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하나가 고을의 운세를 바꾼다'고 하면 그런 허황된 말이 어디 있느냐고 웃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전라북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에 있는 정자 군자정은, 고을의 운세를 바꾸는 정자로 알려져 있다.

 


  
군자정의 현판

 

현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3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군자정은, 고부면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주변이 집들로 싸여 있어, '이 정자가 무슨 고을의 운세를 바꿀만한 대단한 정자일까?'라는 의문을 갖게 만든다. 그저 평범한 마을 안에 있는 정자의 모습일 뿐이다.

 

이 고부정은 주변을 둘러 파서 연못 안에 작은 섬을 만들고, 그 안에 자리하고 있다. 넓지 않은 정자마당에는 각종 비가 즐비하게 서 있는데, 그 중 눈길을 끄는 것들은 반 토막이 된 비석들이다.

 


  
군자정은 주변을 파서 연못 가운데 자리한다. 돌 다리를 건너야 정자로 들어갈 수가 있다.


  
군자정 주변에는 토막이 난 비들이 즐비하게 서 있다

 

이 군자정의 원래 이름은 '연정(蓮亭)'이었다고 한다. 정자의 주변이 연못이고 온통 연꽃들이 피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어느 땐가 군자정(君子亭)이라고 바뀌었는데, 연꽃이 '꽃 중에 군자'라고 많은 사람들이 칭송을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군자정이 왜 마을의 운세를 바꾼다고 전해지는 것일까?

 

이 군자정이 언제 지어졌는지는 확실치가 않다. 다만 조선조 현종 14년인 1673년에 고부군수 이후선이 이 정자가 황폐해져 인재가 나지 않는다고 하자, 연못을 파내고 정자를 새로 고쳐지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정자는 그 이전부터 있어 왔고, 황폐가 되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400년 이상이 된 유서 깊은 정자다. 연못을 정비하고 난 뒤에 홍백색 연꽃이 자생 하게 되고, 그때부터 과거에 급제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 뒤 두 차례 중건을 해서 오늘에 이르는 이 군자정이다.

 


  
군자정은 가운데 방을 두고, 우편은 마루 위로 누각식의 높은 마루를 만들어 놓았다


  
방의 좌측 마루도 조금 높게 만들어 놓았다. 세심한 배려를 한 정자이다.

 

지금은 주변 연못이 그저 정자를 겨우 감싸고 있을 정도다. 아담하게 지어진 군자정은 가운데 방을 두고 있다. 우편은 마루 위로 누각식의 높은 마루를 만들어 놓았다. 뒤편에는 여닫이문을 달아 주변 경치를 볼 수 있게 하였다. 높은 곳에서 연못을 둘러보기 위해서인가 보다. 좌측에는 마루보다 조금 높게 단을 만들어 역시 문을 달았다. 그저 평범한 듯한 정자지만, 하나하나 세심한 배려를 한 정자다.

 


  
조선조 현종 14년인 1673년에 고부군수 이후선이 이 정자가 황폐해져 인재가 나지 않는다고 하자, 연못을 파내고 정자를 새로 고쳐지었다


  
전면을 제외한 삼면을 문으로 처리를 해 주변 경관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를 둘러보다가 혼자 피식 웃는다. '고부마을에서 요즈음은 장원급제를 하는 사람들이 나오지를 않겠구나'하는 객쩍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군자정 한편 처마 밑에 커다란 스피커가 달려 있다. 아마 마을에서 무엇을 알리기 위해 사용을 하는 스피커인 것 같다. 저 스피커가 군자정에 달려 시끄러우니, 장원급제자가 나오지 않을 거란 생각이다. 혼자서 수많은 곳을 답사를 하면서 생긴 이상한 버릇이다. 혼자 묻고 혼자 대답하는 이런 버릇들이, 십년 넘게 답사를 다니면서 어느 새 버릇으로 굳어버렸다.

