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성종은 제6대 군주로 재위기간은 981~997년이다. 벌써 천년을 훌쩍 넘긴 세월이다.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에 소재한 청안초등학교 교정에는 천살이 넘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천연기념물 제165호이다.

 

은행나무는 생명이 길어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린다. 병충해가 없으며 잎을 피기 시작하면서부터 가을에 단풍이 들 때까지, 변화하는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로수 등으로도 많이 심는다. 우리나라에는 용문사 은행나무,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은행나무들이 있다.

 

 

보는 것만으로도 감동

 

잎이 없어도 서있는 자체만으로도 압권인, 천살을 넘긴 청안초등학교 교정 안 은행나무. 나무의 높이는 17m 정도에, 가슴 높이의 둘레가 7.4m이다. 동서로 뻗은 가지는 16.5m, 남북으로도 17.5m여나 된다. 이렇게 거대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학교 교정 안에 우뚝 서 있다.

 

"아저씨 은행나무 찍으러 오셨어요?"

"그래."

"그거 왜 찍어요?“

"응, 신문에 내려고."

"그럼 교과서에도 실려요?"

"아니. 신문에만 실려."

"교과서에 실려야 하는데요."

"왜 그런 생각을 하지."

"천년을 넘게 살았잖아요. 이렇게 큰 나무는 교과서에 실어주어야 한데요."

 

 

 

사진을 찍고 있는데 아이들이 쫒아와 하는 이야기다. 천연기념물이 교정에 서 있다는 것에 대해, 나름대로 자긍심을 갖고 있는 듯했다. 어린 마음에 천년 넘게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은행나무가, 대단하게 보였을 것이다. 비록 잎을 다 떨어뜨리고 있기는 하나, 천년 세월을 살아 온 은행나무답게 당당하다.

 

성주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의 상징

 

고려 성종 때 이곳의 성주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면서 성내에 연못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여, '청당(淸塘)'이라는 못을 파고 그 주변에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 나무들 중에 하나가 살아남은 것이, 현재 청안초등학교 교정에 있는 은행나무라는 것이다.

 

괴산군은 고려 성종 14년인 995년 지방제도 정비 후에, 충주, 청주 등 13주 45현으로 구성된 중원도(中原道)에 속했다. 이후 현종 때 괴산지역은 충주목의 속군인 괴주군과 청주목의 속현인 청천현, 청안현, 청당현으로 구성이 되었는데, 이 청당현이 연못이 있는 이 지역을 포함했을 것으로 보인다.

 

 

성주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는 은행나무는, 지금도 마을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돌보고 있다고 한다. 더욱 학교 교정 안에 서 있는 이 은행나무는, 아이들에게도 큰 자랑거리이다.

 

귀 달린 흰 뱀이 사는 은행나무

 

청안 읍내리 은행나무 속에는 귀 달린 흰 뱀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나무를 해하는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러한 전설이 전해지기 때문에, 두려운 존재일 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성주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알 수 있는 나무이기에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것 같다.

 

 

나무를 돌아보니 여기저기 수술을 한 자욱이 보인다. 그런데 이 은행나무는 밑동서부터 잔 가지들이 무수히 솟아나 있다. 그리고 중간에도 잔가지들이 솟아나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고려 성종 때 이 나무를 심은 성주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저 나무가 성주라면, 그 숱하게 자라나고 있는 가지들은 백성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천년 넘은 세월을 그렇게 마을 주민들에게 상징처럼 살아온 은행나무. 2월 찬 날에 아직 밑에는 눈이 녹지 않은 채로 있지만, 그 자태만큼이나 당당하다. 앞으로 또 천년을 저리 살아간다면, 그 때의 모습은 어떻게 변할까? 잎이 무성한 날,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충북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괴강이 흐르는 곳에 바위 암벽이 솟아오른 곳이 있다. 조선 시대의 경승지인 제월대에는 조선조 선조 때의 유근이 충청도관찰사로 있을 때, 이곳의 아름다운 풍광을 보고 정자와 고산정사를 지었다. 선조 29년인 1596년에 만송정(萬松亭)이라는 정자를 지어, 광해군 때에는 이곳으로 낙향하여 은거를 하였다는 것.

