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는 광교산 89개소 암자의 본사 노릇을 하던 절이 있었다. 바로 진각국사(1307~1376)가 광교산에 창건한 창성사라는 절이다. 이 절을 건립하고 난 뒤 수많은 사람들이 광교산으로 모여들었다. 광교산(光敎山)고려야사에 의하면 원래 이름이 광옥산이었는데,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광교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928년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정벌하고 돌아가는 길에, 광옥산 행궁에 머물면서 군사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있었는데, 이 산에서 광채가 하늘로 솟아오르는 광경을 보았다고. 이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 하여 산 이름을 친히 광교(光敎)’라고 하였으며, 그 뒤 이 산에 수많은 사암(寺庵)들이 들어서게 되었다는 것이다.

 

 

비구름에 쌓인 광교산 청련암

 

태풍이 올라온다고 하더니 아침부터 빗방울이 떨어진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걸망 하나 둘러메고 길을 떠나기로 했던 날이다. 하지만 아침부터 뿌리는 빗방울이 영 길을 떠나기에는 적당치가 않은 듯하다. 그렇다고 무료하게 맥을 놓고 있자니 그도 답답하다. 산을 오르자니 길이 많이 젖어 잇을 것 같아 청련암으로 향했다.

 

광교산 청련암. 대한불교 조계종에 속한 청련암은 도심 속에 자리하고 있으면서도, 산 중에 들어선 기분을 느낄 수 있는 절이다. 진각국사가 광교산에 창성사를 창건하면서 청련암은 창성사의 말사였다고 한다, 그러한 청련암이 퇴락하여 빈 터만 남아있던 것을 비구니 창건주인 청련스님이 정조 1년인 1777년 절을 짓고 청련암으로 사명을 붙였다.

 

 

영친왕 이은을 잉태하게 만든 절 청련암

 

청련암이 유명한 것은 영친왕의 생모인 귀비 엄씨가 이곳 청련암 봉향각 건물에서 기거하면서 칠성각에 기도하여 영친왕 이은을 잉태한 곳이기 때문이다. 영친왕 이은은 조선의 마지막 황테자로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순종과는 이복형제간이다. 그러한 인연으로 인해 청련암을 새롭게 중창하였다고 전한다.

 

6일 아침 일찌감치 청련암을 찾았다.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날이 잔뜩 흐리다. 일주문을 들어서 환희루 계단을 오른다. 환희루는 범종각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이다. 대웅전 앞에는 우란분절에 사용할 영가 등이 걸려있다. 두 손을 모아 합장을 한 후 종무소를 찾아들었다. 절에 모셔진 탱화를 촬영하고 싶어서였다.

 

 

주지스님께 말씀을 드려본다고 하더니 허락을 하지 않으신다고 한다. 실내는 촬영을 금한다고 하여 전각의 외부만 촬영을 하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경내를 찬찬히 돌아본다.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474-1 광교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사찰이지만, 주변으로는 아파트와 주거 밀집 지역이다.

 

비안개에 쌓인 청련암을 돌아보다

 

광교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청년암은 경내에 숨죽인 고요함이 발소리조차 조심하게 만든다. 귀비 엄씨가 아들을 얻기 위해 기도를 드렸다는 칠성각 앞으로 다가선다. 손을 모아 합장을 한 후 생각을 해본다. 이곳 청련암도 어찌 보면 역사의 아픈 현장인지도 모르겠다.

 

 

나라가 더 오래 지속이 되었다면 영친왕 이은이 왕위에 올랐을 태고, 그렇다면 청련암을 지금보다 몇 배 더 큰 사찰로 중창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그런 생각을 하다가 부질없는 생각을 했다고 고개를 젓는다. 그저 역사란 지금 이대로 떡 그만큼만 만드는 것인가도 모르겠다는 생각 때문이다.

 

상광교에서 올랐던 창성사지가 그랬고, 광교산 여기저기에 곳곳에 찾아볼 수 있는 절터들이 그랬다. 한세상을 풍미하던 많은 선사들이 기거를 했지만, 그들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많은 암자들. 세상이란 내로랄 것도 없고, 집착을 할 것도 없는 곳이라고 했던가? 내일은 광교산 창성사지를 다시 올라보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