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맑은 물이 흐르고, 바위와 각종 꽃나무들이 함께하는 정자 광제정.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0호인 광제정은 임실군 삼계면 세심리에 자리하고 있다. 광제정은 조선 초기에 양돈(1461∼1512)이 후천리 광제마을에 처음 지었으며, 지금 건물은 양돈선생의 후손 양성모가 1871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광제는 양돈선생의 호다. 양돈선생은 서울에서 생원, 진사를 지내다가 무오사화를 피해 아산방(현재, 봉현리)에서 은거하였는데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다고 전한다. 성종 9년인 1478년에 소과에 합격한 양돈선생은 남효온 등이 천거하여 조정에서 여러 차례 관직을 내렸으나, 모두 사양하고 이곳에서 자연을 벗 삼으며 여생을 보냈다.

 

 

벼슬도 마다한 광제 양돈선생

 

양돈선생이 죽자 마을 사람들은 그의 학식과 덕망을 추모하기 위해 정조 12년인 1788년에 아계사(阿溪祠)를 지어 위패를 모셨다고 한다. 그만큼 당시 선비들은 양돈선생의 덕목을 흠모하였던 것 같다. 정자 안에 걸린 게판에는 김인후, 기정진 등이 남긴 글이 걸려 있다.

 

광제정을 찾은 것은 요즈음 세태에 젖어든 마음을 씻기 위해서다. 이제 대선이 며칠 밖에 남지 않았다. 새 내각을 구성하게 되면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서든지 높은 자리를 차지하겠다고, 자신의 허물까지 억지로 덮어가면서 난리를 피우는 모습을 보일까 궁금하다.

 

 

양돈선생은 그렇게 주변사람들이 그 문장과 덕행이 아까워 벼슬길에 오를 것을 종용하였으나, 끝내 사양을 하였다고 하지 않던가? 더욱 이곳이 ‘세심리’라니. 마음을 깨끗이 닦아내어, 그런 세상 사람들이 추구하는 물질과 권세에 초연하고 싶어서였나?

 

요즘 사람들이 배워야 할 덕목

 

사람들은 누구나 다 출세를 지향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자리에 앉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적당히 배를 불릴 수 있으면 마다하지 않고, 주변 것들을 먹어치운다. 참 그 배는 많이도 들어가는가 보다. 그러나 오늘 광제정의 주인 양돈선생은 그렇게 모든 것을 다 이룰 수 있는 자리를 준다고 하는데도 마다하지 않았던가.

 

 

요즘 사람들은 이런 선생을 바보라고 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세상이 변했으니 그것과는 관계가 없노라고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양돈선생은 그러한 모든 것이 부질없는 것임을 일찍 알고 계셨던 것이 아니었을까? 아마도 한창 열을 올리며 대선후보 주변에서 얼굴굳히기에 들어간 많은 사람들이, 양동선생의 마음만 같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전라북도 지역 정자의 특징 그대로 지녀

 

광제정을 한 바퀴 돌아본다. 크지 않은 정자는 바위 곁에 올려놓았다. 정자의 가운데 방을 마련하고, 사방을 마루로 놓았다. 천정은 중앙부분이 아래로 돌출되었는데, 양편에서 달려드는 용머리가 그 속으로 들어갔다. 희한한 것은 그 용의 몸 등에 붙어있는 거북이다. 왜 거북이를 이곳에 두었을까?

 

 

세상사 싫어지면 그 거북이 등에 올라타 멀리 떠나고 싶은 것이었을까? 아니면 자연을 벗 삼아 더 오래 살고 싶어서였을까? 광제정 곁을 흐르는 냇물은 맑기만 한데, 냇가에 커다란 노거수 위에 한 마리 이름 모를 새가 퍼덕이며 날아간다. 아마 곧 닥칠 눈보라를 피해 어디 깊은 산속으로라도 들어가려는 것인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