숙종조에 편찬된 <괴산군읍지>에는 '孤山精舍 在君東八里 乙亥年 位火燒盡'이라고 적고 있다. 즉 '괴산군의 동쪽 8리에 있는 고산정사가 을해 년에 불로 인해 소실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후의 기록에 고산정사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점이나, 만송정이 불타 버렸다는 기록 등이 없는 것으로 보아, 만송정을 '고산정(孤山亭)'이라 고쳐 부른 것으로 보인다.



괴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고산정

고산정을 찾아 길을 나섰다.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괴산IC를 벗어나 괴산읍을 향해 가다가 보면 제월리가 나온다. 그곳서 괴강을 굽어보고 있는 고산정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가 않다. 고산정을 오르는 산 길 앞에는 주차장이 있고, 그 한편에 제월대의 내력을 적은 석비가 서 있다. 눈이 덮인 산길을 천천히 걸어 올라간다.

눈이 쌓인 계단을 올라 괴산정 가까이 가니, 2월의 찬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한다. 정자에 오르면 많은 현판들이 빼곡히 걸려있다.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어진 고산정은 사방을 개방하고 낮은 난간을 둘렀다. 기단위에 주추는 원형으로 다듬어 기둥을 받쳤는데, 툇돌 하나가 큼지막하게 놓여있다.



위에 오르니 이원이 썼다는 고산정이라는 현판과, 명나라 사신 주지번이 선조 39년인 1606년에 쓴 '湖山勝集'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강과 산이 뛰어나게 아름답다는 뜻이다. 한편에는 명나라 사신 웅화가 광해군 1년인 1609년에 쓴 '고산정사기'도 보인다.

400년 역사의 고산정의 주인이 되어보다

고산정에서 아래를 내려다본다. 밑을 흐르는 괴강이 아름답다. 봄철이 되면 저 물속을 다니며 올갱이를 잡는 아낙네들을 그려본다. 그 또한 아름다운 정경이 아닐까? 양편으로는 괴강이 보이고, 반대편으로는 참나무와 소나무들이 울창하다. 편액의 글씨를 보아도 이 고산정의 역사는 이미 400년이 지났다는 이야기다.




이곳에서 풍류를 즐겼을 많은 사람들. 편액과 기문을 쓴 사신 주지번과 웅화도, 그리고 이 정자를 지은 유근도 모두 이 경계의 주인이다. 그리고 그 후에 이곳을 찾아 든 많은 시인묵객들도 모두 주인이다. 지금 이 자리에 선 나 역시, 오늘은 이곳의 주인이다. 이런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어 좋다는 것은 인간 누구나가 느끼는 생각이 아닐는지. 오늘 난 고산정의 주인이 되어 말없이 흐르는 괴강을 내려다본다.

'이 곳의 참나무들이 참 이상해요'

한참을 괴강을 굽어보며 혼자 상상 속으로 빠져 절경을 느끼고 있는데, 답사에 동행을 한 아우 녀석이 흥을 깬다. 주변에 선 참나무들이 아상하다는 것이다. 무슨 소리냐고 물었더니, 고산정 주변에 있는 참나무들이 모두 구멍이 뚫려있단 이야기다. 그 말에 주변의 참나무들을 돌아보았다. 그런데 정말로 모든 나무들이 한 곳씩 깊게 파인 홈이 있다. 이것도 특별한 사유가 있지나 않을까?



아마 이 나무들이 여자들인가 보다. 이 제월대와 고산정의 뛰어난 경치에 반한 수많은 남정네들이 찾아왔으니, 그 남정네들을 사랑한 근동 여인들의 마음이 이리 되지나 않았을까? 괜한 말을 해놓고도 멋쩍어 키득거리고 웃는다.

주차장으로 내려와 괴강 쪽으로 발길을 돌린다. 낙엽 위에 쌓인 눈이 미끄럽다. 강 쪽으로 내려가 제월대를 바라보니, 위쪽 까마득하게 고산정이 보인다. 위에서 괴강을 내려다보아도 장관이요, 아래서 제월대를 바라보아도 장관이다. 그래서 이곳에 고산정을 짓고, 시심을 일깨운 것이 아닐까? 흰 눈이 쌓인 겨울 경치는 또 다른 정자의 풍취를 느끼게 만든다.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위치한 각연사의 주위로는 보배산, 칠보산 등이 둘러쌓고 있다. 각연사의 일주문에는 '보배산 각연사'라고 적혀있다. 신라 법흥왕 때인 515년에 유일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각연사는, 그 역사가 1500년이나 되는 고찰이다. 그만한 절이 이 곳 산중에 있다는 것이다. 도대체 각연사는 어떤 모습일까?