 


  
인재를 배출헤 마을의 운세를 바꾼다는 군자정

 

한때는 마을의 운세를 뒤바꿀만한 정자로 유명세를 탔던 군자정. 이제는 그 화려하게 피었던 연꽃의 잔치도 줄었고, 많은 인재를 배출하던 옛 기운도 사그라진 듯하다. 그러나 저 조졸하기만 한 군자정이, 언제 또 다른 인재를 배출할지 기대를 해본다. 이런저런 사유를 갖고 있는 것이 정자이기 때문에.

경북 안동시 법흥동에 가면 보물 제182호인 임청각이 있다. 임청각은 중종 14년인 1519년에 형조좌랑을 지냈던 고성 이씨인 ‘이명’이 지은 고택이다. 원래는 99칸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있다. 70여 칸이 남은 현재의 집안을 둘러보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집이다. 과거에는 과연 어떠했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가 중 하나인 임청각은, 독립 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1858 ~ 1932)의 생가이다. 석주 이상룡은 아들과 손자가 모두 독립운동을 했던 집안으로, 삼대가 독립운동을 한 유공자다.

 

 

주거공간이 구분된 임청각

 

임청각은 흔하지 않게 보물로 지정이 된 집이다. 우리나라에 고택 등이 보물로 지정이 된 경우는 경주 안강읍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 등 몇 채에 불과하다. 그만큼 임청각은 독특한 구성과, 오랜 세월 원형을 잘 보존한 고택임을 알 수 있다.

 

이 임청각은 남녀의 주거공간이 매우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건물의 위계질서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 별당형식인 임청각의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은 사랑채로, <정(丁)>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이다.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고 하는 군자정은, 임청각의 한편에 자리를 잡고 있다.

 

 

 

좁은 지하통로를 통해 다가선 군자정

 

지금은 앞으로 철로가 지나고 있어서, 좁은 지하통로로 들어가야 하는 군자정.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가면 바로 정자로 오를 수 있는 돌계단이 있어, 나그네들이 들어오기에 편하게 만들었다. 안으로 통하는 작은 문이 또 하나가 나 있어,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기에 불편함이 없이 만들어 놓았다. 문은 나무로 짜서 양편으로 열리게 만들었으며,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다.

 

일각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계단이다.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쌓아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한편은 담으로 둘러 온돌을 놓았다. 그리고 우측으로는 장초석을 이용해 높임 누마루를 놓아 운치를 더했다. 높임마루 앞으로는 작은 연못을 두어, 주변경관을 아름답게 꾸몄다. 임청각의 주인이 남다른 건축미에 대한 해박한 식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자나 누각은 대개 하나의 개별 형태로 떨어져 지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는 사랑채로 사용하는 누정은 사랑채 한편을 돌출시켜, 누정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가독의 경우이다. 하지만 임청각의 군자정은 집 안에 사랑채를 정자를 지어, 사람들과 교류를 통하게 하였다는 것이 의미가 크다.

 

요즈음 사람들 군자정에서 소통의 의미를 배웠으면

 

요즈음 어느 계통에 사는 사람들이나 서로 소통이 안 되는 바람에 목소리들을 높이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이 군자정의 지어진 형태를 보면서 주인의 마음을 읽어본다. 밖에서 들어오는 과객들조차 마음 편하게 오를 수 있도록 꾸며 놓은 군자정. 지금은 철길로 인해 시야가 막혀있지만, 그 예전에는 앞으로 흐르는 도도한 물줄기를 바라다보면서 시흥에 취했을 것 같다.

 

 

수많은 정자들이 서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군자정은 세상 속에서 스스로 군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인의 여유 있는 마음을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더 멋진 정자라는 생각이다. 오늘 군자정을 기억하면서, 세상을 사는 지혜 한 자락을 배운다.

