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소재한 무량사.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고찰이다. 이 무량사 뒤편 고즈넉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산신각. 이 산신각에는 명창가문에서 태어난 피를 토한 한 소리꾼의 이야기가 전한다. 3대 명창 가문은 바로 명창 김창룡의 가문이다.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는 ‘조선의 소리는 김문에서 되다시피 했다’고 적고 있다.

김문은 바로 중고제의 명창이자 판소리 진양조를 창시한 김성옥으로부터, 무숙이 타령으로 유명한 그의 아들 김정근. 그리고 정근의 아들인 김창룡으로 이어지는 3대 명창집안을 말한다. 이 3대 명창 집안에서 이름을 떨치지 못하고 쓸쓸히 서천 판교(너더리)에서일생을 마친 비운의 명창이 있다. 김창진 명창이 바로 그이다.

한 명창이 10년간이나 득음을 위해 피를 토하는 독공을 한 산신각

명창의 수행고수 노릇을 하던 김창진

김창룡의 아버지인 김정근은 장항 빗금내로 두 아들을 데리고 들어왔다. 그곳에서 창룡에게는 소리를, 창진에게는 북을 가르쳤다고 한다. 예전에 명창들은 수행고수라 하여 자신의 소리를 전문으로 장단을 맞추는 고수와 동행을 했다. 그러나 그 대접은 판이했다. 명창은 대우를 받지만, 고수는 밥을 먹을 때조차 댓돌 아래서 먹었다는 것이다.

형의 뒤를 따라다니면서 수행고수 노릇을 하던 김창진. 그는 고수의 한을 풀기 위해 부여 무량사로 들어갔다. 그곳 산신각에서 10년간이라는 긴 세월을 소리공부에 전념하였다. 형 창진의 수행고수였던 김창진은 자연스럽게 당시 5명창의 소리반주를 하는 일이 잦다보니 5명창의 특징을 잘 알고 있었기에, 그들의 장점만 찾아내 자신만의 독특한 소리를 만들었을 것이다.

당시 형인 김창룡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같은 서천 출신 명창 이동백과 쌍벽을 이루던 김창룡. 7세 때부터 아버지인 김정근에게서 소리공부를 시작해, 10살이 되던 해에는 이날치에게서 1년간 공부를 한다. 이날치는 진주 촉석루에 올라 새타령을 할 때, 새가 어깨에 날아와 앉을 만큼 뛰어난 명창이다. 근세 5명창 중 한사람인 김창룡은 수많은 일화를 남긴 명창이다. 당시 관서지방에서는 창룡의 이름이 없으면 극장 대관을 해주지 않을 정도였다고 하니, 그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비운의 명창 김창진. 마지막 제자 박동진 명창에게 소리 전수를 하고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인터넷 검색자료)

피를 토하는 독공 10년으로 일군 득음

부여 무량사 산신각에서 10년간 독공으로 득음을 이룬 김창진 명창. 10년을 사는 동안 입고 있는 옷이 다 떨어져, 거적을 뒤집어쓰고 소리를 했다고 한다. 밑이 다 드러날 것만 같은 그런 꼴이 안타까워 무량사의 주지스님이 옷을 한 벌 주었는데, 그 옷을 입으니 사문 밖으로 나가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그랬을 것이다. 당시에는 소리만 잘해도 어딜 가나 대우를 받던 때였으니. 그런 마음이 들자 옷을 벗어버리고 다시 거적을 쓰고 소리에만 전념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던가. 스스로 독공으로 득음을 한 김창진 명창은 서울로 올라와 소리판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명창으로 인정을 받았다고 한다. 소리꾼의 세계는 비정한 것인지. 형에게서 조차 시기를 당한 김창진은 쓸쓸히 서천 너더리로 낙향을 하였다. 일설에는 이동백의 여인을 빼앗아가 피신을 했다고도 한다.

