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성주사지. 딴 곳의 사지보다 석탑이 유별나게 많은 절터이다. 이곳에 보물로 지정된 금당터 앞 오층석탑 외에도, 금당터 뒤편으로 나란히 3기의 석탑이 서 있다. 이곳에서 조성된 탑이 아닌 딴 곳에서 옮겨온 이 탑들은, 동 삼층석탑, 중앙 삼층석탑, 그리고 서 삼층석탑이다.

 

보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은 성주사지에서, 금당터로 보이는 곳의 뒤쪽으로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을 말한다. 성주사는 처음에는 백제 때 세워졌다가 후에 낭혜화상에 의해 번창이 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그 배치구조가 특이하며 탑 외에도 석비, 귀부, 석축, 초석 등 많은 석조유물이 남아 있는 곳이다.

 

탑에 웬 구멍이 이렇게 많을까?

 

서 삼층석탑은 기존의 석탑과는 다르다. 물론 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2단으로 되어 있으며, 기단 맨 위부분에는 1층 탑의 몸돌인 탑신을 괴기 위한 별도의 받침돌을 두었다. 이는 통일신라에서 이어지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3층으로 조성한 탑신의 1층 몸돌 남쪽 면에는 짐승얼굴모양의 고리 1쌍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네 귀퉁이는 경쾌하게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탑의 머리장식인 싱륜부는 사라지고 남아 있지 않지만, 장식을 받쳐주던 네모난 받침돌인 노반이 놓여 있다. 이 탑은 조형미가 뛰어나며, 상하 비율이 잘 맞아 균형미가 돋보인다.

 

 

그런데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에는 많은 구멍들이 보인다. 위층 기단의 옥개석과 삼층석탑의 머릿돌인 옥개석까지 작은 구멍이 여기저기 뚫려있다. 사면으로 돌아가면서 옥개석에 뚫린 구멍은 양측으로 아래위로 3개씩을 뚫어놓았다. 옥개석 한 면에 12개씩의 구멍을 뚫은 셈이다.

 

금동판과 장식품으로 치장을 한 화려한 석탑

 

이 서 삼층석탑의 옥개석에 뚫어 놓은 작은 구멍들은 절에서 의식을 행할 때, 금동판이나 장식 등을 매달아 두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옥개석에 가득 달린 금동판이나 장식품들이 바람에 날려 소리를 내거나, 바람에 날리는 모습들은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 화려함으로 친다면 세상 그 어느 탑이 이 탑을 따를 수가 있을 것인가?

 

 

이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높이 443cm로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석탑과는 차이가 난다. 면석과 탑신석인 몸돌에는 중앙에 탱주와 양편에 우주를 새겼으며, 화강암으로 조성한 석탑이다. 기단석과 몸돌의 비례, 층급받침이 4단으로 조성한 것, 옥개석 처마가 날렵하게 위로 솟아오른 점 등을 보면 전형적인 9세기의 신라석탑이다.

 

사리공을 도굴 당한 석탑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은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그 안에는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언제인지는 몰라도 사리공 안에 있는 복장물이 모두 도굴을 당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재 복장물들이 도굴을 당해 사라졌다.

 

문화재보호법이 솜방망이로 먼지 터는 격밖에는 되지 않는 대한민국. 문화재란 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 문화재를 훼손할 시에는 엄한 처벌로 다시는 이러한 폄훼 등이 없어야 할 것이란 생각이다. 종교가 다르다고, 혹은 그 것을 훔쳐다가 돈을 만들기 위한 이런 몰염치한 인간들은 단죄를 해야 한다.

 

성주사지 금당 터 후면에 위치한 다른 두 탑에 비해, 너비가 넓어 장중한 느낌이 드는 서 삼층석탑. 1130일 눈이 내린 성주사지 인근에는, 어디를 둘러보아도 그 흔한 CCTV 한 대 눈에 띠는 것이 없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