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이별이라는 것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만 같다. 물론 첫사랑에 성공을 한 사람도 있겠지만, 글쎄다 그 이전에 알게 모르게 청소년기에라도 이별이라는 것을 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사람마다 성격이 달라 이별이라는 것을 크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도 있을 테고, 혹자는 쉽게 이별을 하기 때문에 마음에 공백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어찌 되었건, 누구의 잘, 잘못을 따지는 것이 아니고 이별은 마음이 아픈 것이다. 그래도 한 때나마 생각했던 사람, 자신과  함께 웃고 울던 시절을 가져봤단 사람을 생각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런 사람이 왜 유독 가을이면 생각이 나는 것을까?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람

사람들은 가을을 '분위기 있는 계절'이라고 한다. 분위기야 사람마다 잡기 나름이니 무슨 계절과 관계가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유난히 가을을 타는 사람들이 있다. 아마 나도 그 중 하나일 것이란 생각이다. 가을이 되면 문화재 답사를 더 열심히 하는 것도, 어찌보면 그 분위기 탓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같은 문화재라도 철마다 느낌이 다르다. 그런데 가을이 되면 문화재가 더 분위기가 있다고 생각이 든다. 아마도 그런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은, 가을에 떠난 사람 때문인가도 모르겠다. 유별나게 가을을 좋아했던 사람. 가을 단풍을 보기 위해 하늘 높게 달린 재를 신바람나게 노래를 부르며 운전하며 올라가던 사람. 그리고 가을이 되면 술 한잔에 취해 세상 멋이 무엇인지를 알던 사람.

난 그 사람을 가을을 남기고 갔다고 늘 생각한다. 가을에 떠난 사람이라는 유행가 가사가 아니다. 정말 마음 속에 두었던 그런 사람이기 때문에, 이 계절이 되면 더 더욱 생각이 난다. 함께 문화재 답사를 다니면서 가끔은 지루해 하기도 했지만, 그래도 말없이 먼 길을 달려가고는 했다. '남자가 하고자 하는 일을 하지 못하면 죽은 인생'이라고 늘 버룻처럼 이야기를 하던 사람이다.


"왜 가을엔 떠난 사람 생각이 날까요?"


스님께 물었다.

"가을이면 떠난 사람이 왜 더 생각이 나느냐고 물었나요?"
"예"
"그거야 가을이니까"


세상에 난 지금 선문답을 하자는 것이 아니다. 왜 가을이면 떠난 사람 생각이 나느냐고 물었는데, '가을이니까'라는 대답이다. 그러더니 뒤이어 이런 말씀을 하신다.

"가을에 사람이 생각나는 것은 당연하죠. 그리고 계절이 가을이기에 더욱 생각이 나는 것이죠. 가을엔 모든 것이 떠날 준비를 하는 계절이죠. 만물이 그러하죠. 나뭇잎이 변하고 떨어진다는 것은, 곧 그것이 떠날 것이란 것을 의미하죠. 사람이나 세상사 모두가 떠날 때는 더욱 아름답게 보이려고 하죠. 좀 추한 인간들을 빼고는 말입니다. 그래서 가을이 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이별을 하게 되죠. 어디서 본 기억이 있는데, 연인들이 가을에 가장 많이 이별을 한다고 하네요. 아마도 가을은 이별의 계절이기에, 그 계절이 오면 당연히 생각나는 것이겠죠"


그래서 사람들은 가을에 더 많은 이별을 하게 되는 것일까? 그리고 그 이별의 계절에 떠난 사람이 더욱 생각나는 것일까? 그러나 가을이기에 떠날 준비를 한다는 것은 납득이 가질 않는다. 왜 가을엔 사람들이 이별을 준비하게 되는 것일까?

"사람들 스스로가 자연에 속해있기 때문이죠. 사람은 자연과 떨어질 수 없습니다. 그래서 자연적으로 사람과 자연은 상부하는 것이죠. 사람이란 것이 감정의 동물이라고 하잖아요. 그래서 가을에 떠난 사람이 더욱 생각나는 것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아마 그런 생각을 했다면, 그만큼 가슴 아린 사랑을 했기 때문일 수도 있겠죠. 문제는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이 혼자만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이 가을엔 떠난 사람은 더욱 마음 아플 수도 있거든요. 그런 사람을 생각해서라도 마음 아파하지 마세요. 사랑하던 사람들은 마음과 마음이 통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이쪽이 마음 아파하면 저쪽도 이 가을에 마음 아파할 수가 있어요. 그러니 아름답게 헤어진다는 것은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죠."
 
