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로 하나가 사람의 기분을 이렇게 좋게 만들 수 있다니. 그저 숲속을 걸어가는 그런 기분이 아니다. 수백 년 된 나무와 대화를 할 수 있는 곳이다. 큰 나무는 둘레가 어림잡아도 5 ~ 6m가 넘을 것만 같다. 걸을 때마다 발밑에서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난다. 나무의 조각을 산책로에 깔아놓아 탄력이 있게 조성하였다.

 

수원시 서둔로 168번 길. 옛 서울농대가 있던 곳이다. 예전 서울농대가 이곳에 자리를 하고 있을 때는 일반인들이 카메라를 들고 이곳을 들어올 수 없었다. 그러다가 서울 농대가 이전을 하고 난 후, 10년 동안 이곳이 폐쇄되어 있던 곳이다. 현재 이 서울농대 자리는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2016년까지 한시적으로 개방

 

이곳은 거의 모든 길이 폐쇄가 되어있다. 건물들이 낡고 위험한 곳이 많기 때문이다. 지난 해 4월 경기도는 이곳 서울농대 경내의 일부를 주민들에게 한시적으로 개방을 했다. 2016년 경기도 농업기술원이 들어오기 이전까지만 일부 산책로를 주민들에게 개방을 한 것이다.

 

이 산책로는 하절기인 3~ 10월에는 오전 6시부터 18시까지, 동절기인 11~ 2월에는 오전 7시부터 17시까지 개방을 한다. 개방을 하는 산책로는 서둔로 168번 길에 나 있는 엣 문을 통해 들어오면, 중앙에 옛 차도를 중심으로 좌우로 산책로가 나 있다. 산책로는 서로 통하게 되어 있으며, 천천히 전 구간을 걸어보면 한 시간 정도 소요가 된다.

 

 

이곳은 산책로 외에는 모두 통제가 되어 있다. 산책로가 있는 곳의 도로는 일반차량이 통제가 되며, 건물과 휀스설치구역, 수림대 등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개방에서 제외되었다. 주로 인근 주민들이 찾아와 낮 시간의 더위를 식히고, 건강을 위해 걷는 이 길은 자연이 그대로 살아있는 길이다.

 

천천히 걸어 본 산책로 정말 최고였다.

 

예전에 이곳을 몇 번이고 들려 걸어보고는 했던 곳이다. 산책로 한편에는 사람들이 쉴 수 있도록 의자 등이 마련되어 있다. 산책로라는 이정표가 있는 길을 천천히 걸어본다. 심호흡을 하면서 걷는 길에 엄청난 나무들이 서 있다. 가까이 다가가 팔로 나무를 안아본다. 장정 몇 사람이 안아야 겨우 맞잡을 수 있을 정도의 굵기이다. 밑동의 둘레는 어림잡아도 6m가 넘을 것만 같다.

 

 

이 산책로는 짐승과 사람이 공존하는 길이다. 사람들은 자연적인 이 길을 걸으면서 건강을 생각하고, 짐승들은 이곳이 원래 자신들이 서식지였다. 원래 이곳의 주인은 고라니, 청설모, 도마뱀, 두더지 등이었다. 그들이 오래도록 살고 있던 곳을 사람들이 잠시 한시적으로 빌린 것이다.

 

이렇게 좋은 산책로를 2016년 까지만 개방한다고 하니 조금은 아쉽기도 합니다. 하지만 경기도 농업기술원이 들어오고 나면 또 어떤 방법으로든지 사람들을 위해서 이곳을 개방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산책로를 걷다가 만난 한 주민은 아침저녁으로 이곳을 걸으면서 건강이 많이 좋아졌다고 한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자연. 그리고 그 속에서 느낄 수 있는 여유로움. 족제비 등 짐승들이 살 수 있도록 쌓아놓은 비오톱 나무더미와, 그 더미를 타고 오르는 넝쿨식물. 이 모든 것이 하나로 어우러진 산책로는 최고의 힐링 공간이다.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청안면사무소 옆에 자리한 충북 유형문화재 제93호 청안동헌. 처음으로 청안동헌이 세워진 것은 조선조 태종 5년인 1405년이라고 한다. 청안현의 관아로 세워진 청안동한은 일반적인 동헌의 형태와는 다르다. 세월이 지나면서 여기저기 손을 보고 변형이 된 청안동헌은 여러 가지 구조기법으로 등으로 미루어 볼 때, 19세기 후반의 건물로 추측된다.