괴강삼거리에서 올갱이 해장국 한 그릇으로 점심을 때우고, 각연사로 행했다. 도로에서 각연사로 향해 마을길로 접어들자 좁은 도로가 이어진다. 눈은 치웠다고 하나, 여기저기 얼음이 얼어 미끄럽다, 거기다가 앞에서 차가 나오는 바람에 100여m를 후진을 해야만 했다.


절을 찾을 때도, 뒤로 할 때도 몇 번이고 후진을 해야 하는 길. 중간 중간 차가 비켜설 수 있도록 길을 내주면 좋으련만. 이 산중에 있는 고찰을 겨울에 가족들과 함께 찾는 사람들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자칫 초보운전이라도 되는 날은 그냥 울고 싶을 것이다.

까마귀와 연못에 얽힌 전설

각연사에는 전설이 전한다, 어느 절이나 그러하지만, 천년 넘는 고찰에는 그럴듯한 전설 한 가지는 전하기 마련이다. '각연사'라는 명칭을 붙인 것은 이러한 전설과 연결이 된다.


각연사 일주문과 경내에 있는 석물.좌대인 듯하다. 각연사의 역사를 알 수 있다


「유일대사가 절을 짓고자 지금의 칠성면 쌍곡리에 있는 절골 근처에 자리를 잡고, 절을 짓기 시작했다. 그런데 절을 짓고 있는 곳으로 까마귀 떼들이 날아들었다. 이 까마귀 떼는 절을 짓는 현장에 있는 나무토막과 대패 밥 등을 들고 어디론가 날아가고는 했다는 것이다. 유일대사는 기이한 까마귀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다가, 어느 날 까마귀 떼를 쫒아갔다. 그랬더니 현재 각연사의 자리에 연못이 있는데, 그 연못물 위에 나뭇가지와 대배 밥이 떨어져 있었다는 것이다. 유일대사가 연못 안을 들여다보니 석불이 있고, 그곳에서 광채가 일었다.

유일대사는 깨달음을 얻어 연못을 메우고, 그곳에 절을 지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절의 이름을 '각연(覺淵)'이라 하였단다. 지금 각연사의 비로전이 선 자리가 바로 그 연못이 있던 저리이고, 비로전 안에 모신 보물 제433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연못 속에 있던 석불이라는 것이다.」


대웅전과 돌계단. 장대석에서 각연사가 고찰임을 알아볼 수 있다


그런데 신라 제23대 법흥왕은 재위기간이 514년~540년이다. 이 석조비로나자불 좌상이 신라말기의 작품이라면 년대 차이가 많이 난다. 하지만 전설이란 전해지면서 조금씩 변화하는 것이니 무슨 상관이랴. 이 비로전과 각연사라는 절의 명칭이 그런 연유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설화 삼아 알 수 있다면, 그 또한 귀가 솔깃한 이야기 거리가 되지 않을는지.

뛰어난 경계에 자리한 각연사

각연사를 들어가는 길은 4km나 된다. 좁은 길이 계곡을 끼고, 숲이 우거진 길을 올라간다. 말은 오른다고 하지만, 평지나 다름없다. 걸어서가도 30 ~ 40분이면 도착을 할 수 있는 거리이다. 봄철에는 주변 산을 아름답게 수놓는 봄꽃의 향에 취해 걸어볼 만한 길이다. 아니, 이 길은 걸어야 각연사를 제대로 느낄 수가 있을 듯하다.


보물 비로자나불을 모신 비로전과 비로전의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덤벙주초


일주문을 지나 10여분을 걸어 경내로 들어선다. 중앙에 낮은 구릉을 뒤로하고 대웅전이 자리한다. 대웅전은 충북유형문화재 제126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정면 세 칸, 축면 두 칸의 다포식 맞배집이다.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 혹은, 고려 초의 통일대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현재의 대웅전은 조선 후기의 짜임새 있는 건물이다.

상량문에 의하면 그동안 각연사의 대웅전은 몇 차례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융경 년간(1567~1572), 순치 년간(1644~1661), 강희 년간(1662~1722)에 보수를 하였고, 영조 44년인 1768년에 중건을 하였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는 1979년에 보수를 하였다.

