.

 

몸돌은 섬록화강암으로 조성하였으며, 높이는 142cm이다. 붉은색의 비문으로 써 있는데, 비문은 영의정이던 이병모가 찬하고 형조판서 서영보의 글씨라고 한다. 조선후기의 문신인 서영보는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니, 당대 최고의 명필이 글을 쓴 셈이다. 글을 전각한 것은 유한지이다.

 

그저 모르고 지나쳤던 비각 하나. 문화재 지정이 되지 않아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이라고 일축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작은 비 하나에도 큰 뜻이 있기에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건봉사의 문화재를 답사하러 가다가 만난 이 비 하나로, 다시 한 번 문화재답사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