 

한편에 방을 드린 구조

 


청안동헌은 현재 청안면사무소 곁에 있어 찾기기 쉽다. 높은 네모꼴 주초를 사용하고 그 위에 둥근기둥을 세웠다. 목재는 소로로 수장한 굴도리를 썼으나, 부연을 달지 않고 보머리에 초가지 장식이 없는 검소한 형태로 꾸며졌다. 이런 모습은 관아건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지만, 현존하는 유적이 드물어 조선시대 관아건축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앞에서 청안동헌을 바라보면 좌측에 세 칸의 마루를 놓고, 우측에는 두 칸의 방과 반 칸의 다락이 있는 아궁이를 두었다. '안민헌(安民軒)'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청안동헌은  1913년부터 3년간 중수하여 일경(日警)의 청안주재소로 사용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청안지서장 사택으로 사용하면서, 건물구조가 많이 변형되었던 것을 1981년 복원 수리하였다.

 

현재 청안동헌은 동헌 한 동만 남아있어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원래 관아에는 고을 원이 공무를 보는 동헌, 정당과 익실을 갖춘 객사, 수령이 기거하는 내아와 동헌의 입구인 아문 등이 있어야 하지만, 동헌을 제외한 다른 건물은 모두 남아있지 않다.

 

세칸으로 마루를 깐 대청은 뒤편에는 판자문을 내었다
 

대청의 외벽은 창호로 꾸몄다.

 

방을 네 개로 쪼갠 청안동헌

 

청안동헌의 특징은 우측으로 보이는 방이다. 대청마루에서 방문을 보면 교살불발기 창호로 꾸몄다. 우측의 문을 열면 다시 그 안으로 창호가 있고, 앞으로는 길게 마루를 놓았다. 밖의 창호에서 방을 가로질러 마루를 놓은 것이다. 방문은 밖과 안 모두 세살문으로 꾸몄다. 방은 밖에서 보면 큰 방 하나인 것처럼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방을 네 등분하여 모두 4개의 작은 방이 있다.

 

대청의 뒤편에는 판자문으로 막았고, 측면은 세살문으로 처리해 들어 올릴 수가 있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혀 꾸밈이 없이 검소하다. 아마 당시 이 건물을 지을 때 민가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측 외벽은 별다른 구조물이 없이 아래 위, 좌우 모두 삼등분을 하여 나무를 가로질렀다.

 

대청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문은 교살불발기 창호로 꾸며 운치가 있다.
 

방앞에는 툇마루를 놓고, 그 앞에 외문 창호를 달았다.
 

큰 방을 네개로 나누어 작은 방을 만들었다. 여러 용도로 사용하면서 나뉜 것으로 보인다.

 

방을 드린 우측 끝으로는 위로는 다락을 낸 반 칸 정도의 아궁이가 있다. 양편으로 아궁이를 내어 놓은 이 방은 네 개의 방을 덥히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마루 밑은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해 놓았으나, 현재는 전체를 돌로 막아놓았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해

 

일반적으로 어디를 가나 동헌은 그냥 덩그러니 건물만 남아있다. 청안동헌도 예외는 아니다. 토요일에 답사를 간 청안동헌은 청안면의 직원 한분이 여러 가지 설명을 곁들이는 바람에 편하게 답사를 할 수가 있었다. 담을 사이로 있는 청안치안센터 건물 옆에는 커다란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어, 청안동헌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방 옆에는 반칸 정도의 한데 아궁이를 놓고, 외벽으로 처리를 하였다.

불이 타 위를 잘랐다는 나무. 청안동헌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고목은 밑동만 남아있고 잘려진 가지에 새 가지가 돋아나 있다. 안내를 하신 분의 이야기로는 이 나무가 불에 타 위를 잘랐다는 것이다. 그 옆에 있는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도 오래 묵은 역사의 나무란다. 주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는 청안동헌. 문을 바른 창호지는 찢고간다는 사람들. 도대체가 이해가 가질 않는다. 곁에 면사무소인데도 훼손을 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막아내기란 버겁다는 것이다. 언제나 사람들의 의식이 바뀌려는지.