보물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비로전

각연사라는 명칭을 갖게 했다는 비로전. 전설에 의하면 이 비로전이 있는 곳이 연못이었다는 것이다. 비로전은 현재 충북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으로 지어진 이 비로전은, 인조 26년인 1648년, 효종 6년인 1655년, 광무 3년인 1899년, 그리고 1926년에 중수하였다.

초석은 신라 때 사용하던 자연석 위에 원형으로 깎아 도드라진 위로 배흘림기둥을 세웠다. 이 비로전 안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있는데, 그 뛰어난 조각 솜씨에 압도당한다. 앞에가 서면 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듯하다.

각연사의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두 가지 문화재인 보물 제1370호 각연사 통일대사 부도와, 보물 제1295호인 통일대사탑비를 보려고 했으나, 아직은 길이 녹지를 않아 다음으로 미루었다. 경내를 돌아보면 기단을 쌓은 장대석이나 주추 등이 옛 정취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적당히 자리를 잡은 전각들이 화려하지는 않으나, 마음을 편하게 만든다. 꽃이 피는 봄에 다시 한 번 각연사를 찾아보리라 마음을 먹고, 보개산을 뒤로 한다

충북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38번지에 소재한 각연사.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이 각연사에는 보물 제433호로 지정 된 석조비로나좌불상이 있다. 우선 이 불상에 대한 표현부터 먼저 하고 가자. 각연사를 찾아 비로전에 있는 비로자나불 좌상을 보는 순간 숨이 막혔다.

숨이 막히는 조각. 사람의 솜씨는 아닌 듯하다. 이렇게 아름다운 조각을 할 수 있었다는 신라 장인들의 솜씨가 그저 감탄스러울 뿐이다. 보물이나 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절의 담당자를 찾아 미리 허락을 받아야 한다. 종무실에 가서 비로자나불을 좀 촬영하겠다고 이야기를 했더니 스님 한 분이 나오신다.

시방세계를 통솔한다는 비로자나불

스님이 따듯하게 끓여 타 주신 차 한 잔을 마시고, 비로전 안으로 들어가 촬영을 시작했다. 사진을 찍으면서도 연신 감탄이 그치지를 않는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조각을 할 수가 있었을까? 마치 살아있는 듯한 표정이며, 조각 하나하나가 모두 살아 움직이는 듯하다. 수많은 문화재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섬세한 조각은 처음인 듯하다.

비로자나불은 시방제불을 포괄하는 법신불로 알려져 있으며, 노사나불이라고도 부른다. 각연사의 바로나자불 좌상은 대좌와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가 모두 갖춰진 완전한 형태의 불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됐다. 좌대의 조각도 훌륭하지만, 광배의 조각은 그야말로 최고의 예술품이라 생각한다. 어떻게 이리도 정교하게 조각을 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 오랜 세월동안 어떻게 완벽하게 보전됐을까?

까맣게 칠을 한 작은 소라 모양으로 머리칼을 표현한 소발. 그리고 적당한 크기의 눈과 코, 입의 표현은 완벽할 정도이다. 은은한 미소를 띤 얼굴은 앞에 마주 한 사람의 마음을 한 없이 편안하게 해준다.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었는데, 옷 주름은 간략하게 표현을 하여 전체적인 모습을 무겁지 않게 하였다.



뛰어난 광배의 조각,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석불좌상의 뒤편에 놓인 광배는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다. 흡사 오뚝이를 연상케 하는데, 이는 일석으로 조성한 광배를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물방울처럼 생긴 광배에는 몸에서 뿜어 나오는 불을 형상화 한 듯, 불꽃을 조각하여 놓았다. 그리고 머리와 불상의 양편으로 각각 3구씩의 작은 부처인 화불이 조각돼 있다.




머리 위에도 3구의 화불이 좌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광배에 아홉 분의 화불을 새겨 넣었다. 광배의 안쪽에서부터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광배를 찬찬히 살펴본다. 단아하면서도 화려한 모습, 그리고 뛰어난 조화로움. 도대체 인간의 조각품이라고는 믿을 수가 없다. 단지 망치와 정 하나만으로 이렇게 훌륭한 작품이 가능하다니. 광배와 잘 어울리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을 살펴보면서 느낀 것은, 선조들의 예술세계가 그저 놀랍다는 것뿐이다.


