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36호인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造如來坐像)’,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66-2에 소재하고 있다. 신라시대의 보리사 터로 추정되는 곳에 남아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전체 높이 4.36m, 불상 높이 2.44m의 석불좌상으로, 현재 경주 남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불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뒤편에 조성한 광배의 뒷면에도 선각으로 된 약사여래불을 조성했다. 광배 뒤편에 새긴 약사여래불이 처음부터 조성을 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이렇게 앞으로는 석조여래좌상을 조각하고 뒤편에도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보기 드문 예이다.

 

마귀를 쫓는 항마촉진인의 내력

 

이 석조여래좌상의 머리칼은 작은 소라 모양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높게 솟아 있다. 얼굴은 둥근 편인데 은은한 웃음을 띤 표정이 사람의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나 힘없이 축 늘어진 느낌이며, 군데군데 평행한 옷 주름을 새겨 넣었다.

 

결기부좌를 한 형태로 좌정한 석조여래좌상의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로 향하고 왼손은 배 부분에 대고 있다. 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인데 다소 연약해 보인다. 옛날 석가모니가 성불하기 전에 정각산의 선정굴에서 내려와, 보리수 아래 앉아 결가부좌하고 다시 선정에 들어갔다.

 

 

선정에 든 석가모니를 본 제6천의 마왕 파순은, 만약 석가모니가 성불하여 부처가 된다면 일체의 중생이 구제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석가모니가 성불을 하고나면 마왕의 위력이 중생들에게 못 미친다고 생각을 해, 염욕, 능열인, 가애락이라는 3인의 미녀를 보내어 석가모니를 유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번번이 성공하지 못하자 마계의 모든 군사를 동원했다. 마왕 파순은 칼을 석가모니에게 겨누면서 "비구야, 나무 아래 앉아서 무엇을 구하는가. 너는 신성한 금강보좌에 앉을 자격이 없는 자이다." 라고 소리쳤다. 이 말을 들은 석가모니는 "천상천하에 이 보좌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 한 사람뿐이다. 지신(地神)이여 이를 증명하라." 고 하면서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향했다.

 

그러자 지신이 땅에서 튀어나와 마왕 파순을 물리치며 석가모니의 말을 증명하였는데, 이 때의 수인이 바로 항마촉지인이다. 항마촉지인은 항마인, 촉지인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이 수인은 오직 석가모니만이 취하는 수인이다.

 

마귀는 쫓고 중생은 고치고

 

불상의 뒤편에 조성한 광배는 장식적이다. 광배에는 작은 부처상인 화불과 보상화, 넝쿨무늬 등을 화려하게 조각을 하였다. 광배 뒤편에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밀양 무봉사와, 남원 만복사지 석불입상 등에서 보이는 특이한 경우이다.

 

 

경주 남산 미륵곡 보리사 터에 소재한 석조여래좌상. 전면은 항마촉지인을 한 여래좌상이 세상의 악한 기운을 쫓고, 뒤편에는 약사여래불을 조성해 중생을 질병에서 구제하고 있다. 이렇게 앞뒤로 조성한 석가여래와 약사여래로 인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편해지기를 바란 것일까?

 

내년 봄, 꽃이 피는 계절이 돌아오면 날을 잡아 경주일대를 한 번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는다. 남산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수많은 부처님들을 만나보기 위해서.

합천 해인사, 가야산에 있는 삼보사찰 중 하나인 법보종찰인 해인사에는 볼 것이 참 많다. 물론 내가 볼 것이라고 표현을 하는 것은 문화재를 말한다. 대적광전 앞에 있는 석등과 석탑을 열심히 찍고 있는데, 대적광전 안에서 들리는 염불소리에 정신을 빼앗기고 만다. 강원에 있는 학인승 등 백여 명이 함께 하고 있는 염불소리는 듣는 것만으로도 장관이다.

그런데 그 예불을 하는 동안 법고를 치는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보니 사시예불 후미에 종각에 있는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또 하나의 장관을 놓친 것이다. 사시예불의 소리 공양을 올린다는 사물은, 범종과 법고, 그리고 목어와 운판을 울려 소리를 내는 것이다.


벼르고 갔는데, 소리공양을 놓치다니

법고 소리가 난다는 것은 이미 목어와 운판의 소리가 끝났음을 의미한다. 허겁지겁 사진을 찍고 종각 쪽으로 가니, 사람들이 모여 있다. 소리공양을 보기 위함이다. 이미 법고도 끝날 때가 되었다. 사실은 이것을 찍으려고 벼르고 있었는데, 정발 필요한 것을 놓친 것이다. 그나마 아직 학인승 한 분이, 법고 앞에 발을 나란히 딛고 한 점 흐트러짐이 없는 자세로 북을 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으로 얼른 다가가 카메라에 담았다. 절을 들어서면 그 입구에 종루나 범종루, 범종각 이라 쓴 누각이 있다. 어느 곳에는 종만 달린 곳이 있는가 하면, 어느 곳에는 사물을 다 달아놓은 곳도 있다. 물론 해인사에는 사물이 다 걸려있다. 그런데 그 사물공양을 하는 것을 놓쳐버린 것이다.



사물의 의미는 하늘과 땅, 물을 상징해

사물을 울려 공양을 하는 것은, 그 소리를 통해 세상의 모든 생명을 구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물을 울림으로써 잠든 영혼을 깨우치고자 하는 뜻을 갖고 있다.

범종을 울리는 것은 바로 부처님의 음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소리를 듣고 세상의 모든 생명이 깨우치기를 바라는 것이다. 아침에는 28번을, 저녁에는 33번을 울린다. 법고는 군중을 모으는 불구로 이용을 하던 것이다. 북소리가 울려 퍼지듯 땅에 사는 모든 생명들이 번뇌를 끊고, 해탈을 이루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법고를 치는 것은 북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 듯, 세상의 모든 중생들이 불법에 귀를 기울이기를 바라고 있다. 발을 팔자로 딛고 두 손에 잡은 채를 이용해 법고놀이를 하는 학인승의 뒷모습이 반듯해 보인다. 아마도 이렇게 반듯한 마음으로 학업에 정진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언제나 그 사물의 모든 것을 깨우치려나?

그나마 소리조차 놓친 목어와 운판은 물과 하늘에 사는 생명을 구제한다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 모양으로 조각한 것인데, 복판을 파내어 그곳에 채를 집어넣고 친다. 구름모양의 철로 만든 운판은 하늘에 사는 생명을 위하여 치는 것이다. 목어는 물고기가 눈을 감지 않듯, 언제나 잠이 들지 않고(물론 정신을 말한다), 용명정진하라는 뜻도 갖고 있다.

아 신라의 밤이여
불국사의 종소리 들리어 온다
지나가는 나그네여 결음을 멈추어라


현인 선생의 노래이다. 이 노래를 떠올리게 하는 것이 바로 사찰의 종소리이다. 그 은은함에 빠져들면 세상 모든 고뇌가 한 순간에 사라지는 것만 같다. 그리고 더 이상 걸음을 옮길 수가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소리공양을 들을 수는 없었지만, 그 마지막 부분만으로도 귀가 깨끗해진 듯하다. 세상 모든 생명이 다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소리공양을 들었으니. 하지만 또 다시 돌아서면 세상의 소리에 젖고 말 것을. 언제나 깨끗한 마음을 가질 수 있으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