정자는 그 안에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 하나하나에는 우리들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숨어있다. 그것은 상반을 초월한다. 내가 정자를 찾아 먼 길을 떠나는 것도 그런 이야기 때문이다. 요즈음처럼 있는 자들이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스스로 본이 되게 하려고 많은 애를 쓴 흔적이 남아있다.

 

이런 이야기를 자랑하고 있는 정자가 있다. 마음은 흐르는 맑은 물과 같다는 말이 있다. 경주 양동마을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고 있는 심수정(心水亭). 마음을 깨끗이 비우고 세상 탐욕에서 멀리하다 보니,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생길 만도 하다.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정자

 

중요민속문화재 제81호로 지정이 된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심수정.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곳이다. 마을에 들어서면서 초입 우측으로 오래된 나무들이 굵은 줄기에 이끼를 가득 안고 있는 집이 있다. 멀리서 보기에도 예사롭지가 않은 집, 바로 심수정이다.

 

심수정은 농재 이언괄을 추모하여 지은 정자다. 조선 명종 15년인 1560년경에 지어졌으니 벌써 450년이 지났다. 이언괄은 형인 회재 이언적을 대신하여 벼슬길을 마다하고, 나이 드신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양반의 가문에서 태어나 벼슬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모신 이언괄. 아마 그 마음이 예전이나 지금이나 더럽고 추하게 세속에서 탐하는 벼슬을 마다하고, 흐르는 물에 씻듯 모든 것을 다 씻어버린 것은 아니었을까? 그런 마음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정자가 바로 심수정이다.

 

 

 

벼슬을 버리고 효를 택한 마음 심수정

 

세상 사람들은 물질과 벼슬에 탐닉을 한다. 그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온갖 추하고 역겨운 인간들이 자리를 탐하면서도, 스스로 반성을 할 줄 모르는 모양새를 보면 이 심수정이 더욱 빛이 난다. 모든 여건이 다 만들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위해 스스로 벼슬길을 마다할 수 있는 이언괄의 마음이야 말로, 바로 맑은 물이라는 생각이다. 심수정은 그와 같은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명종 때에 처음으로 지은 심수정은 철종 때에 이르러 소실이 되었다. 그 후 1917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심수정은 아름답다. 그 안에 배인 마음이 있어 더욱 아름답다. 7칸 대청에 양편으로 방을 둔 팔작집이다. 서쪽 방 옆으로는 난간이 있는 누마루를 두었다. 심수정의 아름다움은 바로 이 누마루에 있다. 3면이 훤히 트인 누마루에 오르면 양동마을이 다 보인다. 아마 이 누마루에 올라 이언괄의 효심을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심수정, 이언괄이 그러했다. 벼슬길이 보장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을 대신해 노모를 극진히 모시기 위해 벼슬을 마다한 이언괄. 그 마음이 배어있는 정자이기 때문에, 더 아름다웠는지도 모른다. 정자 하나가 이토록 먼 길을 찾아 온 나그네를 기분 좋게 하다니. 그래서 정자기행이 계속되는가보다.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 때 이곳 정자에 올라 마음 한 자락을 내려놓을 수 있어서 좋다. 아마도 그런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한다면 어찌 이 불편한 세상을 살아갈 수가 있을까? 심수정 누마루에 더럽혀진 마음 한 자락을 꺼내어 훌훌 털어본다.


섬진강이 아래로 굽이쳐 흐르고 있고, 강 건너편에는 전라북도인 남원시 대강면 방산리가 된다. 뛰어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함허정은, 전남 곡성군 입면 제월리 1016번지에 소재한다. 현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2월 26일에 들려 본 함허정은 여기저기 보수를 한 흔적이 보인다.

정자 위에 오르니 시원한 섬진강의 바람이 땀을 식혀준다. 2월 말이라고는 하지만, 오랜만에 날이 푸근했다. 바삐 몰아 친 답사 길이 땀이 배어나게 만들었다. 이미 시간이 꽤 되어서 오늘의 마지막 답사장소로 택한 곳이다. 함허정은 조선조 중종 38년인 1543년에 심광형이 지었다고 하니, 벌써 500년 가까이 섬진강 가에 자리를 잡고 있는 셈이다.

전남 곡성군 입면 제월리 섬진강 가에 자리하고 있는 함허정. 전남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은지가 500년 가까이 되었다.