모르겠다. 어렵다. 가을에 떠난 사람이 더욱 생각나는 이유가 이렇게 복잡한 것인지 미쳐 몰랐다. 다만 한 가지 내 마음이 아플 때 그 사람도 마음이 아프다면, 정말 그런 것이라면 이제 더 이상은 마음 아파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또 가을은 나를 슬프게 만든다. 생각조차 하지 말라니. 이 죽을 놈의 가슴 아픈 계절인 가을이.      
사람마다 좋아하는 계절이 다르다. 누구는 만믈이 소생하는 봄이 좋다고 하기도 하고, 누구는 녹음이 우거지는 여름이 좋다고도 한다. 그런가 하면 모든 것이 결실을 맺는 가을이 좋다는 사람도 있고, 순백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는 겨울이 아름답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지는 계절. 그 중에도가을은 결실의 계절이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기도 한다. 난 나름대로 좋아하는 계절이 가을이다. 이유는 우선은 답사를 하기에 적당한 날씨이기 때문이다. 가을은 사람들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인지. 또 어떤 모습에서 가을을 느낄 수 있는지. 나름대로 난 가을을 이런 것들에게서 느낀다.


가을은 낙엽에서 온다. 단풍이 들고 그것이 떨어져 있을 때 정말 가을이라는 것을 느낀다.



널어 놓은 호박꼬지며 처마 밑에 달려 있는 옥수수. 이런 것들에서도 가을은 느낄 수가 있다.



장독대에 널어 놓은 빨간 고추와 초가 지붕 위에 달린 덩치가 큰 호박. 결실의 상징이기도 하다.



노랗게 물들어 가는 은행잎, 그리고 절반은 떨어져 나무 아래를 노랗게 칠을 하고 있는 낙엽. 이런 것들에서도 가을이 깊어짐을 알 수 있다.



장독대 위에 놓인 감이 연시로 익어가고, 멍석에 놓인 감이 점점 연하게 변하고 있는 모습에서 정말 가을이네 라는 것을 느낀다.

단종임금이 숙부에게 쫒겨나 멀리 강원도 땅으로 가다가 목이 말라 마셨다는 샘 '어수정' 그 맑은 물에 떨어진 낙엽들이 가을임을 이야기 한다.

문화재답사를 하다가보면 많은 사람들이 글을 올리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에 대한 글을 쓰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자료를 인용해, 자신이 찍은 사진과 함께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몇 몇 사람 전문적인 문화 블로거들 만이 그 문화재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적는다. 그러한 글들이 사실 우리문화재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본다.

가끔은 답사를 하다가 만나게 되는 분들이 있다. 우리 문화재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다.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될 수 있으려나 해서, 약간의 상식을 이야기를 하다가 보면, 이런 질문을 받는다. ‘왜 같은 문화재를 보고도 그 쓰는 분들의 느낌은 다르냐’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 가장 즐겁다. 왜냐하면 그만큼 많은 글을 읽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위의 끝에 선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는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마애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제407호인 이 마애여래입상의 윗부분은 바위 위로 솟아있으며, 그 주변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마애불의 상체부분은 돋을새김을 하였으며, 밑으로 내려가면서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이렇게 얼굴부분을 돋을새김을 하는 조각은 고려 후기의 거대마애불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거대마애불답게 이목구비가 큼직한 이 마애여래입상은 양감이 있는 넓적한 얼굴에 가는 눈이 끝이 위로 치켜져 조금은 날카로워 보인다. 커다란 코와 작은 입은 이 마애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경직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목은 짧으며 삼도는 가슴께로 내려와 이러한 거대마애불을 조성할 당시 어려움을 알게 한다. 옷주름은 굵게 표현을 하였으며 두 손은 가슴께로 들어 올렸는데, 왼손의 손바닥은 위로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인의 모습은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석불의 손모양이다. 충남과 충북, 전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미륵입상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왜 느낌을 다르게 적을까요?

참 어려운 질문이다. 왜 그렇게 보이는 것일까? 같은 불상을 보면서도 누구는 인자하디고 하고, 누구는 강직되었다고 표현을 한다. 그런가하면 누구는 편안 상이라고 하고, 누구는 무섭다고 한다. 왜 그렇게 서로 다른 느낌을 받았을까? 그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보는 사람이 어떻게 느꼈는가는 그 본인의 심성이기 때문이다.


어느 방향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아마 햇빛으로 인한 것이란 생각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문화재, 특히 불상의 경우에는 보는 방향, 보는 시간, 그리고 보는 이의 심성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한다.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방향에 따라 그 느낌이 전혀 다르기도 하다. 또한 보는 방향을 어느 편으로 잡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사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얼짱각도’의 원조는 이미 예전부터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불상을 조각한 장인들은 그런 것에도 마음을 쌌던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문화재를 접하다가 보면, 장인들의 마음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어떻게 해의 비치는 각도까지 계산에 넣고 조각을 한 것인지.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오후 5시경 저녁 해가 비칠 때의 모습은 정말로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근엄함 가운데 인자함이 배어있다. 그렇게 변화되는 모습에 빠져 전국을 돌아치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