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고린도 전서 13장을 보면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라는 구절이 있다. 이 고린도 전서 13장은 사랑의 정의처럼 생각하고 있다. 아마도 이 글은 세상 사람들을 일깨우기 위한 구절이라고 생각한다.

사랑에는 네 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 째는 종교적인 사랑인 ‘아가페’이고, 둘째는 광의적인 사랑을 이야기하는 ‘필리아’이다. 필리아는 이성, 삶, 자연 등 모든 것을 사랑한다는 뜻이다. 세 번째 사랑은 ‘에로스’이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랑의 신으로. 에로스는 이성간의 사랑을 뜻한다. 네 번째는 ‘스토르게’로 혈육의 사랑이다.


‘사랑은 영원한 것’이라고. 세상을 좀 보시지.

사람들은 곧잘 ‘사랑은 영원하다’라는 말을 쓴다. 그러나 과연 사랑은 영원한 것인지 묻고 싶다. 물론 이 네 가지의 사랑 중에 스토르게는 영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속을 뒤집어 보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자식을 추행하고, 부모를 현대판 고려장이라고 하듯 내다 버리고 있는데, 그것이 영원한 것일 수는 없다.

이성간의 사랑 역시 마찬가지이다. 영원한 것이라면 처음부터 끝까지 같아야 한다. 그러나 사랑이 어찌 그럴까? 사랑은 물이 흐르듯 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사랑을 종교에서는 영원하다고 표현을 하고 있을까? 그것은 세상이 변해가면서 영원하기를 바라는 것일 뿐이다.

사랑은 보편적이라야 한다.

사랑은 보편적이라야 한다. 적어도 우리가 사랑의 대한 정의를 내리려면 보편적인 사랑을 이야리 해야 한다. 적어도 2500년 전 석가모니불의 시대나, 2000년 전 예수의 시대에는 이런 보편적인 사랑이 통했을 수가 있다. 하지만 지금의 시대에 이런 보편적인 사랑이 과연 통하는 것일까?

사랑은 흐른다고 한다. 물이 흐르는 것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물길이 가는 데로 흐른다. 그 길이라는 것이 늘 같은 곳이 아니다. 시간이 가면 물길은 바뀌기도 한다. 그래서 사랑을 흐르는 물에 비유를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요즈음 사랑을 보면, 이건 물도 아니다. 마구잡이식으로 파헤친 무엇을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억지로 만드는 것 말이다.

결국 보편적인 사랑이 사라졌다는 것은, 사랑의 정의가 사라졌다는 뜻일 게다. 위 네 가지 사랑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그 중 한 가지를 비유로 들어도 좋다. 과연 이 시대에 그런 사랑이 존재하기는 한 것일까?

세상에는 두 가지 인간들이 공존한다.

이제는 부모 자식 간의 사랑도 한계에 다달았다. 예전처럼 자식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리는 부모, 부모를 위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잘라내던 자식도 볼 수가 없다. 성인들이 베풀던 사랑을 전하는 사람들조차 개 같은 짓을 하기가 일쑤인 세상이다. 과연 이 세상에 사랑의 정의는 존재하는지 의문이 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세상에는 두 가지의 인간이 공존한다. 하나는 그래도 사랑을 지키기 위해 무단히 노력하는 ‘사람’이고, 하나는 사람의 탈을 쓴 ‘개만도 못한 인간’이다. 이렇게 두 가지 인간이 존재하는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다만 그 수위가 달라졌고, 사람답지 못한 사람들이 더 늘어났다는 것이다.

정말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오늘 곰곰이 생각을 하게 만든다. 어느 사람이 정말 인간답지 못한 짓을 하다가, 배우자에게 걸려 길거리로 내쫓겼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참 세상은 이제 사랑태령도 그만할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다. 이왕 쾌락을 추구하려면 표시 안나게 잘했어야지. 하긴 내놓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니 세상 참. 이런 사람들도 자신들은 '사랑'이라고 표현을 한단다. 그래도 영원하다고 해야 하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