섬진강을 가슴으로 느끼다

심광형은 조선 중기에 광양과 곡성 등 여러 곳에서 훈도를 지낸 바 있는 당대의 문사로 이름을 떨쳤다. 이곳에 함허정을 지은 것은, 지역의 유림들과 풍류를 즐기기 위해서란다. 그래서인가 이 정자를 일명 ‘호연정’이라고도 불렀다는데, 아마도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뜻하는 것인가 보다.

함허정은 심광형의 증손자인 심민각이, 오래된 정자를 옛 터 아래쪽으로 옮겨 다시 지었다. 그리고 5대손인 심세익이 고쳤으며, 현재의 함허정은 1980년에 수리를 했다고 한다. 이번 답사에서도 함허정은 여기저기 손을 본 흔적이 있다. 팔작지붕인 함허정은 정면 네 칸에 측면 두 칸이다. 마루 한 칸을 3면을 트고 두 칸 반에 방을 드렸다. 현재 함허정을 오르는 계단 위에 놓인 일각문 앞으로는, 한단을 높인 높임 쪽마루를 놓았다.




멀리 무등산이 그림처럼 펼쳐 보인다. 그리고 정자 주변에는 고목이 된 나무들이 병풍처럼 둘러치고 있다. 이곳에서 시원한 섬진강의 바람을 맞으며, 논객들과 세상을 논하고 시를 읊었을 것이다. 섬진강 흐르는 물에 마음껏 여유도 부려보았을 정자 함허정. 그곳에 서면 섬진강을 느낄 수가 있다.

수많은 편액들이 심광형의 됨됨이를 알게 해

안으로 들어가 정자를 한 바퀴 돌아본다. 한 단의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정자를 지었다. 정자의 기둥은 원형기둥으로 세웠는데, 바르게 다듬지를 않았다. 약간 굽은 것도 그대로 기둥을 세워 인위적이지가 않다. 거기다가 섬진강 쪽으로 세운 기둥들은 안쪽의 기둥들보다 더 많이 갈라져 있다. 아마도 비바람에 그렇게 되었을 것이다.




신을 벗고 새로 보수를 한 마루 위에 오른다. 누마루 바닥의 찬 기운이 발바닥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나간다. 여기저기 사진을 찍다가 위를 올려다보니,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 있다. 이 많은 편액들이, 함허정을 세운 주인의 심성을 일러준다. 많은 사람들과 교류를 했다는 것을 뜻한다.

함허정의 슬픈 모습이 보여

함허정 앞으로 보이는 섬진강은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아름다운 섬진강의 강바닥을 고르고 한편으로는 돌로 축대를 쌓는 공사다. 이곳도 강을 정리하고 있는 것일까? 함허정을 돌아내려오다가 밭일을 하고 있는 분에게 물어보았다.



“저 공사는 무슨 공사예요?”
“모르겠어요. 저렇게 강을 골라 한편에 자전거 길을 만든다고 하네요.”
“섬진강 긴 곳 중에 하필이면 이곳에만 그런 공사를 하나 봐요?”
“작년에 이곳에 물난리가 났는데, 그것 때문인가 보네요.”
“물난리가 나다니요. 장마 때 그랬나요?”
“아뇨. 날짜도 안 잊어버리네요. 작년 8월 16일에 이곳에 물이 범람했어요. 차도까지 물이 넘쳐서 통행이 제한되었으니까요”
“홍수가 매년 그렇게 나요?”
“아닙니다. 작년에만 비가 많이 오는 바람에 물이 넘쳤는데, 그러고 나서 공사를 시작했어요. 저렇게 강폭을 좁혀놓으면 더 큰 물난리가 날텐데, 동네에서는 아무도 말 한마디를 안하고 있어요”

저렇게 강바닥을 고르고 축대를 쌓아버리면, 함허정은 무엇을 보게 될까? 물론 자전거 길을 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그 곳에서 여가를 즐길 수가 있다면 그도 새로운 풍속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굽이치며 흐르던 섬진강을 저렇게 만들어 놓으면, 함허정에서 바라보며 시심을 일깨우던 지난 시간은 모두 사라져 버리지나 않을는지.


아마도 함허정에 올라 섬진강을 노래하던 수많은 시인묵객들은, 저런 모습을 반기지는 않을 것만 같다. 그보다 500년 섬진강을 노래하던 그 소리가, 이제 저 돌로 쌓은 인위적인 축대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그 모습을 보면서 이제는 함허정의 강노래도 끝났다는 생각이 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