연화대좌에서도 뛰어난 조각솜씨를 엿볼 수 있었다. 연꽃으로 둘러싼 대좌는 세부분으로 구분이 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아름다운 조각품인 각연사 석조비로나자불 좌상. 사진을 찍고 난 뒤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려 삼배를 한다. 마음속으로 간절히 서원하는 것은, 이 석불좌상에 기원을 하면 무엇이나 다 이루어질 것만 같아서이다. 마음속으로 간절히 빌어본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다시는 훼손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을.


괴산군 청안면 효근리 385 보안사 대웅전 안에 자리한, 충북 문화재자료 제22호인 보안사 석조여래좌상. 1957년 경에는 노천의 석단에 모시고, 사람들이 찾아와 불공을 드리고는 했단다. 1997년 현재의 법당을 짓고 그 안에 주존불로 모셔놓았다. 보안사를 찾아 안으로 들어가니 석불에 금분을 입혀, 원래의 석불로서의 상태가 아니라 조금은 아쉬움이 든다.

 

얼굴에 비해 어깨가 왜소해 보이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턱을 내리는 등 조금은 위축된 듯한 표현을 하고 있다. 반가사를 착용한 점 등으로 볼 때 그 시기가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신없는 문화재 주변

 

▲ 문화재 앞 문화재 주변에 늘어놓은 소불들이 문화재의 가치를 반감시키지는 않는지

 

석불좌상의 앞으로는 작은 소불들이 놓여있다. 주변에 즐비한 이런 소불들이 막혀있어, 정작 문화재를 찬찬히 훑어보기에는 난감하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이런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정작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기 위해 찾아갔는데, 이런저런 것들을 늘어놓아 정신이 없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보안사 석조여래좌상은 높이가 117cm이다. 금분을 입히지 않았으면 더 정확한 모습을 볼 수 있을 텐데, 이렇게 금박을 입혀놓아 오히려 문화재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았는지 우려가 된다. 광배나 연화대는 없으나 석불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문화재인 보안사 석조여래좌상. 법의를 반가사로 입은 것도 특이하다.

 

약사여래불로 보이는 석불좌상

 

▲ 얼굴 육계와 백호가 뚜렷하다. 얼굴은 둥근편으로 위엄이 있다. 그러나 금박을 두텁게 입히고 그려넣어 본래의 모습은 알기가 어렵다.

▲ 수인 수인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한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보안사 석불좌상은 미간의 백호가 뚜렷하다. 안면은 칠을 하고 눈썹과 입술 등을 그려 넣어 정확한 모습을 가늠할 수가 없다. 하지만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귀는 길게 내려져 어깨에 닿았고, 코는 큼지막하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크고 둥근 편이며, 훼손이 되지 않았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반가사로 표현을 하였고, 왼쪽 가슴에서 내려진 옷의 주름은 무릎까지 덮고 있다.

 

법의가 끝나는 곳에 양쪽 발바닥이 노출이 되어있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위엄을 보이고 있다. 다만 금칠이 너무 두터워 무겁고 탁한 감을 준다. 수인은 오른손은 무릎 위에 놓고, 왼손을 펴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다. 손바닥이 이렇게 위로 올려진 것은, 손바닥 위에 물체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아마 약병을 든 약사여래불로 추정된다.

 

문화재의 원형보존은 절대적으로 중요해

 

▲ 귀 귀는 길게 느려트려 어깨까지 닿았다. 전체적으로 육중한 느낌을 준다.

▲ 가사 반가사를 입은 모습이 특이하다.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중한 문화재의 원형보존은 중요하다. 문화재가 어느 시기에 일부 훼손이 되었다고 하면, 철저한 고증을 거쳐 훼손이 된 부분을 보수해야만 한다. 그러나 답사를 다니면서 보면 전혀 고증을 거치지 않은 이상한 형태로 보수를 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찾아보는 문화재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형태는 보존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문화재를 더 가치 없게 만드는 행위라는 생각이 든다.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보존. 물론 보안사의 석불좌상도 허락을 받고 금분을 입힐 것이겠지만, 이렇게 원형을 바꾸어 놓는다면, 참다운 문화재 보존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소중한 문화재의 주변에 어지럽게 진열한 많은 전시품들이, 오히려 문화재의 가치를 훼손한다면 과감히 법적 제도를 만들어서라도 막아야 할 것이다. 소중한 보안사의 석불좌상이 오히려 그 가치가 반감이 되기 때문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2, 27)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