10년 피를 토하는 독공으로 얻어낸 득음. 그러나 너더리로 내려 온 김창진 명창은 그 아픔을 아편으로 이겨보려 하였고, 당시 소리를 하고 싶어 찾아 온 박동진 명창을 소리제자로 만나게 된다. 심청가를 박동진 명창에게 전수를 한 김창진 명창은 그렇게 쓸쓸히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한편의 드라마와도 같은 김창진 명창의 일생은 제자 박동진 명창으로부터 세상에 전해졌다. 무량사 한편에 자리 잡은 산신각. 그런 깊은 사연이 있다는 것을 알리 없는 무심한 사람들의 발길만이 거쳐 간다.(이 이야기는 스승이신 고 박동진 명창으로부터 전해진 이야기입니다)

 

진천군 지역을 답사하다가 답사하는 중에, 길가에 서 있는 아주 작은 전각이 하나 눈에 띤다. 앞에는 오래되어 바란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곁에 서 있는 소나무 몇 그루가 그래도 이 전각이 역사적인 것임을 알려주고 있다. 무슨 전각일까? 궁금한 것도 있으려니와, 이런 길가에 서 있는 전각에 우리가 모를 슬픔이라도 있을까보아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775-1에 해당하는 작은 전각. 앞으로는 사석삼거리라는 이정표가 서 있다. 우측으로는 청주와 오창으로 향하는 17번 도로이고, 좌측으로는 진천읍과 진천IC로 나가는 21번 도로이다. 전각 앞으로 가니 ‘일문사충(一門四忠)’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말 그대로 한 집에서 네 명의 충신을 배출했다는 뜻이다.



쇠스랑충신의 충혼을 배우다


사각형으로 마련한 전각에는 일문사충이란 현판이 걸려있고, 그 안에는 충신들의 정려가 걸려있다. 위와 아래로 두 개의 정려에 걸린 4명은 바로 이 지역에서 충혼을 불태운 분들이다. 조선조 영조 4년인 1728년에 이인좌가 난을 일으켰다. 이들은 청주와 진천을 함락시키고, 이지경이란 자가 자칭 진천현감이 되어 백성들을 괴롭혔다.


이때 사석리에 거주하던 김천주는 이들의 횡포를 참지 못하고, 동생 천장과 아들 성추, 그리고 조카 성옥 등이 마음을 합해, 이인좌의 무리들에게 대항할 것을 결심한다. 그리고 동지들을 규합하여 무기도 없이 이인좌의 무리들과 혈전을 벌였다. 맨손으로 싸울 수는 없는 일이라, 쇠스랑과 괭이 등으로 무장을 하고 진천을 탈환하기로 했다.





이인좌는 남인의 명문출신이다. 1694년 갑술환국 이후 남인들이 정계에서 소외된 것을 불만을 삼은 이인좌는 남인명문가들의 후광을 업고, 영조를 폐하고 밀풍군 탄을 추대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1728년 3월 15일 이인좌는 스스로 대원수라 칭하고 반란을 일으켜 청주성을 함락하였다. 그리고 목천, 청안, 진천을 거쳐 안성에 이르러 도순문사 오명항이 지휘하는 관군에게 패하였다.


이 와중에 진천에서 이지경이란 자가 스스로 현감이라 칭하고 백성들을 괴롭히자, 동생과 아들, 숙질과 힘을 합하여 반란군을 섬멸하자고 뜻을 모은 것이다. 쇠스랑과 괭이 등으로 무장을 한 이들은 진천을 탈환하기 위해 혈전을 벌였으나, 중과부족으로 패배하여 모두 전사를 하였다.


네 분의 충혼 앞에 머리를 숙이다.


정려에는 위편 우측에는 <충신 가선대부 김천주 지려>라 쓰고, 그 옆으로는 <충신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김천장 지려>라고 적혀있다. 형제가 나란히 정려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뒤 늦게 이들의 충심을 알게 된 나라에서 정려를 내리고 향제케 하였다. 그 뒤 고종 22년인 1885년에 아들 성추와 조카 성옥도 정려를 내려 함께 병정케 하였다.





밑의 정려에는 우측에 충신 김성추를, 좌측에는 김성옥을 배향하였다. 일문에서 네 명의 충신이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것을 알려주는 작은 전각이다. 이 전각은 안내판에 적혀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문화재 지정은 되지 않은 듯하다. 하지만 세상 모든 것이 어디 문화재로 등록이 되어야만 소중한 것일까? 이 네 분의 나라사랑이야말로 우리가 본받아야 할 마음이란 생각이다.


길가에 서 있는 외로운 작은 전각하나. 쇠스랑과 괭이를 들고 무장을 한 반군들과 혈전을 벌이다가 장렬히 죽음을 당한 이분들의 그 충정이야말로, 지금 이 시대에 새롭게 조명을 해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이 땅 한 귀퉁이 한 뼘이라도, 이런 충혼들의 뜨거운 피가 서려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