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산44번지에 자리한 약사여래불. 속칭 ‘팔공산 갓바위’ 라고 부르는 해발 850m의 험준한 팔공산 남쪽 관봉의 정상에, 병풍처럼 둘러 쳐진 암벽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좌불상이다. 관봉을 ‘갓바위’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불상의 머리에 마치 갓을 쓴 듯한 넓적한 돌이 올려져 있어서 유래한 것이다.

7일 아침 일찍 남원을 출발했다. 예정으로는 갓바위를 거쳐, 동화사와 또 한 곳을 둘러보리라 한 것이다. 그러나 이건 또 무슨 일인가? 88도로 좁은 길에서 버스가 그만 고장이 나, 오도 가도 못하고 1시간 이상을 지체했다. 대체된 버스를 갈아타고 출발을 했으나. 예정보다 근 1시간 이상을 지체한 것이다.


9세기에 조성된 당시 최고의 걸작품

10여일이 가깝게 몸살감기로 진이 다 빠져버렸다. 갓바위 주차장에 버스를 대고 걸어 올라가는 길이 그리 험할 줄이야. 벌써 7차례나 갓바위를 올랐다. 여느 때 같으면 한 걸음에 오르던 갓바위다. 그러나 기운이 쇠할 대로 쇠한 뒤라, 조금만 계단을 올라도 숨이 차다. 몇 번을 쉬면서 겨우 갓바위에 올랐다.

보물 제431호 갓바위 부처님은 약사여래불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뚜렷하다. 머리 위에 커다란 돌을 이고 있어, 갓바위라 부른다고도 한다. 언제보아도 갓바위 부처님은 근엄하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탄력이 있고, 눈 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 있다. 귀는 어깨에 닿을 듯 늘어지고, 굵고 짧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어깨는 일반적인 석불에 비해 위로 약간 올라간 듯하다. 넓은 어깨는 반듯해서 당당하고 건장하다. 그러나 신체의 부위는 가슴이 평판적이라 조금은 둔한 느낌을 준다. 두 손은 무릎 위에 올렸는데, 조금은 투박한 듯하다. 오른손 끝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과 유사한 손모양은 석굴암의 본존불과 닮았다. 그러나 불상의 왼손바닥 안에 조그만 약함을 들고 있는 것을 보면 약사여래불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수능이 시작되면 바빠지는 갓바위 부처님

불상이 자리하고 있는 대좌는 4각형인데, 앞면과 옆면으로 법의 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다. 불상의 뒷면에 병풍처럼 둘러쳐진 암벽이 광배의 구실을 하고 있으나, 뒷면의 바위하고는 떨어져 따로 존재하고 있다. 풍만하지만 경직된 얼굴, 도식화된 옷주름, 평판적인 신체는 8세기의 불상과는 구별되는 9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지칠 데로 지쳤지만 우선 손을 모으고 참배를 한다. 앞에 놓인 자리에 앉아 겨우 고개를 숙인다. 많은 사람들의 서원을 비는 소리가 조금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만든다. 자리들을 차지하느라 일행을 불러대는 사람들도 있다. 수능 100일전부터 갓바위 부처님은 몹시 바빠지신다.

자녀들의 좋은 성적을 기원하기 위한 부모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자신의 아이가 좀 더 나은 점수를 받게 해달라고 마음속으로 빌 것이다. 바위에 손과 이마를 대고 비는 사람들도 보인다. 이곳에서는 어떤 형태로 기원을 하든지, 아무도 간섭을 하지 않는다. 비는 사람들마다 각자 자신의 서원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갓바위 부처님은 늘 바쁘시다. 그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보셔야 하기 때문이다. 그 서원을 일일이 귀담아 들으시고, 그것을 들어 주시려면 아마 쉴 틈도 없을 것이다. 그렇게 갓바위 부처님은 늘 표정 하나 변하지 않고, 사람들의 원을 들어주시나 보다. 오늘도 사람들은 갓바위 부처님께 서원을 한다. 그 많은 중생들을 일일이 내려다보고 계시는 갓바위 부처님.

“얘야, 나 요즘 엄청 바쁘거든. 네 서원은 네가 알아서 이루어라”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