비가 오는 날은 답사를 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비가 오는 날이라고 해서 답사를 떠났는데, 그냥 쉬고 있을 수는 없다. 우비를 하나 구해 입었더니 온 몸에 땀이 흐른다. 바람이라고는 들어올 수 없는 비닐이고 보니, 온몸이 후끈거리고 금방이라도 몸에서 쉰내가 날 듯하다.

함양군은 정자가 많은 고장이다. 정자뿐 아니라 수많은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다. 하루에 몇 곳을 돌아본다는 것은 쉽지가 않지만, 이곳을 둘러본 블로거 ‘바람 흔적 김천령’님이 동행을 해주는 바람에, 짧은 시간에 여러 곳을 돌아볼 수 있었다. 비는 내리고 전날 과음을 한 탓에 몸은 무겁지만, 그래도 쉴 틈 없이 돌아다녔다.


일두 정여창을 생각해 지은 군자정

군자정, 군자가 머무르던 곳이라 해서 붙여진 정자 이름이다. 군자란 일두 정여창을 말하는 것이다. 정여창(1450~1504)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요 학자이다. 1498년 무오사화에 연루가 되어 경성으로 유배되어 죽었으며, 1504년 사후에 갑자사회가 일어나자 부관참시를 당했다. 그러나 광해군 10년인 1610년에는 조광조, 이언적, 이황 등과 함께 5현의 한 사람으로 문묘에 배향되었다.

군자정은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에 소재한 경남 문화재자료 제380호이다. 이 정자는 정여창의 처가동네로, 이곳에 들려 유영을 할 때는 군자정이 있는 영귀대를 자주 찾았다고 전한다. 정선 전씨 입향조인 화림재 전시서의 5세손인 전세걸이, 일두 정여창을 기념하기 위해 1802년 군자정을 지었다고 하니 벌써 200년이 지난 정자이다.


자연암반을 그대로 주추로 삼아 정자를 지었다.

자연암반을 그대로 이용한 군자정

군자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정자이다. 아래는 자연 암반위에 그대로 기둥을 놓았다. 주추를 사용하지 않고 암반을 주추로 삼은 것이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군자정은 아래를 조금 높은 기둥을 세우고, 짧은 계단을 이용해 정자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로 다가가니 앞으로 흐르는 내는, 비가 온 뒤라 물이 불어 소리를 내면서 흐른다. 주변은 온통 바위로 되어 있는데, 이런 아름다운 풍광을 즐겼던 것 같다.

정자 안에는 여기저기 작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나 많은 시인묵객들이 거쳐 갔을 것이다. 정자는 난간을 둘러놓았으며, 계단은 오래도록 보수를 하지 않은 듯 아래쪽이 다 썩어버렸다. 기둥에는 음식물을 반입하지 말라고 적혔는데, 주변 음식점들이 이곳에서 손님을 받는다고 귀띔을 해 주는 사람이 있다.



정자 안에는 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군자정은 아름답다.

문화재주변에 늘어놓은 술병 불쾌해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군자정. 가까이 다가가보니 참 가관이랄 밖에. 주변에 음식점이 있는데 이곳에서 손님이라도 받았는지, 재떨이로 썼을 그릇들이 정자 밑에 보인다. 한편에는 바위에 빈 술병을 늘어놓았다. 여기가 아니라고 해도 술병을 모아놓을 공간은 얼마든지 있는데, 하필이면 문화재 옆에다가 놓은 것일까?


군자정 옆에 빈 술병들이 늘어서 있어 볼썽사납다. 계단도 보수가 시급한 편이다.

문화재는 모든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보존해야 한다. 꼭 담당을 하는 공무원들만이 보존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저렇게 많은 술병들이 늘어서 있다면, 어제 오늘 놓아 둔 것이 아닐 텐데 아무도 관리를 하고 있지 않은 것일까? 하루 빨리 이런 볼썽사나운 모습이 사라졌으면 한다. 말로만 하는 ‘문화대국’이나 ‘문화국민’이란 소리가 이젠 듣기